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Mt. Everest Climbing Roleplay

덤프버전 :


Mt. Everest Climbing Roleplay
파일:에베레스트 클라이밍.webp
개발Everest Games Holding
개발 완료일2019. 5. 4.
서버 크기50명
장르모험
사용 가능 장비없음
한국어 지원미지원[1]
플레이 가능한 기기?
체험 링크파일:Roblox 플레이 단추.svg
소셜 링크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파일:FANDOM 아이콘.svg
1. 개요
2. 등산 방법
2.1. 베이스캠프~캠프 1
2.2. 캠프 1~캠프 2
2.3. 캠프 2~캠프 3
2.4. 캠프 3~캠프 4
2.5. 캠프 4~정상
3. RB BATTLES



1. 개요[편집]


Roblox의 등산 롤플레잉 게임이다.
에베레스트 산을 끝까지 올라가는 것이 목적이다.

2. 등산 방법[편집]


점프가 안 된다는 것이 특징이며, 등산을 도와주는 요소로 사다리, 후크 로프가 있다. 사다리는 여타 게임에서 본 것처럼 w키를 누르면 위로 이동하는 것으로 탈 수 있으며, 후크 로프는 조작법이 조금 까다로운데, w키를 누르면 위(앞)으로 가며, a키와 d키가 각각 오른쪽, 왼쪽으로 가고, s키는 아래(뒤)로 간다. 조작할 때 3차원 입체라 생각하지 말고 2차원 평면이라 생각하자. 조금은 쉬워질 것이다.

또, 플레이어는 체력, 수분, 산소라는 세 개의 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체력이 다 닳으면 게임이 끝난다. 어디에서 죽었든 고도 0m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2] 또, 수분이 다 닳으면 대신 체력이 깎이기 시작한다. 물 펌프에서 물을 뜨기만 해도 자동으로 꽉 차니 꼭 하도록 하자.[3] 마지막으로, 산소가 다 닳으면 똑같이 체력이 대신 닳으며, 눈 앞이 흐려진다. 산소통을 켜 놓으면 계속 닳으며, 산소통을 끄면 닳지 않지만 1600m 이상 진행이 불가능해진다[4][5] 1600m까지는 산소통을 끄고 그 뒤부터 켠 상태로 진행하도록 하자.

최대치는 체력, 수분, 산소 셋 다 100이다.

2.1. 베이스캠프~캠프 1[편집]


튜토리얼이라 생각하자. 비교적 평탄한 길이 계속되며, 중간에 사다리가 많이 놓여 있다. 그 사다리만 따라가도 안전하게 할 수 있으니 사다리를 잘 따라가자. 그 뒤엔 오르막이 나오는데, 표지판에 "PATH TO CAMP 1"(캠프 1 가는 길)이라고 친절하게 쓰여있다. 그 표지판만 계속 따라가면 캠프 1에 도착한 자신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캠프 1의 고도는 975m이다.

2.2. 캠프 1~캠프 2[편집]


처음엔 캠프 1 전이랑 비슷한 길이 나오다가, 사다리를 2개쯤 거치면 난이도가 급상승한다! 게임에 익숙하지 않은 초심자들은 이곳에서 죽을 수도 있을 것이다. 거대한 동굴(?) 이 있고, 그 사이 봉우리들을 사다리로 건너는 방식인데, 사다리가 가로로 배치되어 있다. 그 다음 왼쪽에 있는 오르막을 따라가면 비교적 어렵지 않은 사다리 2개를 볼 수 있다. 그러나, 사다리를 바꿔 타는 구간이 좁아 떨어질 수 있으니 주의를 요한다. 그 뒤 왼쪽에 있는 오르막길을 한번 더 건너면[6] 아주 긴 사다리 2개를 건너야 한다. 별로 어렵지 않으니 침착하게 건너도록 하자. 그 후 내리막길을 건너면 그 다음 사다리를 건너기 전에 왼쪽을 보자. 캠프파이어가 있지 않은가? 체력이 부족하다면 여기서 회복하고 가길 추천한다. 사다리가 있으니 내려가고 올라오는 것도 문제 없다.

그 뒤 사다리는 흔들리는 사다리이다. 빨리 가면 떨어질 가능성이 높으니 천천히 가자. 3번째, 4번째 흔들리는 사다리가 어려운 편이니 차분히 가도록 하자. 그 다음 앞으로 가면 처음 건넜던 것과 비슷한 사다리가 나온다. 여기선 중간에 비틀어진 방향이 바뀌니 더 조심히 가자. 그 다음 사다리에서는 중간에 사다리를 바꿔타야 하는 부분이 나오는데, w키를 꾹 누르지 말고 톡톡 누르면서 서두르지 말고 가라. 다 건너면 오른쪽으로 가다가 왼쪽에 Warning: Steep Cave 표지판이 보이면 그 쪽으로 올라가라. 동굴을 다 올라왔다면 오른쪽에 사다리가 있으니 건너자. 다 건넜다면 검은색 돌로 된 길을 따라가자. 고도가 1570m가 되면 산소를 켜라고 경고가 뜰 텐데, 이 때 사다리가 보여야 한다. 산소는 1590m 즈음에 켜도록 하자. 보이는 사다리 2개를 건너면 처음에 봤던 것과 비슷한 패턴이 등장한다. 다른 방법은 없다. 사다리를 따라 건너도록 하자. 다 건너면 두갈래길이 등장하는데, 왼쪽으로 가자. 쭉 가면 또 다시 사다리가 보이고, 그 사다리를 다 건널 즈음에 캠프 2가 보인다. 만세를 외치기 전에 사다리부터 다 건너자. 방심하다 죽을 수 있다. 어쨌든 이렇게 우여곡절 끝에 캠프 2에 도착한 자신을 보자.

캠프 2의 고도는 1850m이다. 캠프 1보다 875m 더 위에 있다.

캠프 3, 4에는 체력 채우는 곳이 없으므로, 무조건 캠프 2에서 체력을 100으로 채우고 출발하자.

2.3. 캠프 2~캠프 3[편집]



2.4. 캠프 3~캠프 4[편집]



2.5. 캠프 4~정상[편집]



3. RB BATTLES[편집]


RB BATTLES에 우승자의 날개 12번째 게임으로 3번캠프인 5200M까지 가면 배지를 얻을수있다
경품은 미공개 상태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31 06:38:01에 나무위키 Mt. Everest Climbing Roleplay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간혹가다 한글이 있다. 하지만 번역 상태로 보아...[2] 체력이 닳는 요인으로는 낙하, 산소 및 수분 부족 등이 있다.[3] 수분은 자동으로 닳는다.[4] 1500m쯤 진입하면 산소통을 켜라는 경고가 등장하고, 1600m 이상에서 켜지 않으면 산소가 0이 되었을 때와 똑같이 눈 앞이 흐려지고 체력이 깎인다.[5] 예전에는 2400m였다.[6] 중간에 있는 갈림길에서 돌로 된 부분(오른쪽) 으로 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