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성노호/1999년

덤프버전 :

||


주성노호
TEAM KOREA
파일:external/66.media.tumblr.com/tumblr_ocb7ddLSsO1sqk8veo6_r1_500.png
감독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주성노
주장
C
심재학
킷 스폰서파일:나이키 로고.svg 나이키
팀 스폰서-
참가대회1999년 제 20회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최종성적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6전 6승
선수성적
[ 펼치기 · 접기 ]
타자부분
【최다 타수】
【최다 안타】
【최다 홈런】
【최다 타점】
【최다 득점】
【최다 도루】

투수부분
【최다 출전】
【최다 이닝】
【최다 승리】
【최다 홀드】 -
【최다 세이브】 -
【최다 탈삼진】
파일:아시안 게임 로고.svg 1998년파일:아시아 야구 연맹 로고.png 1999년파일:오륜기(여백X).svg 2000년

1. 개요
2. 코칭 스태프
3. 최종 엔트리
4. 대회 준비
5.1. 예선 1차전 Vs 중국
5.2. 예선 2차전 Vs 태국
5.3. 본선 1차전 Vs 중국
5.4. 본선 2차전 Vs 대만
5.5. 본선 3차전 Vs 일본
6. 여담


1. 개요[편집]


1999년 제 20회 아시아야구선수권대회에 참가하는 대표팀.

시드니 올림픽 아시아 지역예선은 1999년 아시아야구선수권대회와 겸해 치루어졌으며, 예선 엔트리는 드림팀 II라 하여 또 다르다. 한국 잠실 야구장에서 1999년 9월 11일부터 9월 17일까지 개최되었다. 대회기간 동안인 9월 9일부터 9월 17일까지 KBO 리그 중단이 있었다.

처음으로 나무방망이가 사용되는 대회[1]였으나 압축배트가 허용되어 논란이 꽤 있었다.##, ##[2]


2. 코칭 스태프[편집]



직책등번호이름소속비고
감독75주성노JU Sungno인하대학교 야구부 감독
투수 코치73양상문YANG Sangmoon롯데 자이언츠 1군 투수코치
타격 코치72최정우CHOI JungwooLG 트윈스 코치
주루 코치74신현석SHIN Hyunseok포스틸 야구단 감독[3]

  • 방콕 아시안 게임에 이어 이 대회에도 프로-아마 혼합 대표팀을 꾸리기로 결정한다.##, ## 그리고 감독은 1998년 대표팀을 성공적으로 이끈 주성노 감독이 재임명되었다.## 대표팀 최종 엔트리 발표 4일 후에 코치진 선임도 완료되었다.


3. 최종 엔트리[편집]


원래 선수 명단은 8월 5일에 발표할 계획이었으나, 도핑 테스트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이를 감안하여 사흘 앞당긴 8월 2일에 발표하기로 결정되었다.

등번호이름소속투타비고
투수
15구대성KOO Daesung한화 이글스좌투좌타
20정민태JUNG Mintae현대 유니콘스우투우타
21경헌호KYEONG Heonho한양대우투우타[LG]
28주형광JOO Hyungkwang롯데 자이언츠좌투좌타[A]
29문동환MOON Donghwan롯데 자이언츠우투우타
35진필중JIN Piljung두산 베어스우투우타[A]
39임창용LIM Changyong삼성 라이온즈우사우타
51조용준JO Youngjun연세대우투우타[현대][A]
55정민철JUNG Minchul한화 이글스우투좌타[A]
포수
2김동수KIM DongsooLG 트윈스우투우타
22홍성흔HONG Seongheun두산 베어스우투우타
44김상훈KIM Sanghun고려대우투우타[해태]
내야수
5김한수KIM Hansoo삼성 라이온즈우투우타[A]
6류지현RYU JihyunLG 트윈스우투우타
14신명철SHIN Myeongcheol연세대우투우타[롯데]
16박정태PARK Jungtae롯데 자이언츠우투우타
18김동주KIM Dongjoo두산 베어스우투우타
36이승엽LEE Seungyuop삼성 라이온즈좌투좌타[A]
42김민호KIM Minho두산 베어스우투우타[A]
외야수
8정수근CHUNG Soogeun두산 베어스좌투좌타[A]
9이병규LEE ByungkyuLG 트윈스좌투좌타
10양준혁YANG Joonhyuk해태 타이거즈좌투좌타
33박한이PARK Hanyi동국대좌투좌타[삼성]
62박재홍PARK Jaehong현대 유니콘스우투우타


