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향수

덤프버전 :

1. , 화장품
1.1. 파트리크 쥐스킨트 원작의 소설 및 영화/드라마
1.2. 버스커 버스커 정규 1집 수록곡
1.4. 유빈의 노래
2. , nostalgia
2.1. 시
2.1.1. 박인수이동원의 가곡
2.2. 관련 문서


1. , 화장품[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향수(화장품)#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파트리크 쥐스킨트 원작의 소설 및 영화/드라마[편집]




1.2. 버스커 버스커 정규 1집 수록곡[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버스커 버스커 1집#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향수@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일본 가수 에이토(瑛人)의 노래[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香水#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유빈의 노래[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향수(PERFUME)#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 nostalgia[편집]


고향을 그리워하는 정서. 영어로는 'Nostalgia(노스탤지어)'. 예로부터 수많은 시의 소재가 되어 왔으며 특히 산업화가 이루어진 근대 이후 그 빈도 수가 더 늘었다. 예를 들어 청마 유치환의 시 '깃발' 중 '노스텔지어의 손수건' 등이 있다.

시 밖의 소설 등 문학 작품에서도 많이 다루어지는 정서로, 특히 정지용 시인의 동명의 시가 유명하다. 이 시를 가사로 박인수와 이동원이 부른 동명의 곡도 유명한데 "넓은 벌 동쪽 끝으로 옛이야기 지줄대는 실개천이 휘돌아나가고~"라는 가사로 시작하는 노래다. 나이 좀 먹은 사람이면 농촌 풍경을 넣어 만든 뮤직 비디오(?)도 TV에서 한 번쯤은 본 적이 있을 것이다. 고등학교 국어 시간에 '공감각적 심상'을 다룰 때면 꼭 인용되는 문구인 \'금빛 게으른 울음'으로도 유명하다. 고1 천재교육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다.

'향수'라고 하면 이 의미보다는 화장품 향수를 떠올리는 사람이 많고 이 문단의 '향수'는 주로 '향수병'이라는 단어로 쓰인다. 외국에서 살다 온 사람들 중에 향수병에 걸리는 사람이 많다고 한다.

영어 격언 중에는 "You can't go home again.(고향에는 다시 돌아갈 수 없다.)"이라는 말이 있다. 말인 즉슨 끊임없이 변화하는 현대 사회에서는 스스로의 고향조차 상전벽해처럼 급격하게 달라져 버려 세월이 흐른 뒤 다시 찾아가려 해도 기억 속의 본래 모습은 온데간데 없다는 것. 이 때문에 장소 고증/사실 반영 오류복원 오류로 이어지기도 하며 관련 작품도 있다. "자본이 결정하는 도시풍경"…김지은 '변덕스러운 땅'展 건축물 보존 관련 글과 '경로의존성' 문서의 '탈피해야만 하는가?' 문단도 참고할 만하다. 소설 삼포 가는 길에서도 고향의 급격한 변화가 잘 묘사되어 있다.

'복고' 트렌드가 이러한 향수와 연관이 있다.

비슷한 단어로 anemoia가 있는데 이는 자신이 한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것에 대해 향수를 느끼는 것을 뜻한다. 예시


2.1. 시[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정지용의 시. 자세한 내용은 향수(시) 문서

의 [[향수(시)#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1. 박인수이동원의 가곡[편집]



1989년 발매. 정지용의 시에 김희갑이 곡을 붙여 테너 박인수이동원이 부른 노래. 장년층에게는 매우 유명한 명곡이다.



2.2. 관련 문서[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