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포켓몬스터: 성도지방 이야기, 최종장

덤프버전 :




포켓몬스터: 성도지방 이야기, 최종장 (2017)
ポケットモンスター: ジョウト地方の物語、最終章
파일:성도지방 이야기 최종장.png
총감독히다카 마사미츠
조감독-
총작화감독야마다 토시야(山田俊也)
각본-
장르애니메이션, 모험, 판타지
제작사OLM
배급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수입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포켓몬코리아
개봉일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년 5월
음악미야자키 신지
주제가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엔딩-
러닝 타임???분
제작비
대한민국 총 관람객???명(최종)
국내 스트리밍-
국내등급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초기.svg 전체 관람가
공식 홈페이지#

1. 개요
2. 상세
3. 예고편
4. 줄거리
5. 등장인물
6. 평가
6.1. 공개전
6.2. 공개후
7. 흥행
8. 기타



1. 개요[편집]


우리의 모험은 끝나지 않았다.


포켓몬스터의 극장판이자 제262화~제275화까지의 은빛 리그편을 한국 한정으로 상영하는 재편집 극장판.


2. 상세[편집]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의 한국 방영 25주년을 기념하여, SBS에서 미방영이었던 에피소드 262~276의 15화 분량을 극장판으로 재편집한 포켓몬스터: 성도지방 이야기, 최종장이 2024년 5월 상영되는 것이 결정되었다. 다만 정황상 15화 분량의 짜집기일텐데, 아이캐치/포켓몬 강좌/오프닝/엔딩을 다 떼어놓고 계산하면 단순 계산만으로도 4시간에 가까운 분량이 나오는지라 어디까지 잘려나갈지가 관건인 셈.

대부분의 의견으로는 미방분 중에서 일상 에피소드는 모두 짤리고, 주요 리그전도 간략하게 보여주다가 지우와 바람이의 6:6 풀배틀 위주로 보여주고, 한웅과의 대결도 결과만 나오고 마무리 지으면서 동료들과 이별하는 장면에서 끝날 것 같다는 의견이 많다. 그렇기에 성도 리그편 자체를 더빙으로 보는 것에 기대는 하지 않고, 지우vs오바람의 대결 부분을 더빙으로나마 볼 수 있게 되었다는 것에 의의를 두는 팬들이 많다.


3. 예고편[편집]


▲ 티저 영상.


4. 줄거리[편집]


결승 토너먼트에서 만난 숙명의 라이벌, 지우 VS 바람!

성도지방에서 8개의 배지를 모두 모아 은빛대회에 참가한 '지우'

결승 토너먼트에서 숙명의 라이벌, '바람'을 마주한다.

"이 '바람'님의 라이벌이 되기엔 물 건너가도 한~참 물 건너 간 것 같은데?"

언제나 지우를 얕보며 한 발짝 앞서 나갔던 바람이지만

포켓몬을 향한 열정이라면 지우도 지지 않는다.

태초마을을 떠날 때부터 포켓몬마스터의 꿈을 꾼 두 사람.

수많은 모험과 만남으로 쌓아온 각자의 성과를 성도리그에서 확인하게 된다.

포켓몬 코리아에서 공개한 시놉시스.


5. 등장인물[편집]




6. 평가[편집]



6.1. 공개전[편집]


  • 미방분 TV 에피소드를 총집하여 극장판으로 개봉하는 세계 어디에서도 없던 일에 꽤나 놀란 반응이 많으며, 일본 현지에서는 일본에서는 4년째 극장판이 끊겼는데, 한국에서는 재개봉을 비롯해 미방영 에피소드를 총집하여 극장판으로 내주며 장사 잘 한다는 반응과 독자적인 배포도 하면서 사토시를 계속 볼 수 있게 한다는 것에 부러워하는 의견을 보이고 있다. 특성상 한국에서만 개봉함에도 독자적인 포스터가 만들어져 인상적이라는 반응도 나온다.


6.2. 공개후[편집]



7. 흥행[편집]




8. 기타[편집]


  • 여담으로 포켓몬 코리아에서 설정한 공식 사이트 주소를 보면 포켓몬 코리아는 이 작품을 2024년의 정식 극장판으로 취급하는 듯 하다. 특히나 어릴 때 조기 종영되었던 포켓몬스터 시청자들 중에서 더 이상 포켓몬스터에 관심을 두지 않았던 많은 사람들도 이 소식을 듣고 꽤나 화제가 되었기에 성인 관람객도 꽤나 영화를 보러 올것으로도 전망되고있다.

  • AG 이후로 성우진이 재편되었고, 이후로도 이 캐스팅이 그대로 유지하면서 초대 성우진의 유지가 어렵게 되면서 현 성우진으로 갈것 같다는 예상이 많았고, 예상대로 이선호 성우의 캐스팅이 확정되었으며 최이슬과 웅이의 성우는 여민정, 황창영으로 캐스팅 되었다. # 예고편을 통해 다른 캐릭터들은 W 성우진이 그대로 담당하였으며, 예고편 한정인지는 몰라도 DP 이후 오랜만에 양석정이 내래이션을 맡았다.[1]

  • 한국 한정 상영 극장판이지만 영등위 분류를 통해 포켓몬스터 : 죠우토 지방의 이야기, 최종장(ポケットモンスター: ジョウト地方の物語、最終章)이 설정되어 있다이란 일본어 제목이 공개되었다.

[1] 무인편 성우진이 아니라 아쉬워하는 사람들도 있으나, 로이를 맡았던 김일이 2018년에 사망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8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8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4-07 18:12:02에 나무위키 포켓몬스터: 성도지방 이야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