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𧲦 

덤프버전 :

𧲦
⿰豸元
오소리의 일종 완
부수
나머지 획수
, 7획
총 획수
11획
미배정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カク, ガン
일본어 훈독
むじな
-
표준 중국어
wán, hé[1]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2.1. 수록 번호
2.2. 자형
2.3. 지원 글꼴
3. 용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오소리의 일종이라는 뜻을 가진 한자. 음은 완이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오소리의 일종
중국어표준어wàn
광동어wàn
객가어-
민동어-
민남어-
오어-
관화
일본어음독カク, ガン
훈독むじな
베트남어-

중국어 발음/병음
주음주음2통용규범한자표표준 중국어[2]예일식웨이드
ㄏㄜˊhe2,
he2,
he2,
he2,
hê2
ㄏㄠˊhau2,
háu
hao2,
háo
hao2,
háo
hau2,
háu
hao2
ㄇㄛˋmo4,
mo4,
mo4,
mwo4,
mwò
mo4
ㄨㄢˊwan2,
wán
wan2,
wán
wan2,
wán
wan2,
wán
wan2
유니코드에서는 U+27CA6에 수록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月竹一一山(BHMMU)으로 입력한다. 유니코드 3.1에 추가되었다.

(벌레 치)와 (으뜸 원)이 합쳐진 모양이다.

2.1. 수록 번호[편집]


유니코드U+27CA6 UTF-8: F0 A7 B2 A6
시프트 JIS면 구역 코드:호적 통일 문자 번호: 414190Sumiki Net
통일 문자 코드등기 통일 문자 번호:00414190
입관 정자 코드입관 외자 코드:제교대한화: 36506
일본어 한자 사전범용 전자 정리 번호 : 49483
헤이세이 아키나시KS414190

2.2. 자형[편집]


파일:한자𧲦자.png파일:오소리의 일종 완 한자 한컴바탕확장.gif파일:유니코드 기본 글꼴 '오소리의 일종 완' 한자 재업로드.gif파일:오소리의 일종 완𧲦 해서.png
한컴바탕확장유니코드 기본 글꼴 모양해서
파일:오소리의 일종 완(한자) 소전체 재업.jpg파일:오소리의 일종 완 소전체2.png파일:글리프 위키 오소리의 일종 완.gif파일:𧲦 강희사전.png
소전[3]글리프 위키강희사전
파일:송나라 오소리의 일종 완𧲪.png파일:오소리의 일종 완(𧲪) 명월체.png파일:오소리의일종 완𧲪 선명체.png파일:오소리의 일종𧲪 네이버 사전 기본.png
송나라명월체선명체네이버 사전 기본 글꼴 1
파일:오소리의 일종 완(𧲪) 네이버 사전 기본 2.png파일:하나조노 명조B 글꼴 오소리의 일종 완𧲪.png
네이버 사전 기본 글꼴 2하나조노 명조B

2.3. 지원 글꼴[편집]


별로 쓰이지도 않았고, 이 한자가 사용되는 단어도 없고 한국에서는 사용 용례가 없기 때문에 지원되는 글꼴이 얼마 없다.
  • 한컴바탕확장
  • 하나조노 명조B
  • 유니코드 기본 자형[X]
  • 네이버 사전 기본 글꼴 1, 2[X]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3.6. 기타[편집]


  • 『五音集韻』 4권 중

五丸切㠝岏二十三刓㝴圎上同忨贪蚖毒蛇䯈䯊䯈羱𦍼 𦍘羱音野羊角大又语袁切抏又挫也鼋鼋似鳖䨲又鼋鼋似鳖䬧饵也𧔞再蚕也通作螈蹉野牛名角唾鞍材𧲦螈属螈原虫名蝾螈蜥蝪也或作原通作蚖杬博雅椹也妧女芫艸名𥤸 𥤸窟


  • 『康熙字典·集韵』 2권 중

〇岏吾官切巑岏山銳皃文二十三忨貪也𧿙躦𧿙蹲也䯈博雅䯈䯊也䬧餌也刓㝴說文剸也一曰齊也或作㝴园抏圓削也莊子园而幾向方或作抏𧔞再𧔞也通作螈𠒢兔子也㹉野牛名角可為鞌材黿大龞𧲦貉屬蚖毒蛇螈原蟲名蠑螈析易也或作原通作蚖杬博雅椹也𦍼羱𦍘野羊名或从原从元妧女字芫艸名



4. 유의자[편집]


  • 𧴘(담비 락)
  • (오랑캐 맥/담비 락)
  • 𧲪(담비 학)
  • (담비 학)
  • 𧳇(오소리 락)
  • (오소리 학)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7 20:43:45에 나무위키 𧲦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관화 방언 발음.[2] 하지만 아래의 기호들은 비상용 독음.[3] 오른쪽은 이 자의 유의자인 의 소전체이다.[X] A B 글꼴 다운로드/사용 불가.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