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지역구 국회의원/서울특별시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지역구 국회의원





1. 개요[편집]


항목제12대 국회의원 선거서울특별시 지역구 선거 결과를 정리하는 항목이다. 선거구는 가나다순이 아니라 지역 선거관리위원회가 설치된 순서로 한다. 이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쓰는 공식 발표법이기 때문이다.


2. 결과[편집]



2.1. 종로구·중구[편집]


종로구·중구
종로구, 중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권종우(權鍾佑)1,2366위


0.50%낙선
2정대철(鄭大哲)70,8593위

ta-hash-start=w-637ddad77fb8a2c25e980d1968f4e0c3[[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27.10%낙선
3한상필(韓相弼)1,7635위
[include(틀:민권당)]0.67%낙선
4이종찬(李鍾贊)84,2581위
[include(틀:민주정의당(1981~1987))]32.23%당선
5이상윤(李相允)1,4407위

파일:신민주당 로고(흰색+배경).png

0.55%낙선
6이민우(李敏雨)82,6872위
[include(틀:신한민주당)]31.63%당선
7오제도(吳制道)19,7804위
[include(틀:무소속)]7.29%낙선
선거인 수318,330투표율
83.21%
투표 수264,876
무효표 수3,465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권종우12.jpg
파일:정대철 1985.jpg
파일:한상필12.jpg
파일:이종찬 2.jpg
파일:12대 총선 이상윤.jpg
파일:이민우12대.jpg
파일:오제도12.jpg



ta-hash-start=w-9ae0e1661f21a790e485c6d9b7299180[[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정대철이종찬이민우
결과27.10%32.23%(당선)31.63%(당선)
종로구26.55%31.82%(2위)32.71%(1위)
중구27.83%32.76%(1위)30.19%(2위)

말이 필요 없는 2.12 총선 최대의 이변지.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2.2. 마포구·용산구[편집]


마포구·용산구
마포구, 용산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노승환(盧承煥)207,7781위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52.41%당선
2김재영(金在暎)66,5873위

ta-hash-start=w-e6486ef395bb81021d0aaf0e18c5951e[[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16.79%낙선
3봉두완(奉斗玩)109,2262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27.55%당선
4고명관(高明觀)8,1264위


2.04%낙선
5박대성(朴大成)4,7085위


1.18%낙선
선거인 수497,547투표율
80.75%
투표 수401,763
무효표 수5,338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노승환12대.jpg
파일:김재영12대.jpg
파일:봉두완12대.jpg
파일:고명관12대.jpg
파일:박대성12대.jpg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8b1bf4586215f7060151b4cb87d86336[[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노승환김재영봉두완
결과52.41%(당선)16.49%27.55%(당선)
마포구54.46%(1위)14.51%27.87%(2위)
용산구49.45%(1위)20.08%27.09%(2위)

84년 11월 3차 해금으로 복권된 노승환 후보가 자신의 지역기반인 마포구는 물론, 당시 두 현역 의원인 봉두완, 김재영 후보의 기반인 용산구에서도 과반에 가까운 득표율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2.3. 성동구[편집]


성동구
성동구 일원[1]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용만(朴容萬)94,4882위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6.18%당선
2이세기(李世基)103,2051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28.60%당선
3전대수(全大洙)7,7715위


2.15%낙선
4조세형(趙世衡)88,2043위

ta-hash-start=w-e5085eb0c57d91209e8d11d053efc803[[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24.44%낙선
5김도현(金道鉉)67,1424위

무소속

18.60%낙선
선거인 수459,544투표율
79.66%
투표 수366,061
무효표 수5,251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박용만12.jpg
파일:이세기12.png
파일:전대수12.jpg
파일:조세형 12대.jpg
파일:김도현12.jpg


무소속
박용만이세기조세형김도현
결과26.18%(당선)28.60%(당선)24.44%18.60%
성동구 갑[2]23.83%32.19%(1위)24.40%(2위)17.51%
성동구 을[3]27.98%(1위)25.86%(2위)24.47%19.44%

종로∙중구와 함께 서울에서 민정당 후보가 1위로 당선된 유이한 지역구. 11대 총선에서 민한당 공천을 받았던 김도현 후보가 무소속으로 출마하면서 야권표가 세 갈래로 분산되었다.

