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TV쇼 진품명품-출장감정/방영 목록/2000~2005년

덤프버전 :





1. 2001년[편집]


방영일회차감정 지역감정위원감정품연대최종감정가
2월 11일303회경기도
광명시
년대만원
년대만원
년대만원
2월 18일304회경상북도
경주시[1]
년대만원
년대만원
년대만원


2. 2002년[편집]


방영일회차감정 지역감정위원감정품연대최종감정가쇼감정단
1월 6일348회서울특별시
양천구
년대만원양택조
이매리
최호진
년대만원
년대만원
1월 13일349회서울특별시
양천구
년대만원김한국
김보화
황귀홍
년대만원
년대만원
1월 20일350회서울특별시
송파구 [2]
년대만원백남봉
방실이
심양홍
년대만원
년대만원
1월 27일351회경기도
수원시 [3]
년대만원김학래
장미화
주수원
년대만원
년대만원
2월 3일352회경기도
김포시[4]
년대만원윤문식
홍소연
박용식
년대만원
년대만원
3월 17일356회충청북도
청주시 [5]
년대만원김병조
문희옥
조영구
년대만원
년대만원
3월 24일357회인천광역시
[6]
년대만원김창남
이연경
김하균
년대만원
년대만원
3월 31일358회서울특별시
영등포구 [7]
년대만원강철수
한서경
고영수
년대만원
년대만원
4월 7일359회경기도
과천시 [8]
년대만원서수남
변우영
이청
년대만원
년대만원
4월 14일360회서울특별시
구로구 [9]
년대만원이영후
사미자
함익병
년대만원
년대만원
4월 21일361회전라북도
김제시 [10]
년대만원조경철
한우경
김학래
년대만원
년대만원
5월 5일362회경상북도
문경시 [11]
양의숙서안 [12] [13]약 100년 전120만원이정섭
장정희[14]
마이클
이상문백자 기름병의 2점 [15]350년 전[16]
100년 전[17]
50만원
김선원이승오의 글씨년대100만원
5월 12일363회경상남도
진주시 [18]
양의숙년대만원김학철
여운계
최석준
이상문년대만원
양의숙백동화로약 200년 전250만원
김선원년대만원
이상문향합과 유병년대500만원
김선원탐라지1693년
약 400년 전 [19]
80만원
5월 26일364회경기도
안산시[20]
양의숙년대만원황수관
강수지
박승대
진동만심산 노수현의 작품 [21]년대900만원
이상문[22][23]년대만원
양의숙등잔대[24]약 120년 전80만원
이상문백자병[25]약 600년 전600만원
7월 28일372회
년대만원조상현
사미자
김흥국
년대만원
년대만원
9월 29일381회
년대만원한무
장미화
김성호
년대만원
년대만원


3. 2003년[편집]


방영일회차감정 지역감정위원감정품연대최종감정가
9월 21일430회대구광역시
남구[26]
이상문고려백자병[27]년대700만원
김선원해공 신익회의 글씨[28][29][30]년대60만원
양의숙혼례복 3점 세트
(조루리, 관모, 신발)[31]
년대300만원
진동만고암 이응로의 산수화[32][33][34]년대500만원
이상문청자 수반
분첩 발
약 300년 전100만원[35]
300만원[36]


4. 2004년[편집]


방영일회차감정 지역감정위원감정품연대최종감정가


5. 2005년[편집]


방영일회차감정 지역감정위원감정품연대최종감정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4 02:42:19에 나무위키 TV쇼 진품명품-출장감정/방영 목록/2000~2005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석걸 씨 댁에서 촬영[2] 송파구민회관에서 촬영[3] 수원시민회관에서 촬영[4] 김포시민회관에서 촬영[5] 청주 한국공예관에서 촬영[6] 인천광역시청에서 촬영[7] 영등포문화예술회관[8] 과천문화원에서 촬영[9] 구로구청에서 촬영[10] 벽골제 수리민속유물전시관에서 촬영[11] 문경시청에서 촬영[12] 제사를 지낼때 사용하던 곳[13] 책상 대용으로 사용[14] 장정희가 인형1개를 이정섭한테 양보를 하여 인형 1개를 획득획다[15] 문경가마에서 제작된 도자기[16] 문경가마 : 350년 전[17] 출품된 의뢰품은 100년 전[18] 진주 촉석루에서 촬영[19] 약 400년된 교지[20] 한국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에서 촬영[21] 의뢰인은 남승환(한국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 출연함[22] 의뢰인은 허순님(여,45)은 남학생의 어머님이다.[23] 다람쥐,호랑이,메기[24] 의뢰인은 전지혜(여학생)이다.[25] 의뢰인은 최옥경(여,43) 어머니인데 (임형진)여학생이다.[26] 대명문화회관에서 촬영[27]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주둥이 모양이 특징[28] 할아버지가 소장[29] 독립운동가, 정치가[30] 글씨를 돋보이게 표구한 후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31] 신발, 왕관, 모자[32] 고암 이응로(李應鷺, 1904~1989)[33] 동양의 서예정신과 문인화, 정신을 기반으로 서양의 콜라주기법을 혼용하여 개성적 화풍 완성[34] 농담의 강약을 적절히 배분, 고암 특융의 속도감과 활달함이 도보이는 작품[35] 청자 수반[36] 분첩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