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17회 한세실업배 대학동문전

덤프버전 :

1. 지난 대회 일람
2. 참가팀
3. 대회 규칙
4. 대회 진행사항
4.1. 26강전
4.1.1. 개막전 : 인하대 - 한국외대
4.1.2. 2경기 : 성균관대 - 경희대
4.1.3. 3경기 : 영남대 - 숭실대
4.1.4. 4경기 : 부산대 - 아주대
4.1.5. 5경기 : 방송대 - 중앙대
4.1.6. 6경기 : 동국대 - 홍익대
4.1.7. 7경기 : 서울대 - 고려대
4.1.8. 8경기 : 세한대 - 국민대
4.1.9. 9경기 : 한양대 - 건국대
4.1.10. 10경기 : 경북대 - 충북대
4.2. 16강전
4.2.1. 1경기 : 한국외대 - 충남대
4.2.2. 2경기 : 경희대 - 숭실대
4.2.3. 3경기 : 명지대 - 아주대
4.2.4. 4경기 : KAIST - 방송대
4.2.5. 5경기 : 동국대 - 연세대
4.2.6. 6경기 : 서울대 - 조선대
4.2.7. 7경기 : 세한대 - 한양대
4.2.8. 8경기 : 경북대 - 전북대
4.3. 8강전
4.3.1. 1경기 : 한국외대 - 경희대


1. 지난 대회 일람[편집]


제16회 한세실업배 대학동문전


2. 참가팀[편집]


  • 대진표를 기준으로 하였다.
26강부터 출전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파일:SKKU_Emblem.svg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한국외대인하대성균관대경희대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파일:숭실대학교 엠블럼.svg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숭실대부산대아주대
파일:한국방송통신대학교 심볼.svg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파일:홍익대학교_UI_Blue.svg
방송대중앙대동국대홍익대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파일:세한대학교 UI.svg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서울대고려대세한대국민대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파일:건국대학교 앰블럼.svg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파일:충북대학교 심볼.svg
한양대건국대경북대충북대
16강부터 출전
파일:충남대학교 엠블럼.svg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파일:KAIST_emblem.svg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충남대명지대KAIST연세대
파일:조선대학교 엠블럼.svg파일:전북대학교 엠블럼.svg
조선대전북대


3. 대회 규칙[편집]


  • 26강 토너먼트(승점제)
  • 경기 방식은 1차전 2:2 페어, 2차전 3:3 릴레이로 대국을 하고 만약 1승 1패를 주고 받을 경우 3차전은 1:1 개인전 3판을 동시에 진행한다. 여기서 나온 대국 결과에 따라서 각 경기 마다 배정된 점수를 합산해 승패가 결정되는 승점제로 진행한다.
  • 승점은 1차전 2:2 페어바둑 승리시 2점, 2차전 3:3 릴레이바둑 승리시 3점을 획득하며, 3차전 개인전 대결은 주장전 2점, 2장전 1점, 3장전 1점으로 배정되어있다. 이렇게 하여 총 9점 중 승점 5점 이상을 가져가는 팀이 승리한다. 만약 한 팀이 1차전(페어), 2차전(릴레이)를 모두 가져간 경우 필요 승점인 5점을 채우기 때문에 3차전(개인전 3판)은 열리지 않는다.
  • 시간은 각자 30분 타임아웃제(총 60분)으로 진행한다.[1] 시간초과시 패널티(집 공제)는 1분 미만인 경우 5집, 2분은 10집, 3분은 15집. 3분을 넘을 경우 시간패로 처리된다.
  • 1차전(2:2 페어)은 착수위반 반칙 패널티로 1회 위반시 3집, 2회째는 추가 3집(총 6집)이 공제되며 3회째가 되면 실격패로 처리한다.
  • 2차전(3:3 릴레이)은 양팀 합계 초반 17분, 중반 19분, 종반이 나머지 시간을 사용.
  • 우승상금 : 총상금 1500만원에 우승 500만원, 준우승 300만원이 배정되어있음
  • 우승 경험이 있는 팀은 8명, 우승 경험이 없는 팀은 6명이 출전이 가능하다.


