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2 월드 챔피언십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1회2회3회4회5회
ta-hash-start=w-2a845d4d23b883acb632fefd814e175f[[파일:스웨덴 국기.svg
2011
스웨덴
ta-hash-start=w-7421f9a5c324f16711e12467bfcf268e[[파일:미국 국기.svg
2012
미국
ta-hash-start=w-7421f9a5c324f16711e12467bfcf268e[[파일:미국 국기.svg
2013
미국
ta-hash-start=w-cd58e476e49c7958764137dd91e4a253[[파일:대만 국기.svg ta-hash-start=w-a87c11b9100c608b7f8e98cfa316ff7b[[파일:싱가포르 국기.svg ta-hash-start=w-2ad908ea29b45df4bf8b2a3136690429[[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
대만 · 싱가포르 · 대한민국
ta-hash-start=w-3276d012055292a66a29bc5aa5df12d7[[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2015
유럽
6회7회8회9회10회
ta-hash-start=w-7421f9a5c324f16711e12467bfcf268e[[파일:미국 국기.svg
2016
미국
ta-hash-start=w-45ab12afa05e563bb484781693dffc87[[파일:중국 국기.svg
2017
중국
ta-hash-start=w-2ad908ea29b45df4bf8b2a3136690429[[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
대한민국
ta-hash-start=w-3276d012055292a66a29bc5aa5df12d7[[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2019
유럽
ta-hash-start=w-45ab12afa05e563bb484781693dffc87[[파일:중국 국기.svg
2020
중국
11회12회13회14회15회
ta-hash-start=w-a6506791c233fd33fa60a1d3e9bd9265[[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2021
아이슬란드
ta-hash-start=w-826475118cc8267fceee873fa8043896[[파일:멕시코 국기.svg ta-hash-start=w-7421f9a5c324f16711e12467bfcf268e[[파일:미국 국기.svg
2022
멕시코 · 미국
ta-hash-start=w-2ad908ea29b45df4bf8b2a3136690429[[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대한민국
ta-hash-start=w-5011c560a9233c63cf0e6cb6d06cf22c[[파일:영국 국기.svg
2024
영국
ta-hash-start=w-ce7d7a77602451df6ca7bd58173b710a[[파일:국기.svg
2025
미정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1
챔피언십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2
월드 챔피언십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3
월드 챔피언십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2 월드 챔피언십 우승팀
Fnatic파일:300px-Taipei_Assassinslogo_square.png
Taipei Assassins
SK telecom T1
파일:1_Zkr5EFZg8gwDJhkB0GBTWw.jpg

파일:20121014152815954.jpg
파일:LoLS2.webp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2 월드 챔피언십
대회 기간2012년 10월 05일~10월 14일
개최지
파일:미국 국기.svg

주최·주관라이엇 게임즈
참가팀12개 팀
패치 버젼1.0.0.147
그룹-8강로스앤젤레스 LA LIVE[1]
4강-결승로스앤젤레스 갈렌 센터
대한민국
중계
OGN: 전용준 캐스터, 김동준·강민 해설
스폰서인텔, 플랜트로닉스 게이밍, 로지텍, 아주부TV, 에일리언웨어
우승팀Taipei Assassins
준우승팀Azubu Frost
1. 개요
2. 출전 팀
3. 선발전
3.1. 중국
3.2. 유럽
3.3. 북미
3.4. 대만/홍콩/마카오
3.5. 동남아
3.6. 한국
4. 일정
5. 결과
6. 기념 스킨
6.1. 챔피언십 리븐(Championship Riven)
6.2. Taipei Assassins 스킨
7. 사건 사고
8. 기타
9. 둘러보기



1. 개요[편집]


League of Legends: Season Two Finals Recap
2012년 10월 5일부터 10월 14일까지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개최된 제2회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이 때부터 명칭에 World를 붙이기 시작했다.


2. 출전 팀[편집]



2.1. 로스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2 월드 챔피언십/로스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선발전[편집]


리그 오브 레전드가 정식으로 서비스되는 지역들을 크게 6개의 지역으로 묶어, 각 지역에 쿼터를 배당하였다. 쿼터는 북미 3개 팀, 유럽 3개 팀, 중국 2개 팀, 한국 2개 팀, 대만/홍콩/마카오 1개 팀, 동남아 1개 팀으로 총 12개 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쿼터를 차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서킷 포인트로, 이 포인트는 각 지역에서 라이엇이 공인한 대회 성적으로 집계된다. 한국에는 온게임넷이 주관하는 LOL the Champions나이스게임TV 주관의 NLB가 있다. 이 서킷 포인트는 각 지역 대표 선발전 이전까지 집계되며, 서킷 포인트 순위대로 선발전에 진출할 수 있다.

