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IEM Season XIV - Katowice/스타크래프트 2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EM Season XIV - Katowice


파일:카토비체 2020.png


파일:external/www.esl-one.com/IEM_v2014.png
IEM Season XIV - Katowice
대회 기간2020년 2월 24일 ~ 3월 1일
주최 · 주관파일:ESLlogo.png
개최지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카토비체
스폰서파일:인텔 로고(2006-2020).svg
파일:보다폰 로고.svg파일:predator_800x800ar.png
파일:GameFuelLogo.png파일:euronics-new-logo.png
경 기 장
[ 펼치기 · 접기 ]
오프라인 예선, 24강 ~ 8강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ESL 아레나
4강, 결승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스포덱 아레나
중 계
[ 펼치기 · 접기 ]
상 금
[ 펼치기 · 접기 ]
총 상금$400,000 (한화 약 4억 6천 6백만 원)
상금 분배우승$150,000
준우승$65,000
3-4위$25,000
5-8위$10,000
9-12위$5,000
13-16위$3,000
17-20위$2,500
21-24위$2,000
25-28위$1,550
29-36위$1,250
37-44위$900
45-60위$600
61-76위-
조별리그1승 당 $200
결 과
[ 펼치기 · 접기 ]
우승이병렬
준우승주성욱

1. 개요
2. 온라인 예선
2.1. 대한민국 서버 예선
2.1.1. 1차 예선
2.1.2. 2차 예선
2.2. 유럽 서버 예선
2.3. 북미 서버 예선
3. 오프라인 예선(76강)
4. 24강 그룹 스테이지
4.1. A조
4.2. B조
4.3. C조
4.4. D조
5. 12강
6. 8강
7. 4강
8. 결승전
9. 결과
10. 기타




1. 개요[편집]




||
보기ㆍ닫기
ESL Pro TourGSL
파일:external/www.esl-one.com/IEM_v2014.png
IEM Katowice 2020

2월 24일 ~ 3월 1일
파일:dhsc2masterslogo.png
SC2 Masters 2020 Summer
Local Divisions

6월 24일 ~ 7월 12일
파일:gsl-super-tournament.png
Super Tournament #1

3월 18일 ~ 3월 28일
파일:gsl_logo_nobg.png
GSL Season 1

4월 11일 ~ 6월 6일
파일:dhsc2masterslogo.png
SC2 Masters 2020 Summer
Season Finals

7월 16일 ~ 7월 19일
파일:dhsc2masterslogo.png
SC2 Masters 2020 Fall
Local Divisions

8월 26일 ~ 9월 13일
파일:gsl_logo_nobg.png
GSL Season 2

6월 20일 ~ 8월 15일
파일:dhsc2masterslogo.png
SC2 Masters 2020 Fall
Season Finals

9월 15일 ~ 9월 20일
파일:dhsc2masterslogo.png
SC2 Masters 2020 Winter
Local Divisions

10월 21일 ~ 11월 8일
파일:gsl_logo_nobg.png
GSL Season 3

8월 29일 ~ 11월 1일
파일:gsl-super-tournament.png
Super Tournament #2

12월 2일 ~ 12월 12일
파일:dhsc2masterslogo.png
SC2 Masters 2020 Winter
Season Finals

11월 10일 ~ 11월 15일
파일:dhsc2masterslogo.png
SC2 Masters 2020
Last Chance 2021

2021년 1월 12일 ~ 1월 17일
기타 대회
보기ㆍ닫기

파일:TSL_LOGO.png
TeamLiquid StarLeague 5

5월 16일 ~ 6월 7일
1,520 포인트
파일:kubo_logo1.png
King of Battles

10월 3일 ~ 10월 11일
1280 포인트
파일:rog_tournament_logo.png
ASUS ROG Online

11월 27일 ~ 11월 29일
1,280 포인트
파일:TSL6-Logo.png
TeamLiquid StarLeague 6

12월 5일 ~ 12월 20일
1,260 포인트

주간 대회
파일:ESLlogo.png
ESL Open Cups
최종 결선
파일:ESL-Masters-Championship-grey.png
IEM Katowice 2021

Masters Championship



2010년을 시작으로, 이번으로 10주년을 맞이하는 IEM 스타크래프트 2 종목의 월드 챔피언십 대회.[1] 또한 ESL Pro Tour StarCraft II의 포문을 여는 대회이기도 하다.


