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허기 워기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파피 플레이타임/등장인물/장난감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리듬게임 Rotaeno의 수록곡에 대한 내용은 huggy wuggy(Rotaeno) 문서

huggy wuggy(Rotaeno)번 문단을
huggy wuggy(Rotaeno)#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허기 워기
Huggy Wuggy



변이된 모습 ▼

별칭
실험체 1170
Experiment 1170
제조일
1984년 (일반 장난감)
1991년 (변이된 휴머노이드)
제조사
플레이타임 사
번호
1170 (No.1170)[1]
종족
장난감 (휴머노이드)[2]
신장
5.8m (18 Feet)
성우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틀:국기|
]]
Zachary Preciado[3]
등장 챕터
챕터 1 (메인 빌런, 추격자)
외전 (플레이어블)
테마곡
Huggy Wuggy
Oh, Hey Huggy!(오, 안녕 허기!)[4]
No More Hugs(포옹은 더 이상 없다)[5]
Complexus(컴플렉스)[6]

1. 개요
2. 여러 모습
3. 작중 행적
3.1. 챕터 1
3.2. 챕터 2
3.4. 챕터 3
4. 목적 추측
4.1. 유인
4.2. 놀잇감
4.3. 배후의 조종 혹은 이중인격
5. 대사
6. 밈화 및 2차 창작
7. 기타



1. 개요[편집]


허기 워기(1984) - [7]

플레이타임 사는 수백 개의 독특한 장난감을 디자인했지만, 허기 워기만큼 사람들과 어울린 것은 없었습니다. 우리의 설립자인 엘리엇 루드윅은 여러분을 영원히 안아줄 수 있는 장난감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언제나 사실인 것처럼, 플레이타임 사의 '가장 진짜 같은 장난감을 만드는 4단계 과정'은 성공적이었습니다!

약간의 끈과 폴리에스테르로, 우리의 사랑스러운 파란 친구 허기 워기가 살아났습니다! 허기 워기는 플레이타임 사에서 지금까지 가장 인기 있고 가장 잘 팔리는 장난감이 되었습니다![원문]

- 허기 워기의 구조물 앞에 있는 소개 문구.


His name is Huggy, Huggy Wuggy♪

그의 이름은 허기, 허기 워기♪

When he hugs you he'll never stop♪

너를 껴안으면 멈추지 않을 거야♪

(Laugh)

흐흐허허허~[8]

Your friend Huggy, Huggy Wuggy♪

너의 친구 허기, 허기 워기♪

He'll squeeze you until you pop!♪

너를 빵 터질 때까지 쥐어짜줄 거야![9]

- 허기 워기의 소개 문구 밑의 버튼을 누르면 나오는 주제가. #[10]

파피 플레이타임 챕터 1의 최종 보스이자 플레이타임 사에서 가장 잘 팔리는 장난감. 1984년에 출시된 장난감 인형 '허기 워기'를 바탕으로 만든 공장의 조형물이며, 쿠키 몬스터 혹은 그로버를 떠올리게 하는 푸른 털로 뒤덮인 몸에 굉장한 장신이고 팔다리가 길며 움직일 때 몸이 흐느적거린다.[11]

2. 여러 모습[편집]


허기 워기의 여러 모습들
[ 펼치기 · 접기 ]


3. 작중 행적[편집]



3.1. 챕터 1[편집]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 클릭 시 주의 ] 데드씬 GIF 이미지
[ 펼치기 · 접기 ]

챕터 1의 메인 빌런이자 최종 보스. 초반에는 어느 홀에 인사하는 듯한 자세로 미소 지으며 서있지만 배전실 작업을 끝낸 후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제대로 모습을 드러내기 전에도 플레이어들에게 인상을 남긴다. 허기 워기와 처음 만나는 홀에서 주인공이 전기가 나가 기계문이 열리지 않아 길이 막혀 고전하는데, 처음 봤을 때는 간판을 제외하고 아무것도 들고있지 않던 허기 워기의 손에 짤그랑거리는 소리와 함께 이걸 찾냐는 듯이 손에 배전실 열쇠가 들려져 있다.