4. 대회 진행사항[편집]


  • 대국표는 다음과 같으며 괄호에는 학과와 학번을 기재한다. (3차전은 선수명만 기재)
  • 1차전(2:2 페어)의 경우 대국자 옆 괄호에 착수 순번 기재
  • 3차전(1:1 개인전)은 결과가 확인 된 경우(불계승 or 계가결과)에 승리한 선수 쪽에 각주로 결과 표시
경기명 팀1팀2
1차전(2점)
(2:2 페어)
1~2- (-)
(-)
- (-)
(-)
3~4- (-)
(-)
- (-)
(-)
결과- 대 - 승
2차전(3점)
(3:3 릴레이)
초장-
(-)
-
(-)
중장-
(-)
-
(-)
종장-
(-)
-
(-)
결과- 대 - 승
3차전
(1:1 개인전)
주장
(2점)
--
2장
(1점)
--
3장
(1점)
--
승점00

  • 이번 대회는 8월 19일부터 매주 주말에 방송한다. 종전 금~일 밤 11시 편성에서 토~일 오전 10시로 편성이 변경됐다. 이에 따라 하루 한 판씩, 한 주 3판 편성에서 하루 2판 연속, 한 주 4판 편성으로 방송한다.



4.1. 26강전[편집]



4.1.1. 개막전 : 인하대 - 한국외대[편집]


  • 1차전 ~ 2차전 - 8월 19일 방송
  • 진행 - 심우섭, 해설 - 김만수

26강 1경기 인하대한국외대
1차전(2점)
(2:2 페어)
1~2윤재철 (1)
(전기과 83)
최 준 (2)
(경영 81)
3~4조성대 (3)
(경영 87)
박윤서 (4)
(이란어 73)
결과한국외대 백 시간승 [2]
2차전(3점)
(3:3 릴레이)
초장장혁규
(기계공학 94)
김선경
(법학 00)
중장장규환
(건축공학 79)
이영남
(스페인어 87)
종장김성수
(전자계산 78)
김세현
(중국어 83)
결과한국외대 백 3집반승
승점05

4.1.2. 2경기 : 성균관대 - 경희대[편집]


  • 1차전 ~ 2차전 - 8월 20일 방송, 3차전 - 8월 26일 방송
  • 진행 - 심우섭, 해설 - 장수영
26강 2경기 성균관대경희대
1차전(2점)
(2:2 페어)
1~2김용기 (1)
(화학공학 90)
권규태 (2)
(경영 13)
3~4유승엽 (3)
(농업경제 85)
황정찬 (4)
(법학 04)
결과경희대 백 32집반승[3]
2차전(3점)
(3:3 릴레이)
초장김수철
(경영 74)
조현호
(의학 89)
중장허제헌
(경제 96)
윤동환
(의학 88)
종장최병권
(통계 09)
박진석
(경영 02)
결과성균관대 백 8집반승
3차전
(1:1 개인전)
주장
(2점)
민재필XO황정찬[4]
2장
(1점)
김재규[5]XO권규태[6]
3장
(1점)
황익근XO이동희
승점36

  • 2차전은 성균관대가 매우 유리한 바둑이었으나 종장 최병권 선수가 상변에서 실수를 저질러 하마터면 역전패를 당할 뻔했으나, 경희대 종장 박진석 선수가 그 다음 수를 못보는 바람에 다시 바둑이 다시 성균관대 쪽으로 넘어갔다.
  • 3차전은 경희대가 세 판 모두 쓸어담아서 최종 6:3으로 16강에 진출했다.

4.1.3. 3경기 : 영남대 - 숭실대[편집]


  • 1차전 - 8월 26일 방송, 2차전 - 8월 27일 방송
  • 진행 - 심우섭, 해설 - 김만수
26강 3경기 영남대숭실대
1차전(2점)
(2:2 페어)
1~2박성빈 (1)
(무역 93)
곽웅구 (2)
(전자계산 86)
3~4신홍섭 (3)
(기계공학 97)
양덕주 (4)
(컴퓨터 82)
결과숭실대 백 불계승[7]
2차전(3점)
(3:3 릴레이)
초장신홍섭
(기계공학 97)
양덕주
(컴퓨터 82)
중장박성빈
(무역 93)
곽웅구
(전자계산 86)
종장김홍열
(섬유공학 78)
이동혁
(전기공학 07)
결과숭실대 백 불계승
승점05


4.1.4. 4경기 : 부산대 - 아주대[편집]


