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태극급 경비함

덤프버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현용 대한민국 해양경찰 장비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파일:해양경찰청 OI.svg 대한민국 해양경찰청
Korea Coast Guard | 大韓民國 海洋警察廳

경비함
대형
삼봉급 | 태평양급 | 제민급 | 한강급
중형
태극급 | 해우리급
경비정
소형
해누리급 | P-정
초소형
연안구조정 | 고속순시정
특수
고속방탄정 | 형사기동정
지원함정
잠수지원함 | 방제정 | 소방정 | 예인정
공기부양정그리폰 호버워크 8000TD


헬기
중형
KUH-1CG 흰수리 | AS565 MB 팬서 | AW139
대형
S-92A | Ka-32S
고정익기CL600-2B16 챌린저 604 | CN-235-220M | C-212-400MP

순찰차
세단
아반떼 | 소나타
SUV
아이오닉 5 | 코나 EV
픽업트럭
렉스턴 스포츠 | 코란도 스포츠
승합차
스타렉스
버스
소형
쏠라티
작전
카운티
트럭
다목적
노부스 | 마이티
방제차
포터
EOD
메가트럭 | 마이티




소총
돌격소총
LWRC M6 | CAR816 | KS-3 | SG556 | G36C | M4A3
지정사수 소총
LMT MARS-H
저격소총
AW.308 | 바렛 MRAD
기관단총DSAR-15PC | 커스텀 9mm AR | MP7A1 | UMP45 | MP5A5
산탄총KSG-9
자동권총P229 | USP9
비치사성 무기X26 테이저



리볼버
방호장비
비치사성 무기







파일:external/ph.idomin.com/329305_248209_2257.jpg
사진의 함정은 창원해양경찰서 소속의 515함
500톤의 기본 베이스 형태이다.

1. 개요
2. 제원
3. 상세
4. 함정 목록
4.1. 구형 500톤
4.2. 신형 500톤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대한민국 해양경찰청(이하 해경) 소속의 중형 경비함이다. 1978년부터 현재까지 총 29척이 건조되었다. 6척이 노후대체되었다. 현재 총 23척이 운용 중이다. 건조 당시 함명은 훈장 명칭을 사용했지만 2003년에 모든 함명이 태극 1호, 2호...등으로 개명되었다. 함정명 개선 관련 기사


2. 제원[편집]


508함은 제일 먼저 건조된 신형 500톤급이라 아래 표와는 조금 차이가 있다.
구형신형
배수량640 t
전장60.8m62.2m
전폭8m9.1m
속도25노트35노트
항속거리1700마일2000마일
추진기CPP워터제트
엔진WARTSILA 16V25(4934hp) ×2MTU 12V1163 TB93 (5854hp)×2,
MTU 16V 4000 M90(3650hp) ×2
무장40mm 보포스 단장포 ×1,
20mm MK-16 단장기관포 ×2
40mm 노봉 또는 브레다 ×1, 20mm 발칸포 ×1
(501~505, 509,510,518,523,526함)
20mm 발칸 ×2 (508함)
20mm 발칸 ×1, 50구경 쌍열중기관총 ×1
(기타)

3. 상세[편집]


1977년 수립된 해양경찰대 전력화 계획에 의해서 1978년부터 1982년까지 총 6척이 건조되었다. 동시기에 건조된 3척의 1000톤 경비함들과 더불어 8, 90년대 해경의 주력 경비함으로 활약하였다. 6척 모두 운용 중 엔진과 발전기가 교체되기도 하였다.

이후 해양경찰대 전력화 계획에 의해 건조된 경비함들의 수명이 다 되어서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총 15척이 기존 500톤, 250톤급의 노후 대체(배수량증가) 및 신조함으로 새롭게 건조되었다. 신형 500톤급 (총톤수로는 640톤가량, 구형함들도 거의 동일했다.)되며 비슷한 시기 건조된 해군윤영하급이 베이스 모델이라는 설이 있으나 확인되지 않았고 단지 설계할 때 참고했으리라는 추정은 가능하다. 윤영하급은 가스터빈 엔진 2기 + 디젤 엔진 2기의 CODAG방식에 방향전환이 되는 워터제트가 3개이다. 반면 해경의 함정은 디젤엔진 4기에 워터제트가 4기인 차이점을 보인다. 워터제트 4기 가운데 방향전환이 되는 워터제트가 바깥쪽 2기이며 오로지 속력을 내는 부스터 용도가 가운데 2기이다.