또한 처음 봤을 때 자세히 보면 우리가 멈춰 있을 때도 미세하게 움직이는 것처럼 배가 오르락 내리락하는 등 미세하게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처음 들어갈 때 잘 보면 허기워기가 플레이어를 바라보고 있다가 플레이어가 본격적으로 룸에 들어가면 슬쩍 하늘을 보고 있다. 게다가 진행 중 자세히 보면 크레인이 있는 방의 입구 문에서 허기 워기의 손만 나와있다가 주인공이 다가가면 스르륵 들어가고, 크레인을 조작하는 퓨즈를 다 모은 뒤 패널에 도달하기 전 2층의 저편 환풍구에서 머리만 내민 채 주인공을 지켜보다 크레인 패널에 도착하면 문을 닫고 숨는다.[12] 그리고 완전자동으로 장난감을 만들어내는 장치, '너만의 친구 만들기'라는 기계의 퍼즐[13]을 푸는 데 성공하면 닫혀있던 문이 열리며, 아까 크레인 방으로 갔을 때 지나갔던 홀로 이어지는 복도가 나타난다.

하지만 아까와는 달리 어두컴컴한 통로로 진입하려는 순간, 느닷없이 앞길을 막아서며 나타나 플레이어를 비척거리는 걸음걸이로 추격해온다. 참고로 처음 등장 시 플레이어의 바로 앞에서 플레이어가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로 움직이기 때문에 캣 비로 열은 공간 안에서는 허기 워기한테 닿아도 밀고 갈 뿐 죽지 않는다. 이 출구에서 완전히 나온 순간부터 사망 판정이 생긴다.

[ 클릭 시 주의 ] 추격전 시 모습
[ 펼치기 · 접기 ]
파일:허기워기3.png}}}
팔이 양옆으로 잡는 형태인 이유는 환풍구 안에서 추격전을 하는 모습이기 때문이다.

이전의 친근한 모습과 달리 입을 벌리며 안에 피를 묻힌 채 수많은 날카로운 이빨이 돋고 전선이 드러난 모습으로 변한다. 자세히 보면 입 안에 또 다른 입이 있다. 확대된 동공, 길고 유연한 팔과 다리로 기괴함을 드러낸다. 천천히 플레이어를 쫓아가며 압박하고 플레이어는 사이렌이 울리는 장난감 운송용 벤트로 들어가게 되지만, 처음의 느릿느릿한 모습과는 다르게 비좁은 벤트를 따라 몸을 비틀며 빠른 속도로 추격해온다.[14] 모습을 직접 보지 않아도 벤트 벽을 두드리며 빠른 속도로 추격해오는 소리만으로 플레이어를 압박해 생각이 필요한 부분에서[15] 플레이어의 판단력을 흐리게 한다. 허기 워기에게 붙잡히면 플레이어를 안은 채로 이빨을 드러내며 포식하듯 머리를 박는다.

어찌저찌 벤트를 나오면 닫힌 벤트 문을 열기 위해 문을 두드리며 부수려고 하는데, 완전히 부술 때까지 방치하면 그대로 주인공에게 달려들어 게임 오버가 되기에 위쪽에 있는 큰 나무 상자를 그랩팩으로 붙잡아서 떨어뜨려야 한다. 상자를 떨어뜨리는데 성공하면 타이밍 좋게 문을 부수고 나온 허기 워기에게 나무 상자가 직격으로 떨어지고, 주인공과 허기 워기가 서 있는 다리가 무너지면서 같이 추락하는데 주인공은 안정적으로 아래 발판에 착지한 반면 허기 워기는 나무 상자에 맞고 난간에 부딪혀 그대로 떨어져, 끝이 보이지 않는 공장바닥으로 추락한다. 이때 허기 워기가 떨어지면서 파이프, 난간울타리, 철골 순으로 머리를 연속으로 세 번 정도 부딪히는데, 자세히 보면 허기워기가 떨어질 때 부딪힌 곳에 피가 묻어있다.[16]