2.4. 동대문구[편집]


동대문구
동대문구 일원[4]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송원영(宋元英)226,6781위
48.85%당선
2김태환(金太煥)25,3294위
5.45%낙선
3김덕규(金德圭)54,2243위
11.68%낙선
4강병진(姜秉珍)13,2425위
2.85%낙선
5권영우(權寧禹)137,9702위
29.73%당선
6고기효(高紀孝)6,5196위
1.40%낙선
선거인 수576,315투표율
81.63%
투표 수470,447
무효표 수6,485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송원영12대.jpg
파일:김태환12대.jpg
파일:김덕규12대.jpg
파일:강병진12대.jpg
파일:권영우12대.jpg
파일:고기효12.jpg


송원영김덕규권영우
결과48.85%(당선)11.68%29.73%(당선)
동대문구 갑[5]48.69%(1위)11.75%30.70%(2위)
동대문구 을[6]49.06%(1위)11.59%28.45%(2위)

2.5. 성북구[편집]


성북구
성북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병남(金炳楠)3,6596위
1.22%낙선
2이철(李哲)121,0041위
40.55%당선
3조윤형(趙尹衡)79,9913위
26.81%낙선
4김유(金裕)7,9954위
2.67%낙선
5김정례(金正禮)81,0142위
27.15%당선
6임태백(林太伯)4,6955위
1.57%낙선
선거인 수371,316투표율
81.46%
투표 수302,468
무효표 수4,110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이철조윤형김정례
결과40.55%(당선)26.81%27.15%(당선)
성북구 갑[7]38.83%(1위)28.18%28.31%(2위)
성북구 을[8]42.71%(1위)25.08%25.69%(2위)

2.12 총선 최대의 이변 2. 당시 성북구에서 탄탄한 기반을 자랑하던 민주정의당김정례, 민주한국당조윤형 후보에 신한민주당이철 후보가 '돌아온 정치사형수'[9]라는 구호로 맞섰는데, 개표 결과 신민당 바람에 힘 입어 이철 후보가 압도적인 표차로 1위 당선을 기록했고, 김정례-조윤형 두 후보가 다음날까지 시소게임을 벌이다가 김 후보가 불과 1,023표 차이로 아슬아슬하게 2위로 당선되었다.

낙선한 조윤형 후보는 이후 민한당 총재로 선출되지만, 5일 만에 소속 의원들이 집단 탈당하면서 본인도 머지않아 신민당행을 선택한다.

2.6. 도봉구[편집]


도봉구
도봉구 일원[10]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전대열(全大烈)-등록무효
-
2조순형(趙舜衡)174,1241위
42.35%당선
3경인호(慶仁浩)17,1265위
4.16%낙선
4홍성우(洪性宇)99,2452위
24.14%당선
5김태수(金泰洙)53,3444위
12.97%낙선
6구판홍(具判弘)7,0386위
1.71%낙선
7신오철(申五澈)58,5273위
14.23%낙선
8이수춘(李守春)1,6757위
0.40%낙선
선거인 수512,069투표율
82.47%
투표 수422,293
무효표 수11,214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무소속
조순형홍성우김태수신오철
결과42.35%(당선)24.14%(당선)12.97%14.23%
도봉구 갑[11]45.58%(1위)22.86%(2위)12.80%12.31%
도봉구 을[12]38.01%(1위)25.86%(2위)13.20%16.83%

11대 총선에서 성북구에 출마해 당선되었던 조순형 의원이 형 조윤형 후보의 출마에 따라 지역구를 옮겨 1위로 당선되었다. 한편 신정사회당 후보로 출마한 전대열 후보가 선거 이틀 전 자신이 받았던 형의 효력이 상실되지 않아 뒤늦게 등록무효 처리되었고, 그 바람에 서울 14개 지역구 중 무효표가 유독 많이 나오게 되었다.

