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Novation Launchpad/영상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Novation Launchpad



1. Kaskobi[편집]



Ed Sheeran - Shape Of You (Ellis Remix)


Für Elise


Camila Cabello - Havana (Dim Wilder Remix)


KAZOO KID


The Chainsmokers - PARIS (Beau Collins Remix)


2. SoNevable[편집]



Skrillex - First of the Year


Tetris Hero 98% Expert


Zedd - Spectrum (Ft. KDrew Remix)
원곡을 듣던 사람들에게는 이질감이 느껴질 수도 있다.


Avicii - Wake Me Up


Zedd - I Want You To Know (Ft. Selena Gomez)


3. M4SONIC[편집]




Weapon


Virus


SKRILLEX Freestyle


4. Teqqnix[편집]



Alan Walker - Spectre


The Chainsmokers & Coldplay - Something Just Like This (Beau Collins Remix)


The Chainsmokers - Closer


Luis Fonsi, Daddy Yankee - Despacito (Marnage Remix)


Clean Bandit - Symphony (Robin Hustin Remix)


5. Pro Launchpadder[편집]



K-391 - Summertime


Galantis - No Money


Alan Walker - Alone


Alan Walker - Sing Me To Sleep (Instrumental)


K-391 & Alan Walker - Ignite


6. TAK[편집]



K-Pop Culture 2013
한국에 런치패드가 알려지는 데에 결정적인 공헌을 한 영상.

당시엔 한국에서 런치패드란 작곡가들에게도 상당히 생소한 기기였는데, 평소 런치패드나 립모션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매쉬업 곡을 만들어 올리던 작곡가 TAK이 올린 영상. 작곡가 본인이 유명하지 않았기에 곡이 올라왔을 당시에는 빛을 보지 못했으나 페이스북을 통해 해당 영상이 빠른 속도로 퍼지며 인기를 끌게 되고 포털사이트 및 TV 매체에서까지 해당 영상을 소개하며 많은 사람들에게 런치패드라는 기기의 존재를 각인시켰다.[1]


K-Pop Culture 2015
K-Pop Culture의 2015년도 버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1 01:15:41에 나무위키 Novation Launchpad/영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후에도 해당 작곡가는 쭉 런치패드를 애용하면서 Novation 공식 엔도서로 선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