  • 1차전 - 8월 27일 방송, 2차전 - 9월 2일 방송
  • 진행 - 이유민, 해설 - 장수영
26강 4경기 부산대아주대
1차전(2점)
(2:2 페어)
1~2김태현 (1)
(경영 88)
김종볌 (2)
(경영 87)
3~4김전겸 (3)
(전자공학 84)
이병희(4)
(불문 83)
결과아주대 백 불계승
2차전(3점)
(3:3 릴레이)
초장임능수
(의학 78)
박용석
(기계공학 83)
중장장부상
(경영 77)
노종목
(건설시스템공학 97)
종장강봉수
(기계설계 74)
이웅희
(수학 18)
결과아주대 백 불계승
승점05


4.1.5. 5경기 : 방송대 - 중앙대[편집]


  • 1차전 - 9월 2일 방송, 2차전 - 9월 9일 방송
  • 진행 - 심우섭, 해설 - 김만수
26강 5경기 방송대중앙대
1차전(2점)
(2:2 페어)
1~2김영모 (2)
(문화교양 20)
정연우 (1)
(신문방송 77)
3~4남승호 (4)
(중어중문 10)
문영출 (3)
(회계 85)
결과방송대 백 26집반승
2차전(3점)
(3:3 릴레이)
초장박휘재
(중어중문 06)
김경환
(광고홍보 94)
중장이용만
(일본 18)
황인욱
(경영 11)
종장송양석
(무역 10)
김다올
(정치국제 19)
결과방송대 흑 7집반승[8]
승점50


4.1.6. 6경기 : 동국대 - 홍익대[편집]


  • 1차전 - 9월 9일 방송, 2차전 ~ 3차전 - 9월 10일 방송
  • 진행 - 이유민, 해설 - 장수영
26강 6경기 동국대홍익대
1차전(2점)
(2:2 페어)
1~2강순찬 (2)
(식물자원 83)
권용무 (1)
(전자전기공헉 99)
3~4장인준 (4)
(전기전자 11)
김동국 (3)
(전기전자공학 08)
결과홍익대 흑 불계승[9]
2차전(3점)
(3:3 릴레이)
초장김시환
(국어교육 17)
박장우
(건축 83)
중장김진우
(관광경영 14)
박경환
(수학교육 18)
종장장인준
(전기전자 11)
김동국
(전기전자공학 08)
결과동국대 흑 22집반승[10]
3차전
(1:1 개인전)
주장
(2점)
김진우[11]OX권용무
2장
(1점)
최제민OX지창석
3장
(1점)
정도영[12]XO김강섭[13]
승점63

  • 2국에서 동국대는 97년생(17학번), 93년생(14학번), 92년생(11학번)의 젊은 선수들이 출전했는데 좋은 호흡을 자랑하며 승리를 챙겼다.


4.1.7. 7경기 : 서울대 - 고려대[편집]


  • 1차전 ~ 2차전 - 9월 17일 방송, 3차전 - 9월 23일 방송
  • 진행 -이유민, 해설 - 김만수

26겅 7경기 서울대고려대
1차전(2점)
(2:2 페어)
1~2노시정 (2)
(경영 09)
이의섭 (1)
(영여영문 06)
3~4오경환 (4)
(경영 06)
심창걸 (3)
(행정 06)
결과고려대 흑 5집반승[14]
2차전(3점)
(3:3 릴레이)
초장이재철
(농공 86)
김경식
(경영 74)
중장지성욱
(바이오소재공학 99)
최병윤
(화학공학 84)
종장김형균
(컴퓨터공학 01)
박찬우
(심리 15)
결과서울대 백 25집반승[15]
3차전
(1:1 개인전)
주장
(2점)
최준영[16]OX김태연
2장
(1점)
신영수[17]OX김훈식[18]
3장
(1점)
안성문XO이원광
승점63


4.1.8. 8경기 : 세한대 - 국민대[편집]