2.7. 서대문구·은평구[편집]


서대문구·은평구
서대문구, 은평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윤길중(尹吉重)119,4802위
28.22%당선
2김재광(金在光)205,3701위
48.51%당선
3김명주(金明珠)4,6266위
1.09%낙선
4이용만(李鎔萬)5,2265위
1.23%낙선
5손세일(孫世一)80,4003위
18.99%낙선
6이춘우(李春雨)8,1734위
1.93%낙선
선거인 수530,570투표율
80.84%
투표 수428,908
무효표 수5,633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윤길중12.jpg
파일:김재광12.jpg
파일:김명주13.jpg
파일:이용만12.jpg
파일:손세일12.jpg
파일:이춘우12.jpg


윤길중김재광손세일
결과28.22%(당선)48.51%(당선)18.99%
서대문구30.67%(2위)47.75%(1위)17.11%
은평구25.72%(2위)49.29%(1위)20.91%

2.8. 강서구[편집]


강서구
강서구 일원[13]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고병현(高炳鉉)55,8343위
16.86%낙선
2남재희(南載熙)75,1322위
22.69%당선
3이경표(李敬表)9,9965위
3.01%낙선
4최후집(崔厚集)16,8714위
5.09%낙선
5김영배(金令培)166,9731위
50.44%당선
6우철남(禹鐵男)6,2206위
1.87%낙선
선거인 수418,205투표율
80.26%
투표 수335,639
무효표 수4,613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고병현남재희김영배
결과16.86%22.69%(당선)50.44%(당선)

당초 민정당 측은 남재희 의원의 개인적 인물론과 강서구가 서울시에서 개발이 덜된[14] 지역임을 감안해 무난한 승리를 예상했지만, 막상 개표가 시작되니 예상보다 큰 격차로 밀리자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는 후일담이 있다.[15]

2.9. 구로구[편집]


구로구
구로구 일원[16]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조연하(趙淵夏)127,2251위
38.83%당선
2김기배(金杞培)96,6902위
29.51%당선
3권대복(權大福)29,9774위
9.15%낙선
4김병오(金炳午)[17]73,7023위
22.49%낙선
선거인 수406,269투표율
81.73%
투표 수332,044
무효표 수4,450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조연하김기배김병오
결과38.83%(당선)29.51%(당선)22.49%
구로구 갑[18]37.50%(1위)31.54%(2위)23.14%
구로구 을[19]40.26%(1위)27.33%(2위)21.80%

2.10. 영등포구[편집]


영등포구
영등포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찬혁(李贊赫)53,4852위
23.90%당선
2박한상(朴漢相)82,3351위
36.79%당선
3윤선일(尹善一)13,0315위
5.82%낙선
4김수일(金秀一)17,9654위
8.02%낙선
5이원범(李元範)45,1613위
20.18%낙선
6백철(白喆)11,7826위
5.26%낙선
선거인 수277,625투표율
81.67%
투표 수226,733
무효표 수2,974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이찬혁 12대.jpg
파일:박한상 12대.jpg
파일:윤선일 12대.jpg
파일:김수일 12대.jpg
파일:이원범 12대.jpg
파일:백철_1985벽보.jpg



2.11. 동작구[편집]


동작구
동작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실(朴實)89,6651위
42.42%당선
2허청일(許淸一)71,8822위
34.01%당선
3정영섭(鄭榮涉)3,2425위
1.53%낙선
4서청원(徐淸源)41,6233위
19.69%낙선
5정정대(鄭政代)4,9184위
2.32%낙선
선거인 수258,011투표율
83.01%
투표 수214,181
무효표 수2,851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박실12대.jpg
파일:허청일12대.jpg
파일:정영섭 12대.jpg
파일:서청원 1985.jpg
파일:정정대 12대.jpg


이 선거구에서도 신한민주당 박실 후보가 1위로 당선되었으나, 선거 운동기간 중 민정당 허청일 후보가 합동연설회에서 대학생에게 암모니아 테러를 당하는 일이 있었고, 그로 인한 동정표인지 서울의 민정당 후보 중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당선되었다.

2.12. 관악구[편집]


관악구
관악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임철순(任哲淳)81,3712위
29.34%당선
2한광옥(韓光玉)64,4753위
23.25%낙선
3이영희(李英姬)12,2494위
4.41%낙선
4김수한(金守漢)119,1581위
42.97%당선
선거인 수344,165투표율
81.61%
투표 수280,866
무효표 수3,613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임철순12.jpg
파일:한광옥 2.jpg
파일:이영희12.jpg
파일:김수한12대.jpg


2.13. 강남구[편집]


강남구
강남구 일원[20]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형래(金炯來)131,5591위
35.80%당선
2이태섭(李台燮)90,2873위
24.57%낙선
3이중재(李重載)109,2182위
29.72%당선
4고정훈(高貞勳)36,4044위
9.90%낙선
선거인 수460,307투표율
80.67%
투표 수371,324
무효표 수3,856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김형래12대.jpg
파일:이태섭12대.jpg
파일:12대총선이중재.png
파일:고정훈12대.jpg


2.12 총선 최대의 이변 3. 무려 현직 장관이었던 여당 후보가 민한당 후보에도 밀려 3위로 낙선했고, 신민-민한 두 민주당계 야당 후보가 나란히 당선되었다. 이때부터 서울 강남은 1990년대 말 보수화되기 전까지 '신 정치1번지'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다. 지난 총선에서 주요 야당의 공천이 배제되는 '정책지구'의 특혜를 누렸던 신정사회당 고정훈 후보는 이번에는 4명 중 최하위로 낙선했다.

