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05 FIFA 월드 유스 챔피언십 네덜란드

덤프버전 :



FIFA U-20 월드컵
FIFA 월드 유스 챔피언십 네덜란드 2005™
FIFA World Youth Championship Netherland 2005™
Wereldkampioenschap voetbal oder - 20 2005
파일:2005 FIFA 월드 유스 챔피언십 네덜란드 로고.png
대회기간2005년 6월 10일 ~ 2005년 7월 2일
개최국네덜란드
본선 진출팀24개팀
대회 결과
우승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준우승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3위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4위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골든 볼리오넬 메시
골든 부츠리오넬 메시
이전·이후 대회
2003년
아랍에미리트
2005년
네덜란드
2007년
캐나다

1. 개요
2. 본선 진출국
3. 참가팀 정보
4. 조 편성
5. 결과
5.1. 조별리그
5.1.1. A조
5.1.2. B조
5.1.3. C조
5.1.4. D조
5.1.5. E조
5.1.6. F조
5.1.7. 조 3위 간 경쟁
5.2. 16강
5.3. 8강
5.4. 4강
5.5. 3, 4위전
5.6. 결승
6. 최종 순위



1. 개요[편집]


2005년 FIFA 월드 유스 챔피언십은 2005년 6월 10일부터 7월 2일까지 네덜란드의 6개 경기장(6개 도시)에서 치러졌다. '월드 유스 챔피언십'이라는 명칭을 사용한 마지막 대회로 남아있다.

1979년 대회 디에고 마라도나의 등장처럼 2005년 대회의 최고 스타는 바로 리오넬 메시였다. 기준 연령대보다 2살이나 낮은 상태였음에도 불구하고 메시는 아르헨티나의 에이스로써 활약했다. 조별리그에서 1골로 시동을 걸더니 이후 16강, 8강, 4강 연속골을 넣으며 팀을 결승으로 이끌었고, 결승전에서도 2골을 몰아치며 스타의 면모를 유감없이 과시했다. 이로써 아르헨티나는 대회 5번째 우승을 거두고 최다 우승국 지위를 다시 가져오게 된다.

대한민국은 오랜만에 연속 본선 진출에 성공해 이 대회에도 나섰다. 하지만 스위스, 나이지리아, 브라질과 함께 죽음의 조에 걸려 16강 진출이 매우 어려운 상황이었다. 당시 박주영 신드롬의 주인공 박주영이 있었지만, 객관적인 전력차는 어쩔수 없었고, 오히려 대회 준우승국 나이지리아와의 조별리그 2차전 2-1 역전승은 전력차를 뛰어넘은 선전으로써 지금까지도 청대 명경기로 회자되고 있다.


2. 본선 진출국[편집]


대륙국가예선 대회대회 성적티켓 수통산 진출최근 진출최고 성적
유럽
(UEFA)
파일:스페인 국기.svg스페인2004 UEFA U-19 챔피언십
스위스[1]
우승6장11회2003우승
파일:튀르키예 국기.svg튀르키예준우승2회1993조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1992-2006).svg우크라이나3위2회200116강
파일:스위스 국기.svg스위스4위첫 진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이탈리아5위4회19878강
파일:독일 국기.svg독일6위8회[2]2003우승
파일:네덜란드 국기.svg네덜란드개최국[3]1장4회20018강
오세아니아
(OFC)
파일:호주 국기.svg호주2005 OFC U-20 챔피언십
솔로몬 제도
우승1장12회20034위
아프리카
(CAF)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나이지리아2005 아프리카 유스 챔피언십
베냉
우승4장6회1999준우승
파일:이집트 국기.svg이집트준우승5회20033위
파일:베냉 국기.svg베냉3위첫 진출--
파일:모로코 국기.svg모로코4위3회199716강
아시아
(AFC)
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2004 AFC 유스 챔피언십
말레이시아
우승4장9회20034위
파일:중국 국기.svg중국준우승5회20018강
파일:일본 국기.svg일본3위7회2003준우승
파일:시리아 국기.svg시리아4위4회19958강
남미
(CONMEBOL)
파일:콜롬비아 국기.svg콜롬비아2005 남아메리카 U-20 챔피언십
콜롬비아
우승4장6회20033위
파일:브라질 국기.svg브라질준우승14회2003우승[4회]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아르헨티나3위10회2003우승[4회]
파일:칠레 국기.svg칠레4위4회20014위
북중미
(CONCACAF)
파일:미국 국기.svg미국2005 CONCACAF U-20 토너먼트
미국/온두라스[4]
1위4장10회20034위
파일:캐나다 국기.svg캐나다2위7회20038강
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온두라스3위4회1999조별
파일:파나마 국기.svg파나마4위2회2003조별


3. 참가팀 정보[편집]



4. 조 편성[편집]




5. 결과[편집]



5.1. 조별리그[편집]



5.1.1. A조[편집]


경기수득실차승점
네덜란드330061+59
일본302134-12
베냉302123-12
호주302125-32

6월 10일베냉 1 : 1 호주
6월 10일네덜란드 2 : 1 일본
6월 15일일본 1 : 1 베냉
6월 15일호주 0 : 3 네덜란드
6월 18일일본 1 : 1 호주
6월 18일네덜란드 1 : 0 베냉
  • 2무 1패하고도 올라간 팀이 나왔다. 3팀은 서로 1:1로 비긴 것을 감안하면, 네덜란드전 전적이 16강행을 가른 셈.

