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EPCR 챌린지 컵/2022-23시즌

덤프버전 :

2022-23 EPCR Challenge Cup
파일:EPCR 챌린지 컵 로고.svg
기간2022.12.9 ~ 2023.5.19
팀 수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6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3팀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3팀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2팀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2팀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1팀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1팀
대회 결과
우승파일:프랑스 국기.svg RC 툴로네 (첫 우승)
준우승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글래스고 워리어스 (첫 준우승)
2021-222023-24

1. 개요
2. 조별리그
2.1. A조
2.2. B조
3. 토너먼트
3.1. 16강전
3.2. 8강전
3.3. 4강전
3.4. 결승전
4. 통계
5. 관련 대회



1. 개요[편집]


EPCR 챌린지 컵 27번째 시즌으로 남아공 팀이 처음으로 참가 자격을 얻었다. 결승전은 아비바 스타디움에서 챔피언스 컵 결승 전날 개최된다.

2021-22시즌 프리미어십 럭비, TOP 14, 유나이티드 럭비 챔피언십 결과에 따라 각 17팀이 맞춰졌고, 부족한 한 자리는 항상 프로 무대에 목말라 있는 남아공 팀 중 치타스를 초청해서 채웠다.


2. 조별리그[편집]


18개 팀을 각각 10개, 8개 팀으로 나눈다(나누는 기준은 아직 확인하지 못함). 경기를 치르는 방법도 해괴망측한데, 일단 그림으로 보는 것이 이해가 빠를 것이다.

각 조 상위 6개팀은 16강 토너먼트에 진출하고, 남은 4자리는 상위 대회인 챔피언스 컵 조별리그에서 각 조 9,10위로 탈락한 팀이 들어간다.


2.1. A조[편집]


10개의 팀이 각각 6개와 4개팀의 가상의 그룹으로 나뉜다. 화살표가 연결된 팀과 홈&어웨이로 경기를 치르며, 각 팀은 총 4경기를 하게 된다. 왜 이렇게 되는지는 모른다(...)
  • 대진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브리스톨파일:프랑스 국기.svg 페르피냥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제브레 파르마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글래스고
파일:프랑스 국기.svg 툴롱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바스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뉴캐슬파일:웨일스 국기.svg 카디프
파일:IRFU 로고.png 코노트파일:프랑스 국기.svg 브리브

  • 결과
1라운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페르피냥5 : 19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브리스톨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바스19 : 22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글래스고
파일:IRFU 로고.png 코노트22 : 8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뉴캐슬
파일:웨일스 국기.svg 카디프41 : 0파일:프랑스 국기.svg 브리브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제브레 파르마21 : 24파일:프랑스 국기.svg 툴롱
2라운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브리브24 : 31파일:IRFU 로고.png 코노트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글래스고26 : 18파일:프랑스 국기.svg 페르피냥
파일:프랑스 국기.svg 툴롱29 : 7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바스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뉴캐슬10 : 47파일:웨일스 국기.svg 카디프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브리스톨35 : 19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제브레 파르마
3라운드
파일:IRFU 로고.png 코노트61 : 5파일:프랑스 국기.svg 브리브
파일:프랑스 국기.svg 페르피냥26 : 40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글래스고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제브레 파르마11 : 34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브리스톨
파일:웨일스 국기.svg 카디프42 : 10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뉴캐슬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바스23 : 35파일:프랑스 국기.svg 툴롱
4라운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글래스고19 : 19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바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툴롱14 : 5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제브레 파르마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브리스톨33 : 19파일:프랑스 국기.svg 페르피냥
파일:프랑스 국기.svg 브리브37 : 24파일:웨일스 국기.svg 카디프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뉴캐슬35 : 21파일:IRFU 로고.png 코노트

클럽득실승점
파일:프랑스 국기.svg 툴롱4승102/56 (+46)19점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글래스고3승1무107/82 (+25)16점
파일:웨일스 국기.svg 카디프3승1패154/57 (+97)15점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브리스톨4승121/54 (+67)14점[1]
파일:IRFU 로고.png 코노트3승1패135/72 (+63)14점
파일:프랑스 국기.svg 브리브1승3패66/157 (-91)6점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뉴캐슬1승3패63/132 (-69)5점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바스1무3패68/105 (-37)3점
파일:프랑스 국기.svg 페르피냥4패68/118 (-50)1점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제브레 파르마4패56/107 (-51)1점