각 지역에서 대표팀을 선발하는 방식에는 약간씩 차이가 있다.

  • 3개 팀을 선발하는 북미/유럽 지역에서는 서킷 포인트 1~8위간 토너먼트를 통해 선발한다.
  • 2개 팀을 선발하는 중국/한국 지역에서는 서킷 포인트 1위 팀은 자동 진출, 2~5위 팀이 선발전을 통해 1팀을 뽑아 선발하게 된다.
  • 대만/홍콩/마카오는 서킷포인트 상위 32개 팀이 32강부터 토너먼트를 하여 1위팀이 선발된다.
  • 동남아 지역은 5개 나라(말레이시아, 베트남, 싱가포르, 태국, 필리핀) 개별 국가 예선에서 엘리미네이션방식으로 경쟁하여 1위팀을 선발하게 된다.


3.1. 중국[편집]


Team WE가 서킷 포인트 1위로 출전을 확정지었고, 7월 26일 상하이 차이나조이 게임쇼에서 진행된 중국대표 선발전에서 Invictus Gaming이 진출권을 확보했다.


3.2. 유럽[편집]


8월 16~19일, 독일 쾰른 게임스컴에서 열린 유럽 시즌2 지역 대회에서 M5, SK Gaming, CLG.EU가 출전을 확정지었다.


3.3. 북미[편집]


8월 30일부터 9월 2일, 미국 시애틀 PAX 프라임에서 열린 북미 시즌2 지역 대회에서 TSM, Dignitas, CLG.Prime[2]이 출전을 확정지었다.


3.4. 대만/홍콩/마카오[편집]


9월 1일,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G1에서 Taipei Assassins(TPA)이 최종적으로 출전을 확정지었다.


3.5. 동남아[편집]


9월 9일 베트남 다낭에서 열린 동남아 시즌2 지역대회에서 Saigon Jokers가 출전을 확정지었다.


3.6. 한국[편집]


한국 지역은 9월 12~21일, 온게임넷에서 한국 대표 선발전을 진행하였다. 선발전 이전에 서킷 포인트 집계를 통해 Azubu Frost가 서킷 포인트 1위로 출전을 확정했고, Azubu Blaze, Xenics Storm, LG-IM, CJ 엔투스, 나진 e-mFire Sword가 선발전에 참가하였다. 이후 선발전을 거쳐, 나진 e-mFire Sword가 진출권을 획득하였다. 자세한 항목은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2 월드 챔피언십/한국대표선발전 참조.


4. 일정[편집]





5. 결과[편집]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LoL Season 2
월드 챔피언
||
파일:300px-Taipei_Assassinslogo_square.png
순위표
순위경기득실상금비고
1Taipei Assassins972+5$1,000,000우승
2Azubu Frost1284+4$250,000준우승
3Moscow Five532+1$150,0004강
4CLG Europe954+1$150,0004강
5Invictus Gaming523-1$75,0008강
6NaJin Sword532+1$75,0008강
7Team WE312-1$75,0008강
8TSM202-2$75,0008강
9CLG Prime312-1$50,000조별리그
10Saigon Jokers312-1$50,000조별리그
11SK Gaming303-3$25,000조별리그
12Dignitas303-3$25,000조별리그

순위상금 (달러)
우 승$ 1,000,000
준우승$ 250,000
3위 ~ 4위$ 150,000
5위 ~ 8위$ 75,000
9위 ~ 10위$ 55,000
11위 ~ 12위$ 25,000

6. 기념 스킨[편집]



6.1. 챔피언십 리븐(Championship Riven)[편집]


파일:riven_Championship.jpg
가격975RP
(한정판)
동영상#[3]

북미에서 개최된 2012 월드 챔피언십 기념 스킨. 최초의 챔피언십 스킨입니다.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2 월드 챔피언십 기념으로 2012년 10월 15일부터 딱 일주일 동안 판매된 스킨. 별명은 챔쁜이. 궁극기 사용시 칼의 모양에 호불호가 갈리지만 시즌 2 때 구입해야만 구할 수 있었던 희소성과 예쁜 인게임, 모든 스킬 이펙트가 파랗게 바뀌는 점 등으로 인해 상당히 가치 있는 스킨.