  • 대회 특이사항
    • 코로나 바이러스의 여파로 모든 종목의 무관중 경기가 확정되었다. 스타크래프트2 종목은 IEM 평창 때와 마찬가지로 두 번째 무관중 경기이다.


2. 온라인 예선[편집]



2.1. 대한민국 서버 예선[편집]



2.1.1. 1차 예선[편집]


1차 한국 서버 최종 예선 명단
파일:Ticon.png파일:Zicon.png파일:Picon.png
초청
리페이난
TIME
신희범
RagnaroK
백동준
Dear
파일:중국 국기.svg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Newbee_Logo150.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900px-Chivo_logo.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Newbee_Logo150.png
전태양
TY
이병렬
Rogue
김대엽
Stat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Triumphant_Song_Gaminglogo_square.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300px-JinAirLogo.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
어윤수
soO
조성호
Tra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300px-JinAirLogo.png
1차 예선 통과
조중혁
Dream
강민수
Solar
박한솔
Zo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900px-Brave_Star_Gaming.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Triumphant_Song_Gaminglogo_square.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영서
TaeJa
박수호
DRG
원이삭
Parti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Team Liquid 로고 2023 블루.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Dragon_Phoenix_Gaming_std.png
박진혁
Armani
김유진
sO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300px-JinAirLogo.png

1차 한국 서버 예선 통과자 명단
파일:Picon.png 김대엽
Stats
파일:Ticon.png 전태양
TY
파일:Zicon.png 강민수
Sola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Triumphant_Song_Gaminglogo_square.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Triumphant_Song_Gaminglogo_square.png


2.1.2. 2차 예선[편집]


2차 한국 서버 최종 예선 명단
파일:Ticon.png파일:Zicon.png파일:Picon.png
초청
리페이난
TIME
이병렬
Rogue
백동준
Dear
파일:중국 국기.svg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Newbee_Logo150.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300px-JinAirLogo.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Newbee_Logo150.png
신희범
RagnaroK
남기웅
Hurrican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900px-Chivo_logo.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900px-Brave_Star_Gaming.png
어윤수
soO
원이삭
Parti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Dragon_Phoenix_Gaming_std.png
조성호
Tra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300px-JinAirLogo.png
1차 예선 통과
이재선
Bunny
박진혁
Armani
맥스 엔젤
Astre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KaiZi_Gaming_2019_logo_std.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파일:미국 국기.svg파일:Alpha_X_logo_std.png
이신형
INnoVation
박수호
DRG
김유진
sO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KaiZi_Gaming_2019_logo_std.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300px-JinAirLogo.png
후안 로페즈
SpeCial
김준혁
Impact
파일:멕시코 국기.svg파일:900px-Chivo_logo.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Team_LP_logo.png

2차 한국 서버 예선 통과자 명단
파일:Zicon.png 이병렬
Rogue
파일:Picon.png 원이삭
Parti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300px-JinAirLogo.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Dragon_Phoenix_Gaming_std.png


2.2. 유럽 서버 예선[편집]



유럽 서버 예선 통과자 명단
파일:Zicon.png 요나 소탈라
Serral
파일:Zicon.png
미코와이 오고노프스키
Elazer
파일:Ticon.png 김도욱
Cure
파일:핀란드 국기.svg파일:ence.png파일:폴란드 국기.svg파일:X-kom_AGO_std.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Dragon_Phoenix_Gaming_std.png


2.3. 북미 서버 예선[편집]