  • 1차전 - 9월 23일 방송, 2차전 ~ 3차전 - 9월 24일 방송
  • 진행 - 이유민, 해설 -김만수
26강 8경기 세한대국민대
1차전(2점)
(2:2 페어)
1~2장인지 (2)
(생활체육 09)
최원배 (1)
(국사 83)
3~4이지훈 (4)
(생활체육 10)
이수연 (3)
(법학 16)
결과국민대 흑 반집승[19]
2차전(3점)
(3:3 릴레이)
초장김영민
(생활체육 09)
박상우
(토목환경공학 91)
중장황영우
(생활체육 08)
이수연
(법학 16)
종장김형수
(생활체육 09)
최원배
(국사 83)
결과세한대 백 불계승
3차전
(1:1 개인전)
주장
(2점)
함영우[20]OX염순구
2장
(1점)
김영민[21]OX최진성
3장
(1점)
이성희[22]OX홍관철
승점72

  • 1차전은 양 팀 모두 남녀 혼성 조합으로 페어바둑을 두었다.
  • 세한대는 2차전을 잡은데 이어 3차전에서 세 판을 모두 쓸어담아 최총 스코어 7:2로 16강에 진출했다.


4.1.9. 9경기 : 한양대 - 건국대[편집]


  • 1차전 ~ 2차전 - 9월 30일 방송
  • 진행 - 심우섭, 해설 - 김만수
26강 9경기 한양대건국대
1차전(2점)
(2:2 페어)
1~2이재윤 (2)
(법학 08)
옥정민 (1)
(경영정보 96)
3~4김홍태 (4)
(법학 86)
조병철 (3)
(철학 86)
결과한양대 백 불계승
2차전(3점)
(3:3 릴레이)
초장김남헌
(중어중문 19)
이용식
(경제 72)
중장안병운
(영어영문 81)
오성일
(화학공학 05)
종장이재윤
(법학 08)
한호규
(경영 07)
결과한양대 백 7집반승
승점50
  • 두 팀은 전기 대회에서 맞대결을 벌였는데 한양대가 지난 대회의 패배를 설욕하고 16강에 진출했다.


4.1.10. 10경기 : 경북대 - 충북대[편집]


  • 1차전 ~ 2차전 - 10월 1일 방송
  • 진행 - 이유민, 해설 -장수영
26강 10경기 경북대충북대
1차전(2점)
(2:2 페어)
1~2김창수 (2)
(회계 84)
조경운 (1)
(불어불문 82)
3~4조병탁 (4)
(회계 80)
최계성 (3)
(경영 87)
결과경북대 백 불계승
2차전(3점)
(3:3 릴레이)
초장우성훈
(물리 77)
전준혁
(행정 12)
중장황규흠
(행정 86)
박희종
(경영 01)
종장김장수
(환경공학 04)
최계성
(경영 87)
결과경북대 흑 19집반승
승점50


4.2. 16강전[편집]




4.2.1. 1경기 : 한국외대 - 충남대[편집]


  • 1차전 ~ 2차전 - 10월 7일 방송
  • 진행 - 심우섭, 해설 - 김만수
16강 1경기 한국외대충남대
1차전(2점)
(2:2 페어)
1~2최 준 (2)
(경영 81)
이승학 (1)
(화학 83)
3~4박윤서 (4)
(이란어 73)
박종오 (3)
(불어불문 82)
결과한국외대 백 불계승
2차전(3점)
(3:3 릴레이)
초장유종수
(태국어과 75)
박종오
(불어불문 82)
중장김세현
(중국어 83)
이승학
(화학 83)
종장오재근
(중국어 10)
고한오
(불어불문 81)
결과한국외대 흑 불계승[23]
승점50

  • 충남대는 14회 대회 이후 3년 만의 출전이다.
  • 지난 대회까지 이 대회 진행을 맡았던 유종수(한국외대 태국어과 75학번) 캐스터가 한국외대 선수로 대학 동문전에 출전했다.

4.2.2. 2경기 : 경희대 - 숭실대[편집]