2.2. B조[편집]


B조도 비슷하다. 대신 여기는 8팀 한 그룹으로만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화살표가 연결된 팀과 홈&어웨이로 경기를 치르며, 각 팀은 총 4경기를 하게 된다.
  • 대진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베네통파일:프랑스 국기.svg 스타드 프랑세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라이언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바요네파일:웨일스 국기.svg 드래곤스
파일:웨일스 국기.svg 스칼렛츠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치타스파일:프랑스 국기.svg[2]

  • 결과
1라운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스타드 프랑세24 : 14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베네통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라이언스31 : 31파일:웨일스 국기.svg 드래곤스
파일:프랑스 국기.svg[2]16 : 21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치타스
파일:웨일스 국기.svg 스칼렛츠39 : 7파일:프랑스 국기.svg 바요네
2라운드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라이언스30 : 12파일:프랑스 국기.svg 스타드 프랑세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치타스26 : 45파일:웨일스 국기.svg 스칼렛츠
파일:프랑스 국기.svg 바요네7 : 45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베네통
파일:웨일스 국기.svg 드래곤스21 : 27파일:프랑스 국기.svg
3라운드
파일:프랑스 국기.svg15 : 21파일:웨일스 국기.svg 드래곤스
파일:웨일스 국기.svg 스칼렛츠20 : 17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치타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스타드 프랑세17 : 7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라이언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베네통26 : 7파일:프랑스 국기.svg 바요네
4라운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바요네7 : 20파일:웨일스 국기.svg 스칼렛츠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베네통35 : 32파일:프랑스 국기.svg 스타드 프랑세
파일:웨일스 국기.svg 드래곤스25 : 30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라이언스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치타스9 : 6파일:프랑스 국기.svg

클럽득실승점
파일:웨일스 국기.svg 스칼렛츠4승124/57 (+67)18점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베네통3승1패120/70 (+50)15점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라이언스2승1무1패98/85 (+13)12점
파일:프랑스 국기.svg 스타드 프랑세2승2패85/86 (-1)10점
파일:웨일스 국기.svg 드래곤스1승1무2패98/103 (-5)10점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치타스2승2패73/87 (-14)10점
파일:프랑스 국기.svg1승3패64/72 (-8)7점
파일:프랑스 국기.svg 바요네4패28/130 (-102)0점


3. 토너먼트[편집]


아니나다를까 챔피언스 컵이랑 똑같게 프리미어십, TOP 14들만 썰려 나갔다. 제브레 파르마야 만년 꼴찌니까 그렇다 치자.

  • 대진표 - 챔피언스 컵 각 조에서 내려온 팀은 A-9,10과 B-9,10를 부여하는데, 단순하게 나타내기 위해 임의로 A-7,8과 B-7,8로 쓰겠음.
A-1파일:프랑스 국기.svg 툴롱8강 1
B-6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치타스
B-4파일:프랑스 국기.svg 스타드 프랑세8강 2
A-7파일:프랑스 국기.svg 리옹
B-2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베네통8강 3
A-5파일:IRFU 로고.png 코노트
A-3파일:웨일스 국기.svg 카디프8강 4
B-8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세일
A-2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글래스고8강 5
B-5파일:웨일스 국기.svg 드래곤스
B-3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라이언스8강 6
A-8파일:프랑스 국기.svg 라싱
B-1파일:웨일스 국기.svg 스칼렛츠8강 7
A-6파일:프랑스 국기.svg 브리브
A-4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브리스톨8강 8
B-7파일:프랑스 국기.svg 클레르몽
챔피언스 컵에선 아일랜드가, 챌린지 컵에선 프랑스가 16강에서 팀킬을 하게 되었다.