북미 서버 예선 통과자 명단
파일:Zicon.png 리카르도 로미티
Reynor
파일:Ticon.png 조성주
Maru
파일:Picon.png 주성욱
Zest
파일:이탈리아 국기.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300px-JinAirLogo.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 오프라인 예선(76강)[편집]


A조 진출자
파일:Picon.png 조지현
Patience
파일:Picon.png 김유진
sOs
파일:Picon.png 토비아스 시버
ShoWTim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Team_LP_logo.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300px-JinAirLogo.png파일:독일 국기.svg파일:300px-Berlin_International_Gaminglogo_square.png

B조 진출자
파일:Zicon.png 박진혁
Armani
파일:Ticon.png 이신형
INnoVation
파일:Picon.png 커유펑
Ha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KaiZi_Gaming_2019_logo_std.png파일:대만 국기.svg파일:J_Team_lightmode.png

C조 진출자
파일:Zicon.png 어윤수
soO
파일:Ticon.png 후안 로페즈
SpeCial
파일:Picon.png 남기웅
Hurrican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파일:멕시코 국기.svg파일:900px-Chivo_logo.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900px-Brave_Star_Gaming.png

D조 진출자
파일:Zicon.png 율리안 브로지히
Lambo
파일:Picon.png 백동준
Dear
파일:Picon.png 조성호
Trap
파일:독일 국기.svg파일:Team_QLASHlogo_std_sliced.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KaiZi_Gaming_2019_logo_std.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300px-JinAirLogo.png


4. 24강 그룹 스테이지[편집]


24강 진출자 명단
2019 WCS Global Finals 우승자1차 대한민국 서버 예선 진출자
파일:Zicon.png 박령우
Dark
파일:Picon.png 김대엽
Stats
파일:Ticon.png 전태양
TY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Dragon_Phoenix_Gaming_std.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Triumphant_Song_Gaminglogo_square.png
1차 대한민국 서버 예선 진출자2차 대한민국 서버 예선 진출자
파일:Zicon.png 강민수
Solar
파일:Zicon.png 이병렬
Rogue
파일:Picon.png 원이삭
Parti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Triumphant_Song_Gaminglogo_square.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300px-JinAirLogo.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Dragon_Phoenix_Gaming_std.png
유럽 서버 예선 진출자
파일:Zicon.png 요나 소탈라
Serral
파일:Zicon.png 미코와이 오고노프스키
Elazer
파일:Ticon.png 김도욱
Cure
파일:핀란드 국기.svg파일:ence.png파일:폴란드 국기.svg파일:X-kom_AGO_std.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Dragon_Phoenix_Gaming_std.png
북미 서버 예선 진출자
파일:Zicon.png 리카르도 로미티
Reynor
파일:Ticon.png 조성주
Maru
파일:Picon.png 주성욱
Zest
파일:이탈리아 국기.svg파일:Team_QLASHlogo_std_sliced.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300px-JinAirLogo.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600px-Raise_Your_Edge.png
오프라인 예선 A조 진출자
파일:Picon.png 조지현
Patience
파일:Picon.png 김유진
sOs
파일:Picon.png 토비아스 시버
ShoWTim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Team_LP_logo.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300px-JinAirLogo.png파일:독일 국기.svg파일:300px-Berlin_International_Gaminglogo_square.png
오프라인 예선 B조 진출자
파일:Zicon.png 박진혁
Armani
파일:Ticon.png 이신형
INnoVation
파일:Picon.png 커유펑
Ha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KaiZi_Gaming_2019_logo_std.png파일:대만 국기.svg파일:J_Team_lightmode.png
오프라인 예선 C조 진출자
파일:Zicon.png 어윤수
soO
파일:Ticon.png 후안 로페즈
SpeCial
파일:Picon.png 남기웅
Hurrican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파일:멕시코 국기.svg파일:900px-Chivo_logo.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900px-Brave_Star_Gaming.png
오프라인 예선 D조 진출자
파일:Zicon.png 율리안 브로지히
Lambo
파일:Picon.png 백동준
Dear
파일:Picon.png 조성호
Trap
파일:독일 국기.svg파일:Team_QLASHlogo_std_sliced.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KaiZi_Gaming_2019_logo_std.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300px-JinAirLogo.png