  • 1차전 ~ 2차전 - 10월 7일 방송, 3차전 - 10월 21일 방송
  • 진행 - 심우섭, 해설 - 장수영
16강 2경기 경희대숭실대
1차전(2점)
(2:2 페어)
1~2권규태 (2)
(경영 13)
곽웅구 (1)
(전자계산 86)
3~4황정찬 (4)
(법학 04)
이동혁 (3)
(전기공학 07)
결과숭실대 흑 반집승[24]
2차전(3점)
(3:3 릴레이)
초장윤동환
(의학 88)
한경남
(정보통신전자공학 03)
중장이창로
(경영 81)
양덕주
(컴퓨터 82)
종장황정찬
(법학 04)
조항진
(섬유공학 97))
결과경희대 흑 반칙승[25]
3차전
(1:1 개인전)
주장
(2점)
이동희[26]OX양덕주
2장
(1점)
권규태곽웅구
3장
(1점)
조현호오필상
승점6 3
  • 숭실대는 지난 대회 1차전 페어바둑에거 반칙패를 당했는데 이번에는 릴레이로 열린 2차전에서 어이없는 반칙패를 당했다.
  • 3차전에 경우 2장전과 3장전이 편집되어 방송됐는데 양쪽이 2~3장전을 한 판씩 나눠가져갔다. 그래서 최종 6:3으로 경희대가 8강에 진출했다.

4.2.3. 3경기 : 명지대 - 아주대[편집]


  • 1차전 - 10월 21일 방송, 2차전 - 10월 22일 방송
  • 진행 - 이유민, 해설 - 김만수
16강 3경기 명지대아주대
1차전(2점)
(2:2 페어)
1~2이용희 (1)
(바둑 03)
김종범 (2)
(행정 87)
3~4이선아 (3)
(바둑 09)
이철주 (4)
(전자공학 87)
결과명지대 흑 불계승[27]
2차전(3점)
(3:3 릴레이)
초장유학성
(전자공학 84)
박용석
(기계공학 83)
중장강민찬
(바둑 22)
이병희
(불어불문 83)
종장이재철
(바둑 06)
노종목
(건설시스템공학 97)
결과명지대 백 17집반승
승점50

  • 1차전에서 아주대는 87학번 동기, 명지대는 선후배 남녀 조합으로 출전했는데 아주대의 착각이 나와 명지대가 승리를 거뒀다.

4.2.4. 4경기 : KAIST - 방송대[편집]


  • 1차전 - 10월 22일 방송, 2차전 ~ 3차전 - 10월 28일 방송
  • 진행 - 이유민, 해설 - 장수영
16강 4경기 KAIST방송대
1차전(2점)
(2:2 페어)
1~2이주윤 (2)
(생물 90)
김영모 (1)
(문화교양 20)
3~4이승진 (4)
(수학 05)
주준유 (3)
(중어중문 11)
결과KAIST 백 20집반승[28]
2차전(3점)
(3:3 릴레이)
초장강승체
(항공우주공학 11)
박휘재
(중어중문 06)
중장오병철
(바이오 및 뇌공학 14)
이용만
(일본 18)
종장금종민
(-)
남승호
(-)
결과방송대 흑 17집반승
3차전
(1:1 개인전)
주장
(2점)
이승진[29]XO이용만[30]
2장
(1점)
조대연XO박휘재
3장
(1점)
오병철XO송양석
승점27

  • 2차전에서 중반전 선수들이 계가까지 하면서 바둑이 끝이 났다.
  • 3차전은 방송대가 세 판을 전부 이겨서 7:2로 카이스트를 잡고 8강에 진출했다.

4.2.5. 5경기 : 동국대 - 연세대[편집]


  • 1차전 ~ 2차전 - 10월 29일 방송
  • 진행 - 심우섭, 해설 - 장수영
16강 5경기 동국대연세대
1차전(2점)
(2:2 페어)
1~2장인준 (2)
(전기전자공학 11)
정재웅 (1)
(경제 82)
3~4김진우 (4)
(관광경영 14)
조용석 (3)
(의학 86)
결과동국대 백 불계승[31]
2차전(3점)
(3:3 릴레이)
초장김기유
(영어영문 88)
김정우
(수학 83)
중장김태홍
(국어교육 79)
정인규
(토목공학 69)
종장최제민
(-)
이대권
(-)
결과동국대 백 반칙승
승점50

  • 2차전에서 해프닝이 벌어졌다. 3장전으로 넘어가야 하는 상황에서 해프닝이 있었는데 계시기 사용 위반으로 인한 반칙패였다. 계시기는 착수 후 턴을 넘길 때 반드시 두는 손으로 버튼을 눌러야 한다. 대국도중 이를 어길 경우 상대가 이의제기를 하면 먼저 경고 1회를 받게 되고 만약 또 다시 위반하여 상대방이 두 번째로 이의제기하는 일이 나올 경우에는 반칙패가 되는데 거기서 경고 두 번이 나와서 연세대의 반칙패로 끝이 나버렸다. 결국 전기 대회 우승팀인 연세대가 허무하게 16강에서 탈락했다.