  • 팀별 차출 현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이름합계
두산진필중 홍성흔 김동주 김민호 정수근5
롯데주형광 문동환 박정태3
삼성임창용 김한수 이승엽3
한화구대성 정민철2
현대정민태 박재홍2
LG김동수 류지현 이병규3
해태양준혁1
쌍방울0
아마경헌호 조용준 김상훈 신명철 박한이5
합계-24


4. 대회 준비[편집]


도핑 테스트가 진행되었고 전원 통과되었다. ##

일본 언론에서 상당한 관심을 가졌다. 일본 대표팀은 마쓰자카 다이스케, 후루타 아츠야등 프로 소속이 8명 뿐인데 비해 한국대표팀은 2배가 넘는 19명이 프로 선수이기 때문. ## 일본의 에이스 마쓰자카 다이스케(세이부 라이온스)와 한국의 에이스 이승엽(삼성 라이온즈)간의 맞대결을 기대하는 분위기도 있었다. ##

9월 9일부터 합숙훈련에 들어갔다. ##


5. 제20회 아시아야구선수권[편집]


제 20회 아시아선수권야구대회 예선 조 편성
A조B조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파일:WBSC 중국 국기.png파일:WBSC 태국 국기.png파일:WBSC 일본 국기.png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파일:WBSC 필리핀 국기.png

한국 대표팀은 예선 2승, 결선 3승 무패의 괴력을 보여주었으며, 최종적으로는 예/결선 5승 무패의 한국과 4승 1패의 일본이 시드니 올림픽 출전권을 얻게 되었다.


5.1. 예선 1차전 Vs 중국[편집]


파일:2000 시드니 올림픽 로고.svg · 파일:2000 시드니 야구 픽토그램.png2000 시드니 올림픽 아시아 예선
Games of the XXVII Olympiad

━━━━━━━━━━━━━━━━━━━━━━━━━━━━
예선 1차전, 9.11, 14:00, 명 잠실 야구장
선발1234567RHEB
파일:WBSC 중국 국기.png 중국00000000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조용준106003X10

약체 중국을 상대로 콜드승리를 거두었다. 조용준은 1피안타 5K, 정민철과 진필중은 각각 4K, 1K를 기록했다.


5.2. 예선 2차전 Vs 태국[편집]


파일:2000 시드니 올림픽 로고.svg · 파일:2000 시드니 야구 픽토그램.png2000 시드니 올림픽 아시아 예선
Games of the XXVII Olympiad

━━━━━━━━━━━━━━━━━━━━━━━━━━━━
예선 3차전, 9.13, 14:00, 명 잠실 야구장
선발1234567RHEB
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경헌호230141011
파일:WBSC 태국 국기.png 태국와치라00000000

A조에서는 태국이 탈락했으며 B조에서는 필리핀이 탈락하며 한국, 중국, 일본, 대만 4개국이 경합하게 되었다.


5.3. 본선 1차전 Vs 중국[편집]




5.4. 본선 2차전 Vs 대만[편집]


양팀 선발투수는 한국은 정민태, 대만은 곽원치(궈위안즈).[4]

5회까지는 2대2의 팽팽한 접전. 한국은 6회 이승엽의 홈런과 김동수의 적시타가 나오면서 4대2로 앞서나간다. 그렇지만 8회 구원투수 임창용이 대만 4번타자 천진펑에게 2타점 적시타를 맞으면서 동점 허용. 결국 연장 11회 박재홍의 끝내기안타로 경기를 마무리한다.[5]. 한국은 이 경기를 이기면서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하였다.