4.1. A조[편집]


A조
2월 27일 19:45 KST
순위선수득실차
1위파일:Picon.png백동준
Dear
41+6
2위파일:Zicon.png박령우
Dark
41+5
3위파일:Picon.png김대엽
Stats
320
4위파일:Ticon.png후안 로페즈
SpeCial
23-1
5위파일:Picon.png원이삭
PartinG
23-2
6위파일:Picon.png커유펑
Has
05-8
[ 세부 결과 보기 ]
선수선수
파일:Picon.png 커유펑02파일:Picon.png 백동준
파일:Zicon.png 박령우02파일:Picon.png 원이삭
파일:Picon.png 김대엽21파일:Ticon.png 후안 로페즈
파일:Ticon.png 후안 로페즈20파일:Picon.png 원이삭
파일:Zicon.png 박령우20파일:Picon.png 백동준
파일:Picon.png 커유펑12파일:Picon.png 김대엽
파일:Picon.png 원이삭21파일:Picon.png 커유펑
파일:Zicon.png 박령우20파일:Ticon.png 후안 로페즈
파일:Picon.png 백동준20파일:Picon.png 김대엽
파일:Picon.png 김대엽21파일:Picon.png 원이삭
파일:Picon.png 백동준20파일:Ticon.png 후안 로페즈
파일:Zicon.png 박령우20파일:Picon.png 커유펑
파일:Ticon.png 후안 로페즈20파일:Picon.png 커유펑
파일:Picon.png 원이삭02파일:Picon.png 백동준
파일:Zicon.png 박령우21파일:Picon.png 김대엽


4.2. B조[편집]


B조
2월 28일 01:15 KST
순위선수득실차
1위파일:Zicon.png이병렬
Rogue
41+7
2위파일:Picon.png주성욱
Zest
41+5
3위파일:Picon.png토비아스 시버
ShoWTimE
32+1
4위파일:Zicon.png리카르도 로미티
Reynor
23-1
5위파일:Zicon.png어윤수
soO
14-5
6위파일:Zicon.png박진혁
Armani
14-7
[ 세부 결과 보기 ]
선수선수
파일:Zicon.png 이병렬12파일:Picon.png 주성욱
파일:Zicon.png 리카르도 로미티20파일:Picon.png 토비아스 시버
파일:Zicon.png 박진혁21파일:Zicon.png 어윤수
파일:Zicon.png 어윤수02파일:Picon.png 주성욱
파일:Zicon.png 리카르도 로미티20파일:Zicon.png 박진혁
파일:Picon.png 토비아스 시버02파일:Zicon.png 이병렬
파일:Zicon.png 리카르도 로미티12파일:Picon.png 주성욱
파일:Picon.png 토비아스 시버20파일:Zicon.png 박진혁
파일:Zicon.png 이병렬20파일:Zicon.png 어윤수
파일:Picon.png 주성욱12파일:Picon.png 토비아스 시버
파일:Zicon.png 리카르도 로미티02파일:Zicon.png 어윤수
파일:Zicon.png 박진혁02파일:Zicon.png 이병렬
파일:Zicon.png 리카르도 로미티02파일:Zicon.png 이병렬
파일:Picon.png 주성욱20파일:Zicon.png 박진혁
파일:Zicon.png 어윤수02파일:Picon.png 토비아스 시버