5.1.2. B조[편집]


경기수득실차승점
중국330094+59
우크라이나311176+14
터키31114404
파나마300328-60

6월 11일터키 1 : 2 중국
6월 11일우크라이나 3 : 1 파나마
6월 14일중국 3 : 2 우크라이나
6월 15일파나마 0 : 1 터키
6월 17일터키 2 : 2 우크라이나
6월 17일중국 4 : 1 파나마


5.1.3. C조[편집]


경기수득실차승점
스페인3300131+129
모로코320173+46
칠레310278-13
온두라스3003015-150

6월 11일스페인 3 : 1 모로코
6월 11일온두라스 0 : 7 칠레
6월 14일모로코 5 : 0 온두라스
6월 15일칠레 0 : 7 스페인
6월 17일스페인 3 : 0 온두라스
6월 17일모로코 1 : 0 칠레


5.1.4. D조[편집]


경기수득실차승점
미국321020+27
아르헨티나320131+26
독일311121+14
이집트300305-50

6월 11일아르헨티나 0 : 1 미국
6월 11일독일 2 : 0 이집트
6월 14일이집트 0 : 2 아르헨티나
6월 15일미국 0 : 0 독일
6월 18일아르헨티나 1 : 0 독일
6월 18일미국 1 : 0 이집트
  • 미국이 최다 우승국이자 강력한 우승 후보인 아르헨티나를 꺾는 이변을 연출했다.

5.1.5. E조[편집]


경기수득실차승점
콜롬비아330060+69
시리아311134-14
이탈리아31025503
캐나다301227-51

6월 12일콜롬비아 2 : 0 이탈리아
6월 12일시리아 1 : 1 캐나다
6월 15일캐나다 0 : 2 콜롬비아
6월 15일이탈리아 1 : 2 시리아
6월 18일이탈리아 4 : 1 캐나다
6월 18일콜롬비아 2 : 0 시리아


5.1.6. F조[편집]


경기수득실차승점
브라질321030+37
나이지리아311142+24
대한민국310235-23
스위스310225-33

6월 12일브라질 0 : 0 나이지리아
6월 12일대한민국 1 : 2 스위스
6월 15일스위스 0 : 1 브라질
6월 15일나이지리아 1 : 2 대한민국
6월 18일브라질 2 : 0 대한민국
6월 18일나이지리아 3 : 0 스위스




5.1.7. 조 3위 간 경쟁[편집]


경기수득실차승점결과
독일311121+1416강 진출
터키3111440416강 진출
칠레3102781316강 진출
이탈리아3102550316강 진출
대한민국310235-23조별리그 탈락
베냉302123-12조별리그 탈락


5.2. 16강[편집]


날짜결과원정
6월 21일미국1:3이탈리아
6월 21일모로코1:0일본
6월 21일중국2:3독일
6월 21일브라질1:0시리아
6월 22일나이지리아1:0우크라이나
6월 22일네덜란드3:0칠레
6월 22일콜롬비아1:2아르헨티나
6월 22일스페인3:0터키


5.3. 8강[편집]


날짜결과원정
6월 24일모로코2:2 (승부차기 4:2)이탈리아
6월 24일독일1:2 (연장전)브라질
6월 25일나이지리아1:1 (승부차기 10:9)네덜란드
6월 25일아르헨티나3:1스페인


5.4. 4강[편집]


날짜결과원정
6월 28일모로코0:3나이지리아
6월 28일브라질1:2아르헨티나




5.5. 3, 4위전[편집]


날짜결과원정
7월 2일브라질2:1모로코


5.6. 결승[편집]


날짜결과원정
7월 2일아르헨티나2:1나이지리아



메시가 2골을 넣으며 2:1 우승에 기여했다. 2년 뒤 대회도 우승하며 아르헨티나는 2연패 우승에 성공하지만... 이후로 우승을 못하게 된다. 여담인데 2023년 아르헨티나 자국 대회 16강전에서 나이지리아와 다시 맞붙지만 이번에는 나이지리아가 2-0으로 이기며 설욕하게 된다.

6. 최종 순위[편집]


2005 FIFA U-20 월드컵 우승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다섯 번째 우승

순위국가경기득실승점비고
1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7601125+718우승
2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7322105+511준우승
3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751194+5163위
4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73131110+1104위
5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5410102+8138강
6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5401174+13128강
7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5212108+278강
8파일:독일 국기.svg 독일521265+178강
9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430172+5916강
10파일:중국 국기.svg 중국4301117+4916강
11파일:미국 국기.svg 미국4211330716강
12파일:우크라이나 국기(1992-2006).svg 우크라이나4112770416강
13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411235-2416강
14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터키411247-3416강
15파일:칠레 국기.svg 칠레4103711-4316강
16파일:일본 국기.svg 일본402235-2216강
17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310235-231라운드
18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310225-331라운드
19파일:베냉 국기.svg 베냉302123-121라운드
20파일:호주 국기.svg 호주302125-321라운드
21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301227-511라운드
22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300305-501라운드
23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300328-601라운드
24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 온두라스3003015-1501라운드



[1] 대회 기준으로 19세, 즉 본선 대회에 20세 이하가 되는 선수들이다.[2] 통일 독일로는 6회[3] 유럽 대회에서는 예선라운드 탈락.[4회] A B [4] 이 대회는 따로 우승국을 가리지 않고 4장의 진출권 주인만 가리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순위는 조별리그 성적으로 임의로 매겨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