파피 플레이타임의 인지도를 매우 높인 괴물이자, 수많은 플레이어들에게 엄청난 공포감을 안겨줬다. 기괴한 생김새도 생김새지만, 넓은 곳에선 느릿느릿 움직이다가 정작 좁은 환풍구에선 팔다리를 구기며 무시무시한 속도로 쫓아온다는 추격신은 인상적이란 평이 많다.[17] 그래서 챕터 2에서 허기워기 추격전의 브금이 흘러나오며 키시 미시가 나오거나 비좁은 환풍구를 다시 들어가게 하는 구간이 나왔는데, 이 구간에서 허기워기의 추격전을 떠올리며 많은 플레이어들이 긴장할 정도였다.

3.2. 챕터 2[편집]


챕터2 트레일러 영상에서 마미 롱 레그가 허기워기 인형을 집어간다. 하지만 이때 허기워기 인형의 바닥에 널부려져 있는 자세가 어디서 떨어진 듯한 자세이기에 이 인형은 챕터1에서 주인공이 떨어트린 허기워기를 의미하고 마미 롱 레그가 이를 살리려고 하거나 먹으려고 하고 있는 것을 암시한다는 추측이 있다.[18] 하지만 트레일러에서 나온 허기워기는 마미 롱 레그가 한 손에 몸통을 쥘 정도로 작은 크기였다. 처음에는 이를 보고 마미가 엄청나게 거대한 크기가 아니냐는 이야기가 있었지만 본편에 나온 마미는 팔 다리가 길뿐, 실질적인 체구는 허기워기와 엇비슷하다.

어떻게든 재등장하리라는 추측이 무색하게 패널이나 아트워크, 완구, 목소리로만 간접 출현한다. 대신 작은 허기워기들과 짝인 키시미시가 등장한다. 그러나 챕터 2 장난감들이 이동하는 컨베이어 벨트가 있는 곳 벽에 여기저기에서 푸른 털과 그 주변의 핏자국들이 많이 보이기 때문에 허기워기가 워터 트리트먼트에 떨어져 살았고, 다시 공장의 입구로 이동했거나 키시미시로 변장했다는 가설이 있다.

이후 녹음 테이프에 따르면, 허기 워기는 실험체 '1-1-7-0'으로 불렸으나, 충분한 지능과 순종적인 성격을 갖고 있었다고 한다. 이 정보는 챕터 1에서 은근히 플레이어를 가지고 놀았던 행적과 일치하나 순종적인 성격이라는 것을 보면 누군가의 지시나 개입이 있었다고 추측할 수 있다.


3.3. PROJECT: PLAYTIME[편집]


박시 부(Boxy Boo), 마미 롱 레그와 함께 플레이어블 장난감으로 등장했다. 스킬은 총 2가지로, 돌진과 미니 허기 설치이다.

  • 돌진은 짧은 거리를 빠르게 이동하는데, 생존자가 이에 맞았을 경우 한번에 생존자를 다운 상태로 만드는 준 즉사기이다. 이 기능을 잘 사용하면 다양한 단점들을 극복하고 이기기도 가능하다.

  • Mini Huggies를 설치해 생존자가 지나가면 알려주는 탐지기로 쓸 수 있다. 하지만 생존자의 행동을 직접적으로 방해할 수가 없으며 CCTV처럼 고개를 좌우로 돌리는 시야에 잡혀야만 탐지가 되는데다가, 알려줄 때 내는 소리도 가까이에서 듣지 않으면 못 들을 정도로 작아서 생각만큼 도움이 되지는 않는다.