2.14. 강동구[편집]


강동구
강동구 일원[21]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동규(金東圭)227,598[22]1위
55.56%당선
2정남(鄭男)99,8692위
24.38%당선
3정정휴(鄭正休)11,3194위
2.76%낙선
4정진길(鄭鎭吉)70,8323위
17.29%낙선
선거인 수526,140투표율
78.77%
투표 수414,436
무효표 수4,818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김동규12대.jpg
파일:정남12대.jpg
파일:정정휴12대.jpg
파일:정진길12대.jpg


기업인 출신으로 정계에 입문한지 2달도 되지 않은 김동규 신한민주당 후보가 전국 최다득표 기록으로 당선되면서 서울 지역 신당 바람의 결정타를 날렸다.

[1] 지금의 성동구, 광진구 일원[2] 왕십리1동, 도선동, 마장동, 사근동, 용두동, 왕십리2동, 행당1동, 행당2동, 응봉동, 금호1가동, 금호2가동, 금호3가동, 금호4가동, 옥수동[3] 성수1가동, 성수2가1동, 성수2가2동, 성수2가3동, 화양동, 송정동, 군자동, 능동, 자양1동, 자양2동, 중곡1동, 중곡2동, 중곡3동, 중곡4동, 구의동, 광장동[4] 지금의 동대문구, 중랑구 일원[5] 지금의 동대문구 일원[6] 지금의 중랑구 일원[7] 성북1동, 성북2동, 동소문동, 삼선1동, 삼선2동, 동선1동, 동선2동, 돈암2동, 안암동, 보문동, 정릉1동, 정릉2동, 정릉3동, 정릉4동, 길음1동, 길음2동, 길음3동[8] 돈암1동, 종암1동, 종암2동, 하월곡1동, 하월곡2동, 하월곡3동, 하월곡4동, 상월곡동, 장위1동, 장위2동, 장위3동, 석관1동, 석관2동[9] 1974년 민청학련 사건 당시 사형선고를 받았다가 사면되었다.[10] 지금의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일원[11] 미아1동, 미아2동, 미아3동, 미아4동, 미아5동, 미아6동, 미아7동, 미아8동, 번1동, 번2동, 수유1동, 수유2동, 수유3동, 수유4동, 수유5동, 창1동, 창2동, 창3동, 월계1동, 월계2동[12] 쌍문1동, 쌍문2동, 쌍문3동, 공릉1동, 공릉2동, 하계동, 상계1동, 상계2동, 상계3동, 상계4동, 중계동, 도봉1동, 도봉2동, 방학1동, 방학2동[13] 지금의 양천구, 강서구 일원[14] 당시는 목동신시가지아파트 단지와 가양동 지구가 개발되기 전이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개발된 지역이 화곡동과 신정동, 방화동 등 일부에 불과했다.[15] 심지어 개표초반에는 남재희 후보가 민주한국당 고병현 후보에 밀려 당선 순위권 밖인 3위로 밀려나는 일도 있었다.[16] 지금의 구로구, 금천구 일원[17] 선관위 선거통계시스템에는 낮 오(午) 자가 소 우(牛) 자로 잘못 기입되어 있다.[18] 신도림동, 구로1동, 구로2동, 구로3동, 구로4동, 구로5동, 구로6동, 고척1동, 고척2동, 개봉1동, 개봉2동, 개봉3동, 오류1동, 오류2동[19] 가리봉1동, 가리봉2동, 가리봉3동, 독산1동, 독산2동, 독산3동, 독산4동, 시흥1동, 시흥2동, 시흥3동, 시흥4동, 시흥본동[20] 지금의 서초구, 강남구 일원[21] 지금의 송파구, 강동구 일원[22] 12대 총선 지역구 최다득표 당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