4.2.6. 6경기 : 서울대 - 조선대[편집]


  • 1차전 ~ 2차전 - 11월 4일 방송
  • 진행 - 이유민, 해설 - 장수영

16강 6경기 서울대조선대
1차전(2점)
(2:2 페어)
1~2최준영 (1)
(국문 87)
박상진 (2)
(정치외교 87)
3~4노시정 (3)
(경영 09)
조상권 (4)
(경영 11)
결과서울대 흑 불계승[32]
2차전(3점)
(3:3 릴레이)
초장이재철
(농공 86)
강홍식
(경제 83)
중장지성욱
(바이오소재공학 99)
강지수
(경영 14)
종장신영수
(동양사 16)
김복현
(기계설계공학 89)
결과서울대 백 11집반승[33]
승점50

4.2.7. 7경기 : 세한대 - 한양대[편집]


  • 1차전 ~ 2차전 - 11월 5일 방송
  • 진행 - 이유민, 해설 - 장수영

16강 7경기 세한대한양대
1차전(2점)
(2:2 페어)
1~2김영민 (1)
(생활체육 09)
이재윤 (2)
(법학 08)
3~4김형수 (3)
(생활체육 09)
김흥태 (4)
(법학 86)
결과세한대 흑 13집반승
2차전(3점)
(3:3 릴레이)
초장김병훈
(생활체육 19)
김남헌
(중어중문 19)
중장함영우
(생활체육 08)
안병운
(영어영문 81)
종장김영민
(생활체육 09)
이재윤
(법학 08)
결과세한대 흑 불계승
승점50

  • 2차전 초반전은 동갑내기 19학번 재학생들이 대결했고, 종반전은 1차전 페어대국에서 붙었던 선수들이 다시 만났다.


4.2.8. 8경기 : 경북대 - 전북대[편집]


  • 1차전 ~ 2차전 - 11월 11일 방송, 3차전 - 11월 18일 방송
  • 진행 - 심우섭, 해설 - 김만수
16강 8경기 경북대전북대
1차전(2점)
(2:2 페어)
1~2- (-)
(-)
- (-)
(-)
3~4- (-)
(-)
- (-)
(-)
결과- 대 - 승
2차전(3점)
(3:3 릴레이)
초장-
(-)
-
(-)
중장-
(-)
-
(-)
종장-
(-)
-
(-)
결과- 대 - 승
3차전
(1:1 개인전)
주장
(2점)
--
2장
(1점)
--
3장
(1점)
--
승점00


4.3. 8강전[편집]




4.3.1. 1경기 : 한국외대 - 경희대[편집]