시즌 4 월드 챔피언십 즈음에 챔피언십 쓰레쉬는 재판매하는데 왜 챔피언십 리븐은 안파냐고 유저들이 분노했다. 이후로는 수수께끼 상자로 얻는 수 밖에 없었는데, 9월 24일 이후로 수수께끼 상자로도 챔피언십 리븐을 얻지 못하도록 잠수함 패치되었다. 이에 스킨을 구하기 위해 많은 돈을 질렀던 유저들은 분통을 터뜨렸고,# 결국 라이엇 코리아가 10월 8일 이를 인정했고 원하는 경우 수수료 없이 환불을 진행한다고 발표했다.#

시즌 4 롤드컵 결승전 때 챔피언십 쓰레쉬, 챔피언십 쉬바나와 함께 배포되었다. 간간히 고가에 거래되던 챔피언십 리븐 코드 가격은 곤두박질 치다못해 자취를 감췄으며 챔피언십 리븐은 이제 더 이상 희귀스킨이라고 보기 어려울 정도로 게임에서 빈번하게 볼 수 있게 되었다. 해외에서도 매우 희귀한 챔피언십 리븐을 가지고 싶은 유저들이 많아 몇몇 유저들은 해외에 쿠폰을 판매하기도 했으며 그 가격은 국내에서 팔리는 가격과 비교해 적게는 몇배 많게는 수십배가 차이날 정도로 비싼가격에 판매되었다. 다만 예전 챔피언십 리븐 쿠폰은 아이콘까지 지급해 줬지만 이번 챔피언십 시리즈 쿠폰은 리븐 챔피언십 아이콘을 주지 않았다.

시즌 5 롤드컵때도 쓰레쉬, 쉬바나만 파는 걸 보면 완전히 리미티드 스킨이 된 듯. 그 대신 '승부의 신' 이벤트에서 모든 경기의 승패를 맞추면 증정된다. 참고로 2014년 시즌 4 롤드컵 승자예측 이벤트에선 30만명 이상의 유저들이 참가했으나 단 10명만이 모든 경기의 승패를 정확히 맞췄다. 그리고 2015년 시즌 5 롤드컵 승부의 신 이벤트에선 전세계 단 1명만이 결과를 모두 맞췄다.

2015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승패 결승전이 있기 전까지 조별 예선, 본선의 결과를 모두 맞추는 이벤트로 챔피언십 리븐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이 한 사람으로 좁혀졌다. 4강까지는 5명이었으나 그 중 4명이나 프나틱을 지목해서 떨어져 나갔다. 참고로 이 사람은 SKT의 우승을 예상했고 결국 결승 결과 스킨을 받게 되었다.

2016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때 재판매를 할 계획이라고 한다. 퀄리티도 높여서

결국 '2016 챔피언십 리븐'으로 기존 챔피언십 리븐과 다르게 출시했다.이것도 신스킨일까?


6.2. Taipei Assassins 스킨[편집]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Azubu_Tpa_logo.png
2012 시즌[4]
파일:2013_TPA.jpg

(Stanley)
문도 박사
(Lilballz)
오리아나
(Toyz)
이즈리얼
(bebe)
누누
(MiSTakE)

여담으로 챔피언 리메이크로 인해[5] 무려 일러스트가 두 번이나 바뀐 우승 스킨 시리즈이다.


7. 사건 사고[편집]




다른 문서는 보통 사건 사고를 모두 통합해 하나의 문서로 분리하는 반면, 시즌2 월드 챔피언십은 발생했던 3개의 사건 사고가 모두 대형 사고였던 탓에 3개 모두 개별 문서로 분리되었다.

7.1. Azubu Frost 욕설 송출 사건[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Azubu Frost 욕설 송출 사건#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 시즌2 월드 챔피언십 방송 송출 중단 사건[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시즌2 월드 챔피언십 방송 송출 중단 사건#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3. 시즌2 월드 챔피언십 눈맵 사건[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시즌2 월드 챔피언십 눈맵 사건#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기타[편집]




9. 둘러보기[편집]


||


[1] 스테이플스 센터 건너편에 위치한 야외 공연장이다.[2] CLG.NA의 새로운 이름.[3] 빈티지(12년도 및 14년도)와 2016에디션을 한번에 비교해서 볼 수 있는 버전이다.[4] 처음으로 제작된 롤드컵 우승팀 헌정 스킨. 이후 프나틱 스킨이 제작되었다.[5] 누누와 윌럼프, 문도 박사[6] 머리도 빗겨지지 않고 그냥 미국 여행온 아저씨 옷차림에 슬리퍼 콤보까지 그야말로 일상의 흔한 아저씨의 모습[7] 현장 분위기를 보면 오히려 라이엇의 보상 공세에 환호하는 모습이 보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06:21:01에 나무위키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2 월드 챔피언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