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케이틀린 하와예크 / 장 루크 베이커

덤프버전 :

케이틀린 하와예크 / 장 루크 베이커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사대륙선수권
||
[ 펼치기 · 접기 ]

1회1999 핼리팩스파일:캐나다 국기.svg 셰린 본 / 빅토르 크라츠2회2000 오사카파일:캐나다 국기.svg 나오미 랑 / 피터 체니셰프
3회2001 솔트레이크 시티파일:캐나다 국기.svg 셰린 본 / 빅토르 크라츠4회2002 전주파일:캐나다 국기.svg 나오미 랑 / 피터 체니셰프
5회2003 베이징파일:캐나다 국기.svg 셰린 본 / 빅토르 크라츠6회2004 해밀턴파일:미국 국기.svg 타니스 벨빈 / 벤자민 아고스토
7회2005 강릉파일:미국 국기.svg 타니스 벨빈 / 벤자민 아고스토8회2006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미국 국기.svg 타니스 벨빈 / 벤자민 아고스토
9회2007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캐나다 국기.svg 마리프랑스 뒤브뢰유 / 파트리스 로종10회2008 고양파일:캐나다 국기.svg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11회2009 밴쿠버파일:미국 국기.svg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12회2010 전주파일:캐나다 국기.svg 케이틀린 위버 / 앤드류 포제
13회2011 타이페이파일:미국 국기.svg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14회2012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캐나다 국기.svg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15회2013 오사카파일:미국 국기.svg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16회2014 타이페이파일:미국 국기.svg 매디슨 허벨 / 재커리 도너휴
17회2015 서울파일:캐나다 국기.svg 케이틀린 위버 / 앤드류 포제18회2016 타이페이파일:미국 국기.svg 마이아 시부타니 / 알렉스 시부타니
19회2017 강릉파일:캐나다 국기.svg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20회2018 타이페이파일:미국 국기.svg 케이틀린 하와예크 / 장 루크 베이커
21회2019 애너하임파일:미국 국기.svg 매디슨 척 / 에반 베이츠22회2020 서울파일:미국 국기.svg 매디슨 척 / 에반 베이츠
23회2021 시드니취소COVID-1924회2022 탈린파일:미국 국기.svg 캐럴라인 그린 / 마이클 파슨즈
25회2023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미국 국기.svg 매디슨 척 / 에반 베이츠26회2024 상하이파일:국기.svg ?
27회2025 서울파일:국기.svg ?28회?파일:국기.svg ?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주니어 세계선수권
||
[ 펼치기 · 접기 ]

1회(1976년) ~ 50회(2025년)
[ 펼치기 · 접기 ]