엔진도 윤영하급은 가스터빈도 있는 반면 해경의 함정은 100%디젤엔진이다.[1] 모든 엔진이 기어박스에 연결되는 윤영하급과 달리 태극급은 엔진과 워터제트가 각각 하나씩 직접 연결된다. 평소에는 방향전환이 되는 바깥쪽 워터제트 2기만 사용하며 속력을 낼 때만 나머지 엔진 2기에 시동을 걸어 추진용 워터제트를 가동한다고 한다. 추진장치의 차이로 윤영하급은 최고 44노트까지 낼 수 있으나 태극급은 그보다 느린 35노트가 한계다. 그렇다해도 참수리급이랑 맞먹는 고속이고 소형경비정(P-135정 제외)보다도 빠르다. P-135정의 설계속도는 45노트이고 50톤급 P정들은 30노트에 불과하다.

2016년 조선업 불황으로 인해 정부에서는 계획에 잡혀있던 해경함정 총 30척을 조기발주해서 조선업계를 지원하였다. 500톤급은 5척이 완도해경 278, 279함, 포항해경 301함, 제주해경 302, 303함 등 선령이 약 30년 된 노후함정 5척을 대체해 한진중공업에서 건조되고 3척이 강남조선에서 신규 건조되었다.[2] 2019년 4월 30일에 한진중공업에서 건조한 5척에 대한 통합 진수식이 개최되고 현재 운용중이다.

300톤급 함정의 설계는 500톤급 함정의 설계를 축소하였다

파일:/image/001/2016/03/04/PYH2016030410250006500_P2_99_20160304160505.jpg

서해5도 특별경비단 소속의 501함이다. 북한과 직접 마주하기 때문에 40mm포가 장착되어 있다.맙소사 노봉이 주포라니

500톤급과 300톤급 신형선박의 특징은 연돌이라고 하는 굴뚝이 따로 존재하지 않고 선체 옆면에 있기 때문에 일부 함정의 경우에는 매연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고자 검은색 도장을 하였으나 (진짜로)배가 잘려보이는 느낌이 든다고 하여 다시 흰색으로 도색하는 흑역사가 있다. 얼핏 보면 2차대전기 전함 위장도색 같은 효과를 노린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

신형 500톤급 초기 함정(508함 제외)은 크레인을 이용하여 고속단정을 들어올리는 방식이 아니라 함미의 도어램프를 이용하여 마치 단정을 상륙하는 것처럼 되어있는 형태로 되어있으나 실제 함정을 탔던 경찰관의 말을 빌리자면 좋아하지 않는 형태라고 한다. 악천후 때 단정하강 시 높은 파도에 의해 단정과 본함 갑판이 부딪히는 충격을 롤러가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고 단정 선체가 파손되는 사고가 종종 있었기 때문이다.

함미의 도어램프를 이용하는 슬립웨이(slipway) 방식은 해외에선 종종 찾아볼 수 있는 방식이다. 예를 들자면 태극급과 비슷한 시기에 진수된 미 해안경비대의 레전드 클래스 커터(4,600t)도 사용한다. 1번 함 WMSL-750 Bertholf가 2006년 진수되었으니 이쪽이 조금 빠르다. 태극급에 비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찾아보기 훨씬 쉽다. 레전드 클래스는 단정을 2척 운용하며 램프 좌우 단정을 올려놓는 갑판이 반층 정도 낮게 되어 있다. 그래서 이후의 500톤급 함정도 크레인으로 단정을 양,하강시키고 단정 1척을 추가 탑재했다.(506, 507함) 기존 슬립웨이 방식의 함정은 갑판에 완충재를 보강하는 방식으로 보완하였다.

구형 또한 고질적인 문제가 있었는데 내부 구조가 조금 특이하다는 것이었다. 밥을 하는 조리실은 1층에 있으나 취사장은 수면하 격실에 위치해 있어 매우 비효율적이었다. 쉽게 말해 건물의 지하라고 생각하면 된다. 매 끼니 때마다 이걸 담당하는 취사원들은 매번 계단을 타고 식사를 날라야 했다는 것이다. 정박 중이거나 물결이 잔잔해도 귀찮을 판인데, 만약 파고가 높아서 배가 심하게 흔들린다면...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문제는 신형으로 가서 해결되었다고 한다.