다만, 이 경기는 연장 11회 접전으로 갔기 때문에 하마터면 홈에서 예선탈락을 하는 망신을 당할 뻔 했다. 특히 당시 해설이었던 허구연이 클로징멘트에서 이 부분에 대한 일침을 가하면서 훗날 삿포로 참사(야구)에 대한 암시를 주기도 한다.


5.5. 본선 3차전 Vs 일본[편집]


[6]
양팀 선발투수는 한국은 정민철, 일본은 고이케 히데오.[7]

한국은 4회초 선발투수 정민철이 먼저 2실점하지만 4회말 이병규와 박재홍의 안타로 한점을 따라붙는다. 그리고 6회말 박재홍과 김동주의 연이은 적시타로 역전에 성공. 7회말에도 이병규의 쇄기타로 5대3까지 앞서나간다.

한편, 4대3 한점 리드 상황에서 7회초부터 올라온 구대성은 3이닝 동안 6연속 탈삼진 포함 무실점으로 경기를 마무리한다.[8]

경기 결과, 올림픽 출전권은 대회 1등 한국과 2등 일본이 따내게 된다.


6. 여담[편집]


  • 대한야구협회한국야구위원회 사이의 알력싸움이 상당했던 대표팀이었다. 대표팀 선발까지는 문제 없이 이루어 졌으나 스폰서 문제, 아마야구 지원문제 등으로 고성이 오가는 등 팀 성적이 나오지 않았으면 엄청난 비판을 받을 행돌들이 나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09:05:31에 나무위키 주성노호/1999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방콕 아시안 게임부터 프로선수가 참가함에 따라, 프로 소속 선수가 1명이라도 참가하는 대회의 경우 무조건 나무방망이를 사용하는 것으로 확정되었다.[2] 결국 압축배트는 2004년에서야 국제적으로 사용이 전면 금지되었다.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경우 이 시기에도 사용이 금지되어 있었으나, 새미 소사의 코르크 배트 사건이 2003년에 터지면서 잠시 이슈가 되기도 했다.[3] 1998년 방콕 아시안게임 대표팀 코치로 참가한 경력이 있음.[LG] LG 트윈스 기지명[A] A B C D E F G H 성인대표팀 첫 발탁[현대] 현대 유니콘스 기지명[해태] 해태 타이거즈 기지명[롯데] 롯데 자이언츠 기지명[삼성] 삼성 라이온즈 기지명[4] 1988년 일본프로야구 센트럴리그 MVP 출신으로 당시 기준 나이 만 43세. 일본프로야구 커리어를 보내던 중 1989년 9월에 일본 국적을 취득했던 적도 있었지만 1999년에는 일본에서 귀국한 상태로, 대만프로야구에서 뛰고 있었다.[5] 이때 끝내기안타를 맞았던 허명걸(쉬밍지에)은 이듬해인 2000년에 일본프로야구 세이부 라이온즈에 입단해서 무려 2011년까지 세이부 한팀에서만 선수생활을 한다(2012~13년 오릭스 버팔로즈를 거쳐 대만 복귀). 허명걸은 세이부에서의 초기인 2004년까지는 나름 준수한 활약을 했고, 2002년 팀의 퍼시픽리그 우승에도 힘을 보탠다.[6] 앞부분에 잠시 대만전 하이라이트가 짧게 나옴.[7] 당시 긴테쓰 버팔로스 소속으로 1997년 일본프로야구 퍼시픽리그 다승왕.[8] 사실 이전부터 일본에서 구대성에 대한 관심은 늘 있어왔지만, 이 대회를 계기로 본격적으로 일본 스카우트들의 집중 타켓이 된다. 반면 이미 해외진출 자격요건(7년)을 획득해 대회직전까지 스카우트들의 관심 1순위였던 정민철은 상대적으로 부진한 모습과 떨어진 직구구속으로 실망감을 주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