4.3. C조[편집]


C조
2월 28일 19:45 KST
순위선수득실차
1위파일:Ticon.png조성주
Maru
41+5
2위파일:Ticon.png이신형
INnoVation
32+2
3위파일:Zicon.png강민수
Solar
32+1
4위파일:Picon.png조성호
Trap
230
5위파일:Zicon.png미코와이 오고노프스키
Elazer
23-1
6위파일:Picon.png조지현
Patience
14-7
[ 세부 결과 보기 ]
선수선수
파일:Zicon.png 미코와이 오고노프스키12파일:Zicon.png 강민수
파일:Ticon.png 조성주02파일:Picon.png 조성호
파일:Picon.png 조지현02파일:Ticon.png 이신형
파일:Ticon.png 조성주20파일:Picon.png 조지현
파일:Ticon.png 이신형21파일:Zicon.png 강민수
파일:Picon.png 조성호02파일:Zicon.png 미코와이 오고노프스키
파일:Zicon.png 미코와이 오고노프스키02파일:Ticon.png 이신형
파일:Ticon.png 조성주20파일:Zicon.png 강민수
파일:Picon.png 조성호12파일:Picon.png 조지현
파일:Ticon.png 조성주21파일:Ticon.png 이신형
파일:Zicon.png 강민수21파일:Picon.png 조성호
파일:Picon.png 조지현02파일:Zicon.png 미코와이 오고노프스키
파일:Ticon.png 이신형02파일:Picon.png 조성호
파일:Zicon.png 강민수20파일:Picon.png 조지현
파일:Ticon.png 조성주20파일:Zicon.png 미코와이 오고노프스키



4.4. D조[편집]


D조
2월 29일 01:15 KST
순위선수득실차
1위파일:Zicon.png요나 소탈라
Serral
41+6
2위파일:Picon.png김유진
sOs
32+2
3위파일:Picon.png남기웅
Hurricane
32+1
4위파일:Ticon.png전태양
TY
32+1
5위파일:Ticon.png김도욱
Cure
23-1
6위파일:Zicon.png율리안 브로지히
Lambo
05-9
[ 세부 결과 보기 ]
선수선수
파일:Picon.png 김유진20파일:Ticon.png 전태양
파일:Ticon.png 김도욱21파일:Picon.png 남기웅
파일:Zicon.png 요나 소탈라20파일:Zicon.png 율리안 브로지히
파일:Zicon.png 율리안 브로지히02파일:Ticon.png 김도욱
파일:Zicon.png 요나 소탈라20파일:Picon.png 김유진
파일:Picon.png 남기웅02파일:Ticon.png 전태양
파일:Ticon.png 전태양20파일:Zicon.png 율리안 브로지히
파일:Picon.png 남기웅21파일:Picon.png 김유진
파일:Zicon.png 요나 소탈라20파일:Ticon.png 김도욱
파일:Zicon.png 요나 소탈라02파일:Picon.png 남기웅
파일:Picon.png 김유진20파일:Zicon.png 율리안 브로지히
파일:Ticon.png 전태양21파일:Ticon.png 김도욱
파일:Zicon.png 요나 소탈라20파일:Ticon.png 전태양
파일:Zicon.png 율리안 브로지히12파일:Picon.png 남기웅
파일:Ticon.png 김도욱12파일:Picon.png 김유진


5. 12강[편집]


12강 1경기
2월 29일 20:00 KST
선수선수
파일:Picon.png 토비아스 시버
ShoWTimE
파일:Ticon.png 이신형
INnoVation
[ 결과 보기 · 닫기 ]
토비아스 시버
ShoWTimE
이신형
INnoVation
1세트
이페머론
2세트
이터널 엠파이어
3세트
시뮬레이크럼
4세트
나이트셰이드
5세트
트라이튼
0세트 스코어3

12강 2경기
2월 29일 21:30 KST
선수선수
파일:Picon.png 주성욱
Zest
파일:Picon.png 남기웅
Hurricane
[ 결과 보기 · 닫기 ]
주성욱
Zest
남기웅
Hurricane
1세트
나이트셰이드
2세트
이페머론
3세트
월드 오브 슬리퍼스
-4세트
트라이튼
-
-5세트
-
3세트 스코어0