1회1976 므제브파일:영국 국기.svg 캐서린 윈터 / 니콜라스 슬래터2회1977 므제브파일:영국 국기.svg 웬디 세션 / 마크 리드
3회1978 므제브파일:소련 국기.svg 타티아나 두라소바 / 세르게이 포노마렌코4회1979 아우크스부르크파일:소련 국기.svg 타티아나 두라소바 / 세르게이 포노마렌코
5회1980 므제브파일:소련 국기.svg 옐레나 바타노바 / 알렉세이 솔로비요프6회1981 런던파일:소련 국기.svg 옐레나 바타노바 / 알렉세이 솔로비요프
7회1982 오버스트도르프파일:소련 국기.svg 나탈리아 아넨코 / 바딤 카르카첸코8회1983 사라예보파일:소련 국기.svg 타티아나 글라드코바 / 이고르 슈필반드
9회1984 삿포로파일:소련 국기.svg 옐레나 크리카노바 / 예브게니 플라토프10회1985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소련 국기.svg 옐레나 크리카노바 / 예브게니 플라토프
11회1986 사라예보파일:소련 국기.svg 옐레나 크리카노바 / 예브게니 플라토프12회1987 키치너파일:소련 국기.svg 일리오나 멜니첸코 / 겐나디 카스코프
13회1988 브리즈번파일:소련 국기.svg 옥사나 그리슈크 / 알렉산더 치츠코프14회1989 사라예보파일:소련 국기.svg 안젤리카 커크매이어 / 드미트리 라구틴
15회1990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소련 국기.svg 마리나 아니시나 / 일리야 아베부흐16회1991 부다페스트파일:소련 국기.svg 알리키 스터기아두 / 유리 라즈굴리아예프
17회1992 헐파일:소련 국기.svg 마리나 아니시나 / 일리야 아베부흐18회1993 서울파일:러시아 국기.svg 예카테리나 스비리나 / 세르게이 사크노브스키
19회1994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폴란드 국기.svg 실비아 노박 / 세바스찬 콜라신스키20회1995 부다페스트파일:러시아 국기.svg 올가 샤루텐코 / 드미트리 나움킨
21회1996 브리즈번파일:러시아 국기.svg 예카테리나 다비도바 / 로만 코스토마로프22회1997 서울파일:러시아 국기.svg 니나 울라노바 / 미하일 스티포닌
23회1998 세인트 존파일:미국 국기.svg 제시카 조셉 / 찰스 버틀러 Jr.24회1999 자그레브파일:미국 국기.svg 제이미 실버스테인 / 저스틴 페카렉
25회2000 오버스트도르프파일:러시아 국기.svg 나탈리아 로마니우타 / 다닐 바렌체프26회2001 소피아파일:러시아 국기.svg 나탈리아 로마니우타 / 다닐 바렌체프
27회2002 하마르파일:미국 국기.svg 타니스 벨빈 / 벤자민 아고스토28회2003 오스트라바파일:러시아 국기.svg 옥사나 돔니나 / 막심 샤발린
29회2004 헤이그파일:러시아 국기.svg 옐레나 로마노브스카야 / 알렉산더 그라체프30회2005 키치너파일:미국 국기.svg 모건 매튜스 / 막심 자보진
31회2006 류블랴나파일:캐나다 국기.svg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32회2007 오버스트도르프파일:러시아 국기.svg 예카테리나 보브로바 / 드미트리 솔로비요프
33회2008 소피아파일:미국 국기.svg 에밀리 사뮤엘슨 / 에반 베이츠34회2009 소피아파일:미국 국기.svg 매디슨 척 / 그레그 주에를린
35회2010 헤이그파일:러시아 국기.svg 옐레나 일리니크 / 니키타 카찰라포프36회2011 강릉파일:러시아 국기.svg 크세니아 몬코 / 키릴 할리아빈
37회2012 민스크파일:러시아 국기.svg 빅토리아 시니치나 / 루슬란 지간신38회2013 밀라노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산드라 스테파노바 / 이반 부킨
39회2014 소피아파일:미국 국기.svg 케이틀린 하와예크 / 장 루크 베이커40회2015 탈린파일:러시아 국기.svg 안나 야노브스카야 / 세르게이 모즈고프
41회2016 데브레첸파일:미국 국기.svg 로레인 맥나마라 / 퀸 카펜터42회2017 타이베이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첼 파슨즈 / 마이클 파슨즈
43회2018 소피아파일:러시아 국기.svg 아나스타샤 스콥초바 / 키릴 알료신44회2019 자그레브파일:캐나다 국기.svg 마죠리 라주아 / 재커리 라가
45회2020 탈린파일:미국 국기.svg 에이번리 응우옌 / 바딤 콜레스닉46회2021 하얼빈취소COVID-19
47회2022 탈린파일:미국 국기.svg 우나 브라운 / 게이지 브라운48회2023 캘거리파일:체코 국기.svg 카테르지나 므라즈코바 / 다니엘 므라제크
49회2024 타이베이파일:국기.svg ?50회2025 데브레첸파일:국기.svg ?

51회(2026년) ~
[ 펼치기 · 접기 ]

51회2026 탈린파일:국기.svg ?52회?파일:국기.svg ?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파일:하베네2.jpg
이름케이틀린 하와예크
Kaitlin Hawayek
장 루크 베이커
Jean-Luc Baker
출생1996년 11월 4일 (27세)1993년 10월 7일 (30세)
뉴욕주 버팔로잉글랜드 랭커셔 주 번리
신체160cm170cm
이전 파트너마이클 브라만트조일린 양,
니콜 맥클러렌
링크(개별)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링크(공통)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종목피겨 스케이팅
코치마리프랑스 뒤브뢰유 / 파트리스 로종
1. 개요
1.1. 케이틀린 하와예크
1.2. 장 루크 베이커
2. 선수 경력
2.1. 2012-13 시즌
2.2. 2013-14 시즌
2.3. 2014-15 시즌
2.4. 2015-16 시즌
2.5. 2016-17 시즌
2.6. 2017-18 시즌
2.7. 2018-19 시즌
2.8. 2019-20 시즌
2.9. 2020-21 시즌
2.10. 2021-22 시즌
2.11. 2022-23 시즌
3. 기록
4. ISU 공인 최고점수
5. 커리어
6. 기타



1. 개요[편집]


미국피겨 스케이팅 아이스 댄스 선수이다.