  • 1차전 - 11월 18일 방송, 2차전 ~ 3차전 - 11월 19일 방송
  • 진행 - 이유민, 해설 - 장수영

8강 1경기 한국외대경희대
1차전(2점)
(2:2 페어)
1~2- (-)
(-)
- (-)
(-)
3~4- (-)
(-)
- (-)
(-)
결과- 대 - 승
2차전(3점)
(3:3 릴레이)
초장-
(-)
-
(-)
중장-
(-)
-
(-)
종장-
(-)
-
(-)
결과- 대 - 승
3차전
(1:1 개인전)
주장
(2점)
--
2장
(1점)
--
3장
(1점)
--
승점00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2 04:58:19에 나무위키 제17회 한세실업배 대학동문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계시기에는 시간패널티 포함 33분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번 대회도 계시원 없이 운영되므로 계시기는 출전하는 선수들이 직접 누른다. 단, 지난 대회와는 달리 스튜디오에서 썼던 디지털 계시기가 아닌 한국기원에서 쓰는 전자계시기를 쓴다. 그래서 대국 시작, 시간 패널티 공제는 제작진에서 안내방송 멘트로 한다.[2] 인하대 시간 패널티 3회(15집 공제)[3] 경희대 시간 패널티 1회(5집 공제), 성균관대 시간 페널티 3회(15집 공제) / 경희대는 2분 25초, 성균관대는 58초를 남기고 시간이 해제됐다. 계가 결과는 흑 29집, 백 45집으로 반면 16집으로 덤을 더하면 원래는 백의 22집반승이나 패널티를 합해 10집 공제가 추가로 됐기 때문에 백의 32집반승이 됐다.[4] 흑 4집반승[5] 시간 패널티 2회(10집 공제)[6] 백 9집반승[7] 영남대 시간 패널티 2회(10집 공제), 영남대 측에서 10집 공제가 되자마자 돌을 거뒀다 [8] 백(중앙대)은 집이 없고 흑(방송대)이 반상에 10집, 사석 4개로 총 반면 14집이 됐다.[9] 동국대 시간 패널티 3회(15집 공제), 홍익대 시간 패널티 1회(5집 굥제) / 대마싸움이 벌어졌는데 홍익대의 실수를 동국대가 응징하지 못하며 바둑이 끝나버렸고, 동국대 측에서 8초를 남기고 더이상 해볼데가 없다고 판단해 계시기 근처에 앉아있던 장인준 선수가 계시기 전원을 끔으로써 돌을 거둔 것을 갈음했다.[10] 홍익대 시간 패널티 3회(15집 공제), 홍익대가 단 1초를 남기고 시간이 해제됐다. 계가 결과는 흑 41집, 백 27집으로 반면 14집, 덤을 더해고 7집반을 흑이 남겼고 상대 시간 패널티를 더해 동국대의 흑 22집반승이 됐다.[11] 흑 22집반승[12] 시간 패널티 3회(15집 공제)[13] 백 시간승, 시간 패널티 1회(5집 공제)[14] 서울대 시간 패널티 3회(15집 공제). 고려대 시간 패널티 2회 (10집 공제) / 바둑은 반집승부였는데 반면 7집으로 고려대가 반집승을 거둔 바둑이었으며 시간 패널티 합계로 서울대로 부터 5집을 더 받아서 총 5집반승이 됐다.[15] 서울대 시간 패널티 1회(5집 공제), 고려대 시간 패널티 3회(15집 공제) / 고려대가 2초를 남기고 시간이 해제됐다, 원래는 백의 16집 반승이나 시간패널티 합계 10집으로 총 26집반승이 됐다.[16] 흑 불계승[17] 흑 17집반승[18] 시간 패널티 1회(5집 공제)[19] 양 팀 시간 패널티 2회(각 10집 공제)[20] 흑 불계승[21] 흑 불계승[22] 흑 불계승[23] 층남대 시간 패널티 1회(5집 공제)[24] 숭실대 시간 패널티 2회(10집 공제) / 계가 결과 백이 44집, 흑이 61집으로 반면 17집으로 흑이 이겨서 덤을 제하면 10반을 흑이 남겼는데 숭실대는 만약 시간 패널티가 3회째였을 경우엔 역전패를 당할 뻔했으나 다행히 시간 패널티 2번으로 10집을 공제 당하며 딱 반집을 남겼다.[25] 좌상에서 조항진 선수가 착각해 살아있는 돌을 들어내는 반칙을 저질러 숭실대의 반칙패가 됐다.[26] 흑 반집승[27] 아주대 시간 패널티 2회(10집 공제)[28] KAIST 시간 패널티 3회(15집공제), 방송대 반칙 1회 + 시간 패널티 3회(18집 공제) / 계가 결과 흑 28집, 백 39집으로 반면 11집을 백이 이겼고 양팀 합쳐 3집 공제까지 추가해 총 반면 14집으로 덤(6.5)까지 추가해 20집 반이 됐다.[29] 시간 패널티 2회(10집 공제)[30] 원래는 이승진 선수의 백 7집반승이었으나 시간패널티 10집으로 인해서 이용만 선수의 흑 2집반승으로 뒤바뀌었다.[31] 연세대 반칙 1회[32] 양 팀 모두 시간 패널티 1회 + 반칙 1회(각 8집 공제), 바둑은 서울대쪽으로 크게 기울어져서 조선대에서 반칙 패널티를 받은 직후 계시기 시계를 꺼서 돌을 거뒀다.[33] 조선대 시간 패널티 1회(5집 공제), 계가 결과는 반면 빅이기 때문에 백의 6집반승이나, 시간 패널티까지 더해 11집반승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