12강 3경기
2월 29일 23:00 KST
선수선수
파일:Zicon.png 강민수
Solar
파일:Zicon.png 박령우
Dark
[ 결과 보기 · 닫기 ]
강민수
Solar
박령우
Dark
1세트
트라이튼
2세트
3세트
나이트셰이드
4세트
시뮬레이크럼
5세트 월드 오브 슬리퍼스
1세트 스코어3

12강 4경기
3월 1일 00:30 KST
선수선수
파일:Picon.png 김유진
sOs
파일:Picon.png 김대엽
Stats
[ 결과 보기 · 닫기 ]
김유진
sOs
김대엽
Stats
1세트
이페머론
2세트
3세트
시뮬레이크럼
4세트
트라이튼
5세트
나이트셰이드
3세트 스코어2


6. 8강[편집]


8강 1경기
3월 1일 02:00 KST
선수선수
파일:Zicon.png 요나 소탈라
Serral
파일:Ticon.png 이신형
INnoVation
[ 결과 보기 · 닫기 ]
요나 소탈라
Serral
이신형
INnoVation
1세트
이페머론
2세트
이터널 엠파이어
3세트
시뮬레이크럼
4세트
나이트셰이드
5세트
트라이튼
3세트 스코어1

8강 2경기
3월 1일 03:30 KST
선수선수
파일:Picon.png 백동준
Dear
파일:Picon.png 주성욱
Zest
[ 결과 보기 · 닫기 ]
백동준
Dear
주성욱
Zest
1세트
트라이튼
2세트
나이트셰이드
3세트
월드 오브 슬리퍼스
4세트
이페머론
5세트
시뮬레이크럼
1세트 스코어3

8강 3경기
3월 1일 05:00 KST
선수선수
파일:Zicon.png 이병렬
Rogue
파일:Zicon.png 박령우
Dark
[ 결과 보기 · 닫기 ]
이병렬
Rouge
박령우
Dark
1세트
이터널 엠파이어
2세트
3세트
트라이튼
4세트
나이트셰이드
5세트
월드 오브 슬리퍼스
3세트 스코어0

8강 4경기
3월 1일 06:30 KST
선수선수
파일:Ticon.png 조성주
Maru
파일:Picon.png 김유진
sOs
[ 결과 보기 · 닫기 ]
조성주
Maru
김유진
sOs
1세트
이페머론
2세트
이터널 엠파이어
3세트
나이트셰이드
4세트
시뮬레이크럼
5세트
트라이튼
3세트 스코어1


7. 4강[편집]


4강 1경기
3월 1일 19:00 KST
선수선수
파일:Zicon.png 요나 소탈라
Serral
파일:Picon.png 주성욱
Zest
[ 결과 보기 · 닫기 ]
요나 소탈라
Serral
주성욱
Zest
1세트
월드 오브 슬리퍼스
2세트
나이트셰이드
3세트
트라이튼
4세트
이페머론
5세트
2세트 스코어3

주성욱이 자신의 천적인 세랄을 상대로 사도 중심 판짜기에 성공하며 결승에 진출했다. 1~3세트 연속 공명사도를 사용한 주성욱이 암흑기사를 쓸 거라고 판단하여 바퀴를 뽑지 않은 세랄이 4세트 공명사도에 멘탈이 털려버렸다. 이어지는 5세트에 집정관, 돌진광전사 러쉬를 막지 못하며 이번에도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세랄은 블리즈컨, IEM, WESG같은 억단위 대회 상위권에는 꾸준히 이름을 올리고 있으나 2018 블리즈컨을 제외하면 한끗 차이로 우승을 놓치고 있는 아쉬운 모습인 반면 주성욱은 자신을 상대로 세트스코어 12대1 극상성의 세랄을 극복해내면서 5년만에 IEM카토비체 결승에 진출했다.