파일:external/file1.bobaedream.co.kr/GAQ52a9136556656.png
최후의 구형 500톤인 포항의 507함(위)과 함번을 물려받은 신형(아래). 2013년 구형 507함이 퇴역하면서 스크류 추진의 구형 500톤급은 역사속으로 사라진다.

여담으로 구형 501함은 퇴역 직전인 지난 2010년 천안함 피격 사건 때 다수의 천안함 승조원들을 구조하였다.

4. 함정 목록[편집]



4.1. 구형 500톤[편집]


함번취역 당시 함명준공일퇴역일건조금액건조사
1501태극호1978년 12월 25일2011년 11월 23일18.1억 원코리아타코마
2502을지호1978년 12월 25일2010년 8월 17일18.1억 원코리아타코마
3503화랑호1979년 5월 5일2011년 9월18.1억 원코리아타코마
4505충무호1980년 3월 31일2008년 4월 1일18.1억 원대한조선공사
5506인헌호1981년 9월 28일2012년 3월24.9억 원현대중공업
6507옥조호1982년 7월 30일2013년 9월29.7억 원코리아타코마

4.2. 신형 500톤[편집]


함번함명배치서준공일인수일취역일건조금액건조사
1501태극1호서특단2012년 1월 9일2012년 1월 26일-220.6억 원한진중공업
2502태극2호서특단2010년 9월 27일2010년 10월 8일-228.0억 원대우조선해양
3503태극3호서특단2011년 11월 9일2011년 11월 22일-220.6억 원한진중공업
4505태극5호동해청 속초2009년 2월 10일2009년 2월 23일-242.0억 원한진중공업
5506태극6호제주청 서귀포2012년 4월 12일2012년 4월 25일-216.7억 원현대중공업
6507태극7호동해청 울진2013년 11월 12일2013년 11월 29일-207억 원STX조선해양
7508태극8호서해청 목포2008년 5월 19일2008년 7월 16일-204억 원강남
8509태극9호동해청 속초2008년 8월 26일2008년 9월 11일-242.0억 원한진중공업
9510태극10호동해청 속초2008년 10월 30일2008년 11월 11일-242.0억 원한진중공업
10511태극11호중부청 보령2009년 10월 28일2009년 11월 6일-228.0억 원대우조선해양
11512태극12호남해청 사천2010년 5월 4일2010년 5월 19일-228.0억 원대우조선해양
12513태극13호서해청 목포2010년 6월 2일2010년 7월 6일-228.0억 원대우조선해양
13515태극15호남해청 창원2010년 8월 9일2010년 8월 26일-228.0억 원대우조선해양
14516태극16호서해청 여수2011년 9월 28일2011년 10월 13일-220.6억 원한진중공업
15517태극17호서해청 여수2012년 2월 29일2012년 3월 19일-220.6억 원한진중공업
16518태극18호서특단2019년 6월 중순2019년 6월 말-327억 원강남
17519태극19호서해청 완도2019년 6월 27일2019년 7월 경-317.8억 원한진중공업
18520태극20호동해청 포항2019년 8월 경2019년 8월 경-317.8억 원한진중공업
19521태극21호제주청 제주2019년 말 경2019년 10월 24일-317.8억 원한진중공업
20522태극22호서해청 완도2019년 11월 20일2019년 12월 20일2019년 12월 27일317.8억 원한진중공업
21523태극23호서특단2019년 10월 경2019년 11월 경2019년 12월 5일327억 원강남
22525태극25호제주청 제주2020년 1월-317.8억 원한진중공업
23526태극26호서특단2020년 1월-327억 원강남

5.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4-01 03:04:10에 나무위키 태극급 경비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해경함정은 5000톤 삼봉급도 디젤엔진이다. 1985년 건조된 한강급 1005함이 해경의 유일한 가스터빈엔진 탑재함이었으나 2015년 퇴역하였다.[2] 해경 함정 조기 발주, 500톤급 총 8척 신규건조 및 노후대체 건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