종합적인 성능은 고인, 무엇보다 뚜벅이라는 점이 큰 단점으로 꼽힌다. 다만 이것도 쓰기 나름으로 사보타지 능력을 이용하여 허기워기의 단점을 보완해 올킬도 가능하다. 특히 그랩팩 사용 불가능 사보타지와 궁합이 좋으며 극장맵 한정 후반 파이프 캠핑이 아주 강력하다는 장점이 있다. 단 사보타지 능력은 다른 두 장난감도 있기 때문에 허기워기만의 장점은 아니며 공장 맵 같은 경우 점프가 없느니만 못해 생존자가 계단 난간을 뛰어넘어 도망치는걸 바라만 봐야 하는 문제는 절대로 해결이 안 된다.


3.4. 챕터 3[편집]


2022년 8월 7일에 올라온 트레일러에서 바닥에 널브러져 있는 모습이 나온다. 마미 롱 레그와 브론이 절단되어 있는 모습으로 나오지만 정작 본인만은 훼손이 안 되었다. 아마 허기는 낙사, 브론과 마미는 절단된 것을 의미하는 듯.

2023년 1월 23일 올라온 영상에서 1992년 6월 18일 시설을 탈출하였다가 실패한 것을 볼 수 있다. 허기 워기의 탈출은 실패했지만 이 과정에서 플레이타임 직원 11명(5명 사망, 6명 실종)이 허기 워기가 도주한 곳을 수색하던 중 희생당했다고 한다. 이후 게임 플레이 트레일러 영상에서 비디오 테이프 속에 눈과 입이 찢어진 채 웃고있는 허기 워기의 모습이 나와 재등장을 암시하는 것으로 보인다.

4. 목적 추측[편집]



4.1. 유인[편집]


허기가 상당히 고도의 판단을 할 지성이 있으며[19] 그에 따라 모종의 목적을 가지고 있다는 전제를 둔다면 허기의 1차적 목적은 파피의 탈출인 것으로 보인다. 당장 그냥 주인공을 죽이는 게 목적이었다면 다른 괴물의 개입도 없던 챕터 1 시점에서 몇 번이고 기회가 있었다.[20]

실제로 챕터 1 내내 허기 워기는 길을 헤메는 주인공에게 들킬 위험을 감수하면서 배전실 열쇠를 건네거나 진행 도중 문 너머에서 자신의 신체를 잠시 드러내는 등 주인공을 어딘가로 유인하는 듯한 행동을 취한다. 또한 벤트 추격전에선 아예 특정 갈림길마다 나타나 주인공이 특정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유인한다.[21] 애초에 주인공이 파피가 있는 곳까지 도착한 건 특정한 목표가 있어서가 아닌 허기를 피하기 위한 최선의 경로로 도망쳤던 것인데, 그런 것치고 아주 우연히도 공장의 최심부라 할 만한 파피가 봉인되었던 방에 들어올 수 있게 되었다.


4.2. 놀잇감[편집]


그러나 허기 워기가 주인공을 잡아먹기 전에 단순히 주인공을 가지고 놀려고 했던 것일 수도 있다.

이전 문단의 내용을 다르게 해석하자면 챕터 1에서 허기 워기는 일부러 플레이어에게 도움을 주거나 플레이어를 방해한다. 오른쪽 팔 그랩 팩을 꺼내는 장치의 배터리를 하나 빼고 다 숨겨놓고 주인공이 배터리를 겨우 다 찾아 다시 장치 조종대에 오면 기다렸다는 듯이 앞쪽 컨베이어 문으로 머리를 내밀어 주인공을 쳐다보곤 다시 문으로 들어가며 쾅 하는 문이 닫히는 소리와 함께 사라져 주인공을 놀래킨다.[22]

나중에 메이크 어 프렌드에선 주인공이 전기 수리를 마치고 캣비 인형을 만든 다음 스캔하고 문을 열고 복도로 달려가면 허기는 다 알고 있었다는 듯 나타나며 바로 뛰어서 잡아 먹어도 되지만 주인공에게 일부러 시간을 주는 듯 느릿느릿 걸어서 쫓아오고, 주인공에게 도망 갈 길을 열어주는 듯 컨베이어 문이 열리며, 그곳으로 도망치는 주인공을 허기는 별 일 아니라는 듯[23] 어느새 반대편으로 넘어와서 주인공을 추격한다.[24] 그리고 막힌 곳에서 주인공이 안절부절 하는 틈을 타 잡아 먹으려 했지만 주인공이 끌어내린 상자에 깔려 밑으로 추락한다.