4강 2경기
3월 1일 20:30 KST
선수선수
파일:Zicon.png 이병렬
Rogue
파일:Ticon.png 조성주
Maru
[ 결과 보기 · 닫기 ]
이병렬
Rogue
조성주
Maru
1세트
나이트셰이드
2세트
이터널 엠파이어
3세트
이페머론
4세트
5세트
트라이튼
3세트 스코어2

2년 전 당시 4강과 매우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조성주의 화염차와 바이오닉에 밀려 세트스코어가 벼랑끝까지 몰린 이병렬이었으나 4세트 지옥불 화염차를 4진화장과 다수의 여왕으로 기적적으로 막으며 바퀴와 궤멸충으로 승리를 가져왔고, 마지막 세트에서도 침착하게 뮤탈, 저글링 돌리기를 성공시키며 조성주의 한타를 강요했다. 이병렬을 상대로 제대로 판짜기를 준비한 조성주였으나 2년 전과 마찬가지로 문앞에서 결승 진출을 놓치고야 말았다.


8. 결승전[편집]



파일:2020 카토비체 결승.jpg

결승전
3월 1일 22:15 KST
선수선수
파일:Picon.png 주성욱
Zest
파일:Zicon.png 이병렬
Rogue
[ 결과 보기 · 닫기 ]
주성욱
Zest
이병렬
Rogue
1세트
이페머론
2세트
시뮬레이크럼
3세트
나이트셰이드
4세트
월드 오브 슬리퍼스
5세트
6세트
이터널 엠파이어
7세트
트라이튼
1세트 스코어4

2015년 우승자 주성욱과 2018년 우승자 이병렬의 최초 2회 우승을 놓고 펼쳐진 결승전. 하지만 풀세트까지 간 치열했던 4강 경기 이후 일어난 건 역대급으로 처참한 결승전이었다. 현재 저프전의 문제들이 곯아터진 경기라 볼 수 있으며, 밸런스도 문제지만 양상 또한 산으로 가고 있다는 걸 단적으로 증명한 결승전. 10분을 넘긴 경기는 4세트 뿐이었으며 2, 3세트는 5분도 넘기지 못했다. 모든 경기가 초중반 올인에 치중되는 막장 양상에다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무관중 경기까지 겹쳐 상당히 처참한 결승전이 되었다.


9. 결과[편집]


순위상금EPT 포인트선수
우승$150,0001,200이병렬
Rogue
+$800
준우승$65,000840주성욱
Zest
+$800
3-4위$25,000600요나 소탈라
Serral
+$800
조성주
Maru
+$800
5-8위$10,000420이신형
INnoVation
+$600
백동준
Dear
+$800
박령우
Dark
+$800
김유진
sOs
+$600
9-12위$5,000300토비아스 시버
ShoWTimE
+$600
남기웅
Hurricane
+$600
강민수
Solar
+$600
김대엽
Stats
+$600
13-16위$3,000192후안 로페즈
SpeCial
+$400
리카르도 로미티
Reynor
+$400
조성호
Trap
+$400
전태양
TY
+$600
17-20위$2,500144원이삭
PartinG
+$400
어윤수
soO
+$200
미코와이 오고노프스키
Elazer
+$400
김도욱
Cure
+$400
21-24위$2,000120커유펑
Has
박진혁
Armani
+$200
조지현
Patience
+$200
율리안 브로지히
Lambo


10. 기타[편집]


  • 신희범이 오프라인 예선에서 마크 쉬라피(uThermal)와의 경기 도중 퍼즈가 걸렸을 때 얼마 지나지 않아 트위치에 접속하는 모습이 잡혔고, 이로 인해 벌점 2점[2]과 벌금 250달러[3]의 페널티를 받게 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7 23:34:06에 나무위키 IEM Season XIV - Katowice/스타크래프트 2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단 첫 월드 챔피언십 대회는 2011년에 열렸다.[2] ESL 규정에 따르면 벌점 누적시 출전금지 등의 규제가 가해지는데, 이는 누적 4점부터 1주 출전금지로 적용되기에 벌점이 유지되는 두달만 조심하면 2점은 당장 큰 문제가 되진 않는다.[3] 250달러는 다른 선수들에게 추가상금으로 지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