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8회 하찬석 국수배 영재바둑대회

덤프버전 :

1. 개요
2. 본선
2.1. 28강
2.2. 16강
2.3. 8강
2.4. 준결승 이후 결승 3번기까지
3. 결과
4. 특별대국
4.1. (연승대항전 : 1국 청와대 세트장 2국부터는 바둑TV 스튜디오)
4.2. 영재vs정상 기념대국
5. 차기 대회


1. 개요[편집]


2020년 실시되는 하찬석 국수배 영재바둑대회. 이번 대회부터는 영재최강전의 명칭도 혼용된다.


2. 본선[편집]


  • 이 대회는 합천군청에서 출전자를 지명하는 초청기전이므로 예선이 없다.


2.1. 28강[편집]


대국일정대국자(흑)대국자(백)승리다시보기 링크비고
2020년 2월 25일선승민현유빈196수 백 7집반승(없음)
이우람허서현148수 백 불계승
김경은김노경153수 흑 불계승
윤예성한우진148수 백 불계승
김경환김상인177수 흑 불계승
이 연김영광131수 흑 불계승
심준섭김동우180수 백 불계승
정우진오병우282수 백 반집승
김은지유창주308수 백 불계승
문지환양유준238수 백 불계승
최은규박소율253수 흑 불계승
김선기정유진161수 흑 불계승


2.2. 16강[편집]


대국일정대국자(흑)대국자(백)승리다시보기 링크
1국2020년 3월 12일 19시허서현현유빈180수 백 불계승#Part1
#Part2
2국2020년 3월 13일 19시김경은김유찬324수 흑 반집승#Part1
#Part2
3국2020년 3월 14일 19시김경환한우진135수 흑 불계승#Part1
#Part2
4국2020년 3월 19일 19시권효진(남)이 연217수 흑 불계승#Part1
#Part2
5국2020년 3월 20일 19시김동우유창주255수 흑 불계승#Part1
#Part2
6국2020년 3월 21일 19시김선기박동주199수 흑 불계승#Part1
#Part2
7국2020년 3월 26일 19시오병우최은규179수 흑 불계승#Part1
#Part2
8국2020년 3월 27일 19시양유준문민종271수 백 10집반승#Part1
#Part2


2.3. 8강[편집]


대국일정대국자(흑)대국자(백)승리다시보기 링크
1국2020년 3월 31일 19시현유빈김경은199수 흑 불계승#Part1
#Part2
2국2020년 4월 6일 19시권효진(남)김동우305수 흑 5집반승#Part1
#Part2
3국2020년 4월 7일 19시김선기오병우198수 백 불계승#Part1
#Part2
4국2020년 4월 8일 19시김경환문민종195수 흑 불계승#Part1
#Part2


2.4. 준결승 이후 결승 3번기까지[편집]


대국일정대국자(흑)대국자(백)승리다시보기 링크
준결1국2020년 4월 23일 목요일 19시오병우김경환200수 백 불계승#Part1
#Part2
준결2국2020년 4월 24일 금요일 19시현유빈권효진(남)228수 흑 12집반승#Part1
#Part2
-
대국일정대국자(흑)대국자(백)승리다시보기 링크[1][2]
01국2020년 5월 4일 월요일 19시현유빈김경환101수 흑 불계승#Full
02국2020년 5월 5일 화요일 19시김경환현유빈203수 흑 불계승#Part1
#Part2
03국2020년 5월 6일 수요일 19시현유빈김경환173수 흑 불계승#Full


3. 결과[편집]


우승준우승공동3위
현유빈김경환오병우, 권효진


4. 특별대국[편집]



4.1. (연승대항전 : 1국 청와대 세트장 2국부터는 바둑TV 스튜디오)[편집]


대국명구분시간대국자(여자정상)대국자(역대영재)결과경기영상 링크비고
역대영재
vs
여자정상
01국6. 26 오전 10시조혜연 九단현유빈 二단202수 백 불계승#Part1
#Part2
이유민 캐스터
이희성 해설
02국6. 30 오후 2시조승아 三단222수 백 불계승#Part1
#Part2
최유진 캐스터
백성호 해설
03국7. 01 오후 2시문민종 二단253수 흑 불계승#Part1
#Part2
04국7. 07 오후 2시김채영 六단311수 백 반집승#Part1
#Part2
05국7. 08 오후 2시박현수 三단225수 흑 불계승#Part1
#Part2
06국7. 14 오후 2시오유진 七단285수 백 반집승#Part1
#Part2
07국7. 15 오후 2시박종훈 四단[최종2승]139수 흑 불계승#Part1
#Part2
08국7. 21 오후 2시최정 九단-수 흑 불계승#Part1
#Part2


4.2. 영재vs정상 기념대국[편집]


현재 국내1위의 정상 기사로 초청한 신진서와 이 문서의 대회우승자인 현유빈의 대국이 해당된다. 대국장소는 여자정상 1국 때의 합천 청와대 세트장이다.그런데 너무 잘 지어져서인지, 서울에 있는 거기로 착각한 사람이 있다(...)
해설진은 '이유민 캐스터-백성호 해설'이다. 결과는 신진서 백 불계승이다.
현유빈의 현재 기력보다는 글로비스 우승 이후의 문민종 기력을 좀 더 높게 보는 반응이 많았던 탓에, 현유빈의 패배에 그다지 감흥이 없는 듯한 바둑팬들이 꽤 있었다. 단, 새삼스럽지만 영재정상 대국은 지도기에 가까운 대국인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


5. 차기 대회[편집]


제9회 하찬석 국수배 영재바둑대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7:11:04에 나무위키 제8회 하찬석 국수배 영재바둑대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단, 준결 이전의 다시보기 영상 인트로 구간을 생각하면 실망하게 된다. 그 영상들에 비해 편집처리가 안된 편이기 때문.[2] 1국과 3국은 다시보기 영상이 단독으로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