4.3. 배후의 조종 혹은 이중인격[편집]


설정상 여자친구 격인 키시미시는 챕터 2에 등장한 모습만으로는 이유가 무엇인지 갈릴 수는 있지만 어찌됐건 주인공에게 협조적이고 우호적인 모습만 출연했다. 따라서 허기 워기도 본모습은 순종적인 성격이라 챕터 초반부에 전기가 나가서 당황하는 주인공에게 전기실 열쇠를 가져다주면서 도와주려 했던 것이었으나 모종의 이유로 다른 성향이 발현된 것이라고 추측해 볼 수도 있다.

챕터 2에서 밝혀진 '허기 워기가 충분히 지능적이고 순종적인 성격을 가졌다'는 사실과 어른과의 접촉이 장난감들의 폭력성을 일깨운다는 점. 장난감들의 폭주 원인으로 지목된 실험체 1-0-0-6의 존재를 종합해 봤을 때 본래의 허기 워기는 순한 성격을 가졌고 주인공에게 열쇠를 주는 등 챕터 2의 키시 미시처럼 주인공에게 도움을 주려던 것이었으나 주인공의 존재[25]로 인해 폭력성이 조금씩 발현 되었고 이로 인해 허기 워기는 점점 이성을 잃어가기 시작했으며 주인공을 해치기 싫은 마음에 주인공을 피해 최대한 숨어 다녔으나, 1-0-0-6의 조종으로 인해 폭력성이 완전히 살아나 주인공을 잡아먹으려 했다는 가설을 세울 수도 있다.

이빨을 드러내고 주인공과 대면해서 서서히 다가올 때까지만 해도 실험체 1-0-0-6의 조종에 저항했으나 벤트에 들어선 순간부터 완전히 지배당해 주인공을 잡아먹기 위해 필사적으로 추격하는 괴물이 됐다고 가정해 볼 수 있는 것이다.

다른 가정으로는, 거대화된 실험체들에게는 모종의 규칙들이 입력되어 있고, 그 규칙들이 위반되었다고 실험체들이 인지한다면, 그 규칙을 보호하기 위해 규칙을 어긴 존재들을 제거하기 위해 폭력적인 모습이 나타날 수 있다가 있다.

제작진 측에서 어떤 설정을 한것인지는 챕터 3를 비롯한 후속 챕터들이 나와봐야 알수 있겠지만, 전기실 열쇠를 찾게해준 후 끊어져있던 전기가 재가동되자 바로 사라진 점, 가끔씩 모습을 드러내며 주인공을 어디론가 향하도록 유도한다는 점, 키시 미시의 존재, 떡밥으로 던져진 공장에 남은 고아들의 존재 등을 고려해 보면 허기 워기는 주인공을 고아들에게 향하도록 유도하는 조력자 포지션일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실험체 1-0-0-6에 의해 괴물이 되어버린 것.

물론 애초에 처음부터 실험체 1-0-0-6의 지배를 받고 있었다고 가정할 수도 있다. 챕터 2에서 실험체 1-0-0-6들을 제외한 나머지 장난감들은 생존을 위해 대량의 음식을 섭취해야 하는데 공장 문은 10년 동안 폐쇄 되어 있었고 허기 워기가 주인공을 잡아먹을 때 허기 워기의 이빨에 피와 살점들이 남아 있었다. 허기 워기를 처음 대면했을 때도 주변에 피가 흩뿌려져 있었으며 허기 워기는 키시 미시처럼 어디 숨어있던 것이 아니라 대놓고 공장 입구에서부터 반겨주고 있었다.