1.1. 케이틀린 하와예크[편집]


오빠 2명이 모두 아이스하키 선수여서, 어릴 때부터 엄마와 오빠들을 따라 링크장에 자주 다녔고 1999년부터 스케이팅을 시작했다. 처음 시작했을 땐 싱글 선수였으나, 2010년 6월 마이클 브라만테와 팀을 결성하며 아이스 댄스로 전향했다. 2011 전미 노비스선수권 동메달을 시작으로 2011 JGP 루마니아 4위, 2011 JGP 에스토니아 8위, 2012 전미 주니어선수권 6위를 기록했다. 2011-12 시즌이 끝나고 팀은 해체되었다.


1.2. 장 루크 베이커[편집]


영국의 전직 페어 선수 스티븐 베이커와 전직 아이스 댄스 선수 샤론 존스 베이커 밑에서 태어났다. 4살 때 미국 워싱턴으로 이민을 왔고 고등학교 졸업 이후에는 디트로이트로 이주했다.

부모님의 권유로 1995년부터 스케이팅을 시작했다. 처음에는 싱글 선수였으나, 어머니에게 영감을 받아 아이스 댄스로 전향했다. 2006년 여름 조일린 양과 팀을 결성하여 2010-11 시즌까지 활동했다. 2011-12 시즌에는 니콜 맥클러렌과 잠시 파트너십을 맺어 선수 생활을 했다.


2. 선수 경력[편집]


두 선수는 2012년 6월 팀을 결성하여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다.


2.1. 2012-13 시즌[편집]


주니어 그랑프리 4차 2012 JGP 튀르키예에서 5위를 하며 주니어 그랑프리 데뷔를 했다. 이후 주니어 그랑프리 7차 2012 JGP 독일에서는 은메달을 따며 첫 주니어 그랑프리 메달을 얻었다. 2013 전미 주니어선수권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하고, 2013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는 7위를 했다.


2.2. 2013-14 시즌[편집]


2013 JGP 멕시코2013 JGP 폴란드에서 모두 우승하며 파이널에 진출했다.

2013-14 JGP 파이널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4 전미 주니어선수권에서는 우승했다. 2014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는 쇼트와 총점 부문에서 주니어 세계신기록을 세우며 우승했다.


2.3. 2014-15 시즌[편집]


챌린저 시리즈 네벨혼 트로피에서 4위를 하며 시니어 무대에 데뷔했다. 2014 로스텔레콤 컵에서 6위, 2014 NHK 트로피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5 전미선수권에서는 4위를 하며 첫 내셔널 포디움에 들었다. 3위를 한 매디슨 허벨 / 재커리 도너휴 조가 사대륙선수권에 참가하지 않아 대신 참가해 5위를 기록했다.


2.4. 2015-16 시즌[편집]


챌린저 시리즈 핀란디아 트로피에서 4위를 했다. 2015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4위를 하고, 2015 컵 오브 차이나는 쇼트 댄스 4시간 전 하와예크가 식중독에 걸려 기권하였다. 그랑프리 시리즈가 끝나고 챌린저 시리즈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에 참가해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6 전미선수권에서는 5위를 기록했다.


2.5. 2016-17 시즌[편집]


챌린저 시리즈 어텀 클래식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6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6위, 2016 NHK 트로피에서 4위를 하며 그랑프리 시리즈를 마쳤다. 이후 챌린저 시리즈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에 참가해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7 전미선수권에서는 5위를 기록했다.


2.6. 2017-18 시즌[편집]


챌린저 시리즈 U.S. 인터내셔널 클래식에 참가해 2위를 했다. 2017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4위, 2017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5위를 하며 그랑프리 시리즈를 마쳤다. 챌린저 시리즈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에 참가해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8 전미선수권에서는 4위를 하며 올림픽에는 참가할 수 없게 되었다. 대신 2018 사대륙선수권에 참가해 우승을 차지했다. 올림픽이 끝나고 마이아 시부타니 / 알렉스 시부타니 조가 세계선수권에 참가하지 않아, 대신 참가해서 10위를 기록했다. 시즌이 끝나고 마리프랑스 뒤브뢰유 / 파트리스 로종으로 코치를 변경하였다.


2.7. 2018-19 시즌[편집]


2018년 8월, 베이커가 훈련 도중 뇌진탕에 걸려 핀란디아 트로피를 기권했다. 2018 NHK 트로피로 복귀했으며 이 대회에서 우승했다. 이어진 2018 엔테르나시오노 드 프랑스에서도 동메달을 획득하며 처음으로 파이널에 진출, 6위를 기록했다. 2019 전미선수권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9 사대륙선수권2019 세계선수권에서는 각각 5위와 9위에 올랐다.


