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KLM(회사)

덤프버전 :



케이엘엠컴퍼니
KLM
대표김지수, 이성우
분류주식회사
홈페이지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MIB19[1](2018~)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KLM(2020~)
SN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페이스북(2021~)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인스타그램(2021~)

1. 개요
2. 연혁
3. 협업 채널
4. 검열에 대한 평가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OTT연예 기획사.[2]


2. 연혁[편집]


  • 2018년 6월 8일, MIB19 홈페이지에서 스트리밍 서비스를 시작했다.[3]
  • 2020년 7월 10일, KLM(케이엘엠컴퍼니) 법인이 창업하였다.
  • 2022년 2월 28일, 배우 수연이 보다 유튜브에 출연했다. MIB를 소개하며 "한국 성인물의 바람직한 양지화를 목표", 검열 기준에 대해선 "중요부위도 모자이크하면 가능, 1:다는 안 되며, 가짜 X액 사용" 등을 말했다. #
  • 2022년 10월 8~9일, 서울 강남구 잠원한강공원 선상식당인 어스크루즈에서[4] 'MIB 블랙 파티'를 개최했다. 양선일, 송영길, 찬우박, 엄그린[5], AV여배우(한국 6명, 일본 2명 - 마츠모토 이치카, 모모나가 사리나가)가 참여했다. 여배우와 사진촬영, 이벤트 게임, 디제잉, 애장품 경매, 1 vs 100 술래잡기[6] 등의 이벤트들이 진행되었으며, 뉴욕에서 개최된 'Azuki Garden Party'를 다수 참고했다고 밝혔다. #1
  • 2023년 3월 2일, NFT를 판매하며, 구매자는 '남배우 면접 기회'가 주어진다고 밝혔다. #
  • 2023년 3월 29일, 배우 채아와 장원수 감독이 보다 유튜브에 출연했다. 일본 AV배우들도 와서 촬영한다는 점, 일본에서 다양한 촬영기술이 전수되어 이제 기술적 차이가 없는점, 배우의 선발과정, 촬영과정, 출연료, 허용되는 검열범위, 향후 목표 등을 인터뷰했다. #
  • 2023년 5월 13일, 성년의 날을 맞아 홍대와 강남 일대에서 성인들에게 성년의 날 받고 싶은 선물에 대한 설문 후 부부와 연인들을 위한 리블리 기프트를 증정했다. #
  • 2023년 9월 8일, 일본 슈에이샤가 이성우 대표를 취재했다. #1, #2
  • 2023년 12월 10일, 플레이조커 측이 개최한 KXF 1회 행사에 참여했다.
  • 2024년 3월 26일, 넷플릭스 다큐드라마 살색의 감독 무라니시에 이성우 대표가 출연해 일본의 AV거장 무라니시 토오루 감독과 대담을 진행하는 장면이 나왔다. 일본 ABEMA 기자가 질의응답을 진행했다. 한국 일요신문, 이화여대 플레이뉴스


3. 협업 채널[편집]




4. 검열에 대한 평가[편집]


2018~2020년 시점 이전까지 한국의 온갖 가리기와 발연기? 의 막고라였던 에로 영화들에 비하면 확실히 리얼해졌다. 일본의 AV(영상물)들과 비교하면 한숨이 나올 정도지만, 그래도 "도대체 어떻게 통과됐지?"라는 생각이 불러 일으킬 정도로 모자이크가 아주 연한 레전드 작품도 중간중간 있다. 영상 자체에 아마추어 느낌이 너무 짙다보니 호불호가 있는 편이지만 어느정도는 아마추어 컨셉이 맞는 거 같기도 하다. 리얼관과 기획관이 나눠져 있는 걸 보니 조만간 일본 AV같은 기획물을 충분히 기대해봄직 하다. 현재 기획관에는 일본 AV 업계와 콜라보를 진행한 하마사키 마오와 수아의 레즈 기획물이 업로드되어 있다.

2021년 9월~12월 영상물등급위원회가 계속 제한상영가 조치를 하여 신규 영상 업로드가 장기간 지연되었다.[7] 공지사항을 보면 계속해서 소통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것 같은데 아무래도 애를 먹는 거 같다. 어떠한 사유에서인지는 몰라도 갑자기 규제가 심해지자 사이트 이용자들의 불만이 빗발쳤다. 2021년 MIB가 신청한 영상물들이 영등위 제한관람가 영상물 대다수를 차지하기도 했다. "성적 행위랑 선정적 대사들이 과도하고, 일부는 실제 성행위의 존재가 강하게 의심된다"는 게 사유이다. 등급 분류의 기준이나 가이드라인이 문서로 정리되거나 정해져 있는 것이 없을 뿐더러 안그래도 통일성이 없는 심의 때문에 늘 구설수에 오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직접 심사를 진행하는 위원회의 임기가 고작 1년 뿐이라 매년 위원회가 교체되다보니 규제 강도가 더욱 들쑥날쑥이 되어버린다. 그외 사회적 이슈나 분위기 등 외적인 요인들도 함께 작용하다보니 규제 통일성을 기대하기란 더더욱 하늘의 별따기.

2022년부터 영상물등급위원회에서 영상 통과가 잘 되는 듯 MIB사이트 내 신규 영상이 활발하게 업로드 되었다. 아마도 성인 문화의 성장을 막는다는 게 원론적인 해결방법이 아니라고 생각을 바꾼 듯 하다. 하지만, 아직도 모자이크가 일본을 따라가기에는 무리인 상황.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03 15:47:04에 나무위키 KLM(회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MIB는 MASK IN BLACK의 약어로, 출연하는 남배우들이 모두 검은 마스크를 쓰는 컨셉에서 따온 네이밍으로 추측된다.[2] 플레이조커도 이러하다.[3] 당연히 모든 영상은 영상물등급위원회를 통해 적법한 절차를 밟고 있다.[4] 오세훈 서울시장이 본 행사는 허용하고, 플레이조커가 '동일한 내용의 행사'를 신청했음에도 반려해서 이중잣대 논란이 생겼다.[5] 강남 비키니 오토바이 커플 도로 질주 사건을 진행한 여성DJ.[6] 우에하라 아이의 대표적인 AV로, 100명의 남성이 쫓아오는 표지가 유명하다. 해당 술래잡기 이벤트 영상[7] 이 당시 영등위 위원장은 2021년 3월 임명된 채윤희 사단법인 '여성영화인모임' 회장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