이를 미루어보아 짐작해 보면 실험체 1-0-0-6의 어떠한 계획에 허기 워기는 처음부터 철저히 장기말로 이용당하고 있었고, 다른 장난감들이 보상으로 주어졌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이 가정을 한다면 키시 미시 역시 실험체 1-0-0-6의 지배를 받고 있다고 가정할 수도 있다. 키시 미시가 지나갔던 자리에는 피 묻은 마미 롱 레그의 장난감들이 떨어져 있던 걸 생각하면 어느 정도 허기 워기의 행보와 비슷해진다. 만약 이 가설에 의하면 실험체 1-0-0-6은 공장에 숨어있는 고아들을 찾고 있고 그러한 장기말로 허기 워기와 키시 미시를 이용하고 있다고 가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새로 공개된 영상에서 허기 워기가 본작의 시점 전에도 탈출을 하거나 차량에 돌진하여 사람에게 상해를 입히고 살해하기까지 하는 등의 태도를 취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때부터 1-0-0-6의 지배를 받고 있었던 것인지, 애초에 딱히 지배당하지 않았던 것인지는 불명이다. 일단 이후 진정시키는 것이 가능했던 것을 보면 다시 순종적인 상태로 돌아갔던 모양.

어찌 됐건 어떤 쪽으로도 가정해볼 수 있고 실제로 어느 쪽도 나름 맞아떨어지긴 하지만 정확한 설정이 무엇인지는 후속 챕터들이 나와야 알 수 있을 것이다.


5. 대사[편집]


(Laugh)

(웃음)


Did someone need a hug?

안기고 싶은 사람?


Give me a big squeeze! I promise I won't bite.

날 꽉 안아줘! 물지 않겠다고 약속할게.[26]


Come closer, friend.

가까이 오렴, 친구야.


I'll squeeze you until you.. *static*

꽉 안아줄게... 네가... (노이즈) 때까지... (노이즈)



6. 밈화 및 2차 창작[편집]


특유의 강렬한 임팩트 덕분에 캐릭터 자체가 2021년 10월 말부터 전 세계적인 인터넷 밈으로서 유행하였다. 2022년 5월에 출시된 챕터 2의 메인 빌런인 마미 롱 레그 역시 이러한 유행의 연장선상으로 단번에 전 세계적인 밈으로 급부상하여 2022년 5월부터 9월까지, 4개월에 가까운 시간동안 전 세계의 유튜브를 휩쓸었다.


6.1. Friday Night Funkin'[편집]


Friday Night Funkin'에 Huggy Wuggy와 대결하는 모드가 제작되어 인기가 더 상승했다. 모드는 여기에서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난이도는 쉬운 편. 바닐라 5주차 정도의 난이도이다. 다만 노래길이가 조금 길고 계단 패턴이 꽤 많이 나오므로 주의하자.

6.2. 나는 괴물이 아니야(I'm not a monster)[편집]


계향쓰 GH'S라는 유튜브 채널[27]에 올라온 허기 워기의 사연을 묘사한[28] 영상. 문서 참고. 여기서는 플레이어 역시 한 어린 소녀로 해석했다.


7. 기타[편집]



  • 맵을 뜯어보면 복도가 있고 그 복도 끝에 있는 문을 열면 허기워기가 튀어나오는 공간이 있다. 그 허기워기는 웃는 표정과 T포즈를 유지하며 이동한다. 닿아도 죽진 않는다.

  • 버그로 허기워기가 벤트에서 추격할 때 중간에 문이 닫혔다 열리는 문에 몸을 잘 비비면 허기워기 뒤로 지나가진다. 허기워기가 주인공을 잡기 위해 문을 부수고 나온 이후엔 플레이어의 위치에 관계없이 죽이는 방식이기에 실용성은 없다.