2.8. 2019-20 시즌[편집]


2019 CS 네벨혼 트로피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9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4위, 2019 컵 오브 차이나에서 5위를 기록했다.
2020 전미선수권에서는 작년과 동일하게 동메달을 획득했다. 2020 사대륙선수권에서는 6위를 했다.


2.9. 2020-21 시즌[편집]


ISP 포인트 챌린지(온라인 경기) 2차에서 195.70점으로 2위를 했고 1,2차 합산 결과 최종 2위를 차지했다.[1]
2020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은메달, 2021 전미선수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21 세계선수권에서는 9위를 기록했다. 2021 월드 팀 트로피에서는 개인 3위, 팀 2위를 기록했다.


2.10. 2021-22 시즌[편집]


2021 NHK 트로피에 배정을 받았으나 하와예크가 뇌진탕에 걸려 기권했다. 2021 로스텔레콤 컵에서는 5위, 2021 CS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에서는 1위를 차지했다.
2022 전미선수권에서는 동메달을 따고,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는 11위를 기록했다. 2022 세계선수권에서는 8위에 오르며 시즌을 마무리했다.


2.11. 2022-23 시즌[편집]


2022 CS 핀란디아 트로피에서 프리 댄스와 총점에서 개인 최고점을 세우며 2위를 차지했다. 2022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선 리듬, 프리, 총점에서 모두 최고점을 세우며 2위를 차지했다.

2022 그랑프리 오브 에스포에서 리듬 댄스에서 클린을 하며 80.93점으로 개인 최고점을 세웠고 프리 댄스에서는 121.53점을 받아 총점 202.46점으로 개인 최고점을 세우며 은메달을 획득해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하게 되었다.

2022-23 그랑프리 파이널에 출전해 리듬 댄스에서 두 개의 스텝 요소에서 레벨을 놓쳐 79.50점을 받았다. 프리 댄스에서는 원 풋 턴과 스텝에서 레벨을 놓쳐 118.56점을 받아 총점 198.06점으로 5위를 기록했다.


3. 기록[편집]


  • 2017-18 시즌까지의 채점제에서 주니어 2개의 세계신기록을 세웠다.
주니어 아이스 댄스 총점 기록
날짜점수대회비고
2014.03.14157.122014 주니어 세계선수권2015년 9월 5일 로레인 맥나마라 / 퀸 카펜터 조에 의해 경신.
주니어 아이스 댄스 쇼트 기록
날짜점수대회비고
2014.03.1266.732014 주니어 세계선수권레이첼 파슨즈 / 마이클 파슨즈 조에 의해 경신.


4. ISU 공인 최고점수[편집]




5. 커리어[편집]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사대륙선수권
금메달2018 타이베이아이스 댄스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월드 팀 트로피
은메달2021 오사카단체전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주니어 세계선수권
금메달2014 소피아아이스 댄스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은메달2013-14 후쿠오카아이스 댄스

국제대회:시니어
대회12–1313–1414–1515–1616–1717–1818–1919–2020–2121–2222–2323–24
올림픽11th
세계선수권10th9thC9th8th
사대륙선수권5th1st5th6th
GP 파이널6th5th
GP 그랑프리 오브 에스포2nd
GP 그랑프리 드 프랑스4thWD
GP 스케이트 캐나다6th4th4th
GP 컵 오브 차이나WD5th
GP 스케이트 아메리카4th5th2nd2nd
GP NHK 트로피3rd4th1stWDWD
GP 로스텔레콤 컵6th5th
CS U.S. 인터내셔널 클래식2nd
CS 어텀 클래식2nd
CS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2nd2nd3rd1st
CS 핀란디아 트로피4thWD2nd
CS 네벨혼 트로피4th2nd
국제대회:주니어
주니어 세계선수권7th1st
JGP 파이널2nd
JGP 폴란드1st
JGP 멕시코1st
JGP 독일2nd
JGP 튀르키예5th
국내대회
전미선수권2nd J1st J4th5th5th4th3rd3rd3rd3rdWD
ISP 포인트 챌린지2nd
단체전
월드 팀 트로피2nd T
3rd P
GP=그랑프리, JGP=주니어 그랑프리,
CS=챌린저 시리즈, WD=기권, C=취소, T=팀 결과,
P=개인 결과, J=주니어


6. 기타[편집]


  • 베이커는 태권도 유단자이며, 검은 띠를 보유하고 있다.
[1] 1차 대회에는 참가하지 않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13:09:59에 나무위키 케이틀린 하와예크 / 장 루크 베이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