3.1. 16강전[편집]


16강전은 3월 5주차 주말에 진행됐다.
파일:프랑스 국기.svg 툴롱36파일:프랑스 국기.svg 툴롱

파일:프랑스 국기.svg 리옹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치타스21
파일:프랑스 국기.svg 스타드 프랑세24
파일:프랑스 국기.svg 리옹4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베네통41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베네통

파일:웨일스 국기.svg 카디프
파일:IRFU 로고.png 코노트19
파일:웨일스 국기.svg 카디프28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세일 샤크스27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글래스고 워리어스73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글래스고 워리어스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라이언스
파일:웨일스 국기.svg 드래곤스33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라이언스51
파일:프랑스 국기.svg 라싱 9228
파일:웨일스 국기.svg 스칼렛츠19파일:웨일스 국기.svg 스칼렛츠

파일:프랑스 국기.svg 클레르몽
파일:프랑스 국기.svg 브리브7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브리스톨 베어스26
파일:프랑스 국기.svg 클레르몽33
16강전의 하이라이트는 단연 5조 글래스고vs드래곤스 경기다. 도합 106점에 글래스고에서 트라이 11개, 드래곤스에서 5개가 나왔다. 대체 무슨 일이 일어난 거지?




3.2. 8강전[편집]


8강전은 16강 바로 다음 주인 4월 1주차 주말에 진행된다. 어쩌다보니 프랑스는 16강강에 이어 8강에서도 팀킬을 하게 됐다.
파일:프랑스 국기.svg 툴롱48파일:프랑스 국기.svg 툴롱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베네통
파일:프랑스 국기.svg 리옹2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베네통27
파일:웨일스 국기.svg 카디프23
파일:웨일스 국기.svg 스칼렛츠32파일:웨일스 국기.svg 스칼렛츠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글래스고 워리어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클레르몽30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글래스고 워리어스31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라이언스21
홈 팀의 완전한 승리. 이탈리아 베네통이 웨일스의 카디프를 이기며 사상 첫 대회 4강에 진출했다. URC 2022-23시즌 중후반까지 플레이오프 진출 경쟁을 할 정도로 성적이 좋아져서 가능했던 것 같다.
챔피언스 컵과 같이 남아공 팀들이 8강에서 다 썰려 나갔다. 작년 남아공 팀들이 대회를 지배했던 것과 대조적이다.


3.3. 4강전[편집]


4강전은 8강으로부터 3주 뒤에 치러진다.
파일:프랑스 국기.svg 툴롱23파일:프랑스 국기.svg 툴롱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글래스고 워리어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베네통0
파일:웨일스 국기.svg 스칼렛츠17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글래스고 워리어스35
베네통 럭비의 이탈리아 최초 결승 진출의 꿈은 아쉽게도 이루지 못했다. 웨일스 팀은 홈 이점을 갖고 있었음에도 패배하여 이번 시즌 유러피언 컵에서 전멸했다.


3.4. 결승전[편집]


결승전은 한국 시간 기준 5월 20일 04시 아비바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킥오프23.5.19.(금) 20:00경기장/관중아비바 스타디움 (31,514명)주심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웨인 반스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글래스고 워리어스19 : 43파일:프랑스 국기.svg RC 툴로네
글래스고는 에든버러에 이어 스코틀랜드 팀 역사상 두번째 결승 진출을 이뤄냈지만 아쉽게 준우승했고, 툴롱은 준우승만 주구장창 하다가 첫 우승을 했다.




4. 통계[편집]


  • 누적 관중 : 314,302명 (평균 6,163명)
  • 총 트라이 : 329회 (평균 6.5회)
  • 최다 득점 : 파일:웨일스 국기.svg 샘 코스텔로 (스칼렛츠) 62점
  • 최다 트라이 :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조니 매튜스 (글래스고 워리어스), 파일:피지 국기.svg 지우타 와이니콜로 (툴롱) 7회


5. 관련 대회[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1 20:44:49에 나무위키 EPCR 챌린지 컵/2022-23시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원래 19점인데 선수 기용 관련 부정을 저지른 것이 적발되어 승점 5점 감점의 가벼운 징계를 받았다[2] A B 석시옹 팔루아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