  • 회사에서 가장 많이 팔렸던 제품이라서 그런지 공장의 마스코트로 쓰이고, 챕터2의 마미 롱 레그의 포스터나 기차 포스터에서도 등장한다.

  • 플레이타임 공장 장난감들이 대부분 3단계 과정으로 제작하는데 허기워기만 4단계 과정으로 제작한다고 소개문에 적혀있다.

  • 마치 지능적으로 먹잇감을 쫓는 짐승처럼 행동한다.

  • 허기워기도 마미 롱 레그처럼 포스터나 그림에서는 리본이 노란색이나 인게임에서는 하늘색이다.

  • 허기 워기가 가만히 서 있던 홀의 중앙 단상 주변에는 허기 워기 인형이 들은 장난감 상자들이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상자 구석에 쭈그려진 채 기괴한 웃음을 지으며 일그러져 있다. 이는 허기 워기의 괴물화를 암시하는 복선으로 볼 수 있다.

  • 파피 플레이타임 모바일 버전으로 플레이하면 그래픽 때문에 허기 워기가 PC판보다 섬뜩한 모습으로 보인다.

  • 게임 이름이 Poppy Playtime인 탓에 가장 잘 알려진 캐릭터인 허기워기가 파피로 오해를 받기도 한다. 챕터 1에서 파피가 비중이 거의 없었던 것을 생각해 보면 챕터 2 이후로 파피의 비중이 늘어남과 함께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 한국 한정 별명으로 이름을 한국인처럼 바꾼 허기원 씨라는 별명이 있다. 작중의 임팩트 있고 무서운 모습과 달리 뭔가 구수한 느낌의 이름이고 어감도 적절해서 그런지 한국 팬덤 내에서 많이 쓰이는 별명이다. 이 문서 또한 허기원으로 검색해서 들어올 수 있다.

  • 삐죽삐죽한 털, 맑은 눈, 송곳니가 달린 웃는 입, 그리고 친구를 갈망한다는 점 때문에 쿠키런: 킹덤고드름예티 쿠키와 비슷하다는 소리를 듣고 있다.

[1] 위에서 서술한 '실험체 1170'이라는 별칭 또한 이것을 의미하는 것이다.[2] 인간형 로봇 또는 생명체를 의미하는 단어.[3] 부기 봇이랑 번조 버니하고도 성우가 같다. 비교적 활기차고 발랄한 번조 버니랑은 다르게 마치 디즈니구피심슨 가족호머 심슨 같은 특유의 나긋나긋하면서도 익살스러운 느낌으로 연기한 게 특징.[4] 첫 등장시 나오는 BGM[5] 벤트 추격전 시 나오는 BGM. 잘 들어보면 밑의 허기의 주제곡을 어레인지 했음을 알 수 있다.[6] 허기워기를 상자로 떨어트릴 시 나오는 BGM. 허기워기가 문을 부수는 효과음과 파이프에 부딪히는 효과음 때문에 마지막부분 제외하면 잘 들리지 않는다. 다만, 헤드셋 등을 끼면 효과음과 같이 들리긴 들린다.[7] 이 하이픈은, 흔히 어떤 사람을 소개할 때 생몰년도를 표기하기 위한 하이픈이다. 즉, "(1984) - " 라고 써있다는 것은 1984년에 "태어났음을 의미" 하며, "아직 사망하지 않고 살아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원문] Huggy Wuggy(1984) - Playtime Co. has designed hundreds of distinct toys, but none connected with people more than that of Huggy Wuggy. Our founder, Elliot Ludwig, aimed to create a toy which could hug you forever! As id always true, Playtime Co.‘s ‘4-Step Process to creating the most lifelike toys,’ was a success! With a bit of string and polyester, our lovable, blue pal Huggy was brought to life! Huggy Wuggy has gone on to be Playtime Co.‘s most popular and best selling toy so far![8] 허기워기의 웃음소리. 챕터 2에서 허기 워기의 팻말을 누르면 이 소리와 비슷한 웃음소리가 난다.[9] 이 가사 이후에 입으로 낸 것 같은 빵 소리가 난다.[10] 역재생을 할시 또다른 가사가 들려오는데 조금 소름 끼친다.[11] 이는 모든 허기워기의 파생형들의 특징이다.[12] 한 유튜버가 파일을 뜯고 확대해서 이리저리 관찰해보니, 허기워기는 팔을 내밀어 주인공을 유인했을 때부터 이빨을 드러내고 실실 웃고 있었고, 환풍구에서 몰래 지켜보고 있을 때도 이빨을 드러내고 있었다.[13] 사실 퍼즐이라 할 것도 없이, 그냥 레버를 당겨 장난감의 부속 파츠만 넣으면 스스로 도색, 조립, 검수까지 끝마치기에 아주 손쉽게 장난감을 얻을 수 있다. 기계 그 자체보단 그랩팩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루트를 만드는 과정에서 소위 '뇌지컬'이 필요한 편.[14] 게임 구조상 운송용 벤트에 들어간 직후 문이 닫히기 때문에 얼마 동안은 안전하다. 중간에 철창 건너편에서 허기 워기가 급하게 다가오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은 연출이다. 직후 오르막길을 오르면 느닷없이 반대편에서 허기 워기가 등장하고, 허기 워기랑 추격전이 시작되는 건 이때부터다. 수그려서 가야 하는 구간 직후도 오지 못해 안전하다.[15] 추격전 도중 점프를 해야 하는 구간이나 갈림길이 존재한다.[16] 이를 통하여 허기워기가 생명체임을 추측할 수 있다.[17] 말 그대로 한 방향으로만 움직일수 있는 매우 좁은 벤트였기에, 도망칠 길이 없는 곳에 괴물과 함께 있다는 인식을 심어주기 충분했다. 이 점이 더욱 허기워기의 공포감을 높여주었다.[18] 마미 롱 레그의 서식지로 추정되는 곳에 브론 인형들이 처참하게 놓여있기에 후자가 가능성이 더 높다.[19] 챕터 2의 테이프에서 충분한 지능을 갖고 있다고 언급된다. 하지만 그 뒤에 순종적인 성격도 갖고 있다는 언급이 나오므로 특정 목적을 가진 다른 장난감에게 조종받고 있는 것으로도 보인다.[20] 첫 등장은 물론이고 주인공이 배전실에 들어왔을 때도 충분히 그를 죽일 수 있었다.[21] 인게임에선 첫만남 시 격렬하게 달려오던 것과 달리 대놓고 벤트 추격전 중에 속도를 조절하고 있다. 자동문이 닫히는 곳에서 잠시 여유를 가지고 뒤돌아 확인해보면 확실히 알 수 있다.[22] 버그를 써서 그쪽으로 가 허기워기의 머리를 가까이 볼 순 있지만 공격하진 않는다.[23] 게임 시스템상으론 순간이동.[24] 그러나 통로 끝이 막혀 있다는 것을 아는지 여기서도 주인공을 가지고 노는 듯 주인공의 속도에 어느 정도 맞춰서 추격한다. 그리고 그냥 서서 걷는 것 보다 통로 안에서 움직임이 더 빠른데, 허기가 자신에게 유리한 장소가 컨베이어 통로라 유인했을 수도 있다.[25] 마미 롱 레그가 주인공의 존재를 알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고 주인공과 접촉했던 장난감들이 전부 폭력적으로 변했다는 점[26] 해당 대사는 마치 전작인 챕터 1 추격씬에서의 상황을 의식하는 듯한 대사가 특징이다.[27] 한국인이라는 것을 모르는 사람이 있다.[28] 어디까지나 2차 창작이며, 원작에서는 아직 허기 워기의 과거가 밝혀지지 않았기에 공식 스토리가 아니다. 게다가 허기 워기가 1-0-0-6으로 나온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68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68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