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League of Legends Circuit Oceania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최근에 진행된 시즌에 대한 내용은 LCO 2023 Split 2 문서
LCO 2023 Split 2번 문단을
LCO 2023 Split 2#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펼치기 · 접기 ]

메이저 리그
파일:LCK 로고.svg파일:LCS_text.png파일:LEC.png파일:LPL_2020.png
대한민국
LCK
북미
LCS
유럽 · 중동 · 아프리카
LEC
중국
LPL

마이너 리그
파일:CBLOL_2021.png파일:LLA 2020.png파일:PCS Square.png파일:VCS_2023_icon.png
브라질
CBLOL
라틴 아메리카
LLA
태평양 연안
PCS
베트남
VCS

합병된 지역 리그편입된 지역 리그
파일:LCO로고.png파일:LJL_2020_logo.png파일:80px-TCL_2023_lightmode.png
오세아니아
LCO
일본
LJL
튀르키예
TCL
||




파일:LCO-logofull.png
League of Legends Circuit Oceania
리그 오브 레전드 서킷 오세아니아
지역파일:태평양 공동체 기.png 오세아니아
운영 주체Electronic Sports League
컬러
약칭LCO
경기장
파일:호주 국기.svg

ESL Studios Sydney[1]
최근 우승팀The Chiefs (2023 Split 2)
최다 우승팀The Chiefs (7회)
최다 우승자Babip, Raes (6회)
파일:LCO로고.png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
2. 참가팀
3. 역대 기록
3.1. 역대 대회
3.2. 역대 우승팀 및 순위
3.3. 역대 우승자
3.4. 역대 정규시즌 MVP
3.5. 역대 LCO All-Pro Team
3.6. 역대 MSI 진출 LCO 팀
3.7. 역대 RR 진출 OPL 팀
3.8. 역대 Worlds 진출 LCO 팀
3.9. 역대 All-Star 출전 LCO 선수
4. 특징
5. 역사
5.1. OPL (2015~2020)
5.2. LCO (2021~2022)
5.3. PCS와 합병 (2023~)



1. 개요[편집]


오세아니아에서 개최하는 리그 오브 레전드의 프로 리그. 2015년 창설 때부터 2020년까지는 'Oceanic Pro League(OPL)'라는 명칭을 사용했고, 리브랜딩 이후 2021 스프링 시즌에는 'League of Legends Circuit Oceania'를 사용했다.

2021 서머 시즌에는 한시적으로 미국의 배달앱 업체 'The DoorDash'로부터 네이밍 스폰서십을 받아 'The DoorDash League of Legends Circuit Oceania'라는 리그 명칭을 사용했다.

2022 시즌에 다시 스폰서십의 변경으로 LCO라는 명칭으로 회귀했다.

2022년 11월 25일, LCO가 PCS에 통합된다. 리그 진행은 그대로이나 앞으로 LCO에서 우승하더라도 MSI, 롤드컵에 직행할 수 없으며, LCO 상위 두 팀은 PCS 플레이오프에 합류한다. 이전까지 오세아니아 지역 선수들은 LCO-LCS 두 지역의 로컬 자격이었으나, 이번 개편을 통해 PCS 로컬 선수가 된다. #

2. 참가팀[편집]


||




2.1. 참가팀 로스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League of Legends Circuit Oceania/참가팀 로스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역대 기록[편집]



3.1. 역대 대회[편집]


OPL - LCO 역대 로고
2015~20172018~20202021~
파일:800px-OPL_Logo.png파일:600px-OPL_2018.png파일:800px-LCO_Logo_Full.png
Oceanic Pro LeagueLeague of Legends Circuit Oceania
||
[ 펼치기 · 접기 ]

파일:800px-OPL_Logo.png2015
Split 1 | Split 2
2016
Split 1 | Split 2
2017
Split 1 | Split 2
파일:600px-OPL_2018.png2018
Split 1 | Split 2
2019
Split 1 | Split 2
2020
Split 1 | Split 2
파일:LCO로고.png2021
Split 1 | Split 2
2022
Split 1 | Split 2
2023
Split 1 | Split 2




3.2. 역대 우승팀 및 순위[편집]


파일:OPL_white.png Oceanic Pro League (2015~2020)
역대 대회우승준우승3위4위
2015 스플릿 1Chiefs Esports ClubDire WolvesLegacy EsportsTeam Immunity
2015 스플릿 2Chiefs Esports ClubLegacy EsportsDire WolvesAvant Garde
2016 스플릿 1Chiefs Esports ClubLegacy EsportsSin GamingDire Wolves
2016 스플릿 2Chiefs Esports ClubLegacy EsportsDire WolvesAvant Garde
2017 스플릿 1Dire WolvesLegacy EsportsSin GamingChiefs Esports Club
2017 스플릿 2Dire WolvesChiefs Esports ClubLegacy EsportsSin Gaming
2018 스플릿 1Dire WolvesChiefs Esports ClubLegacy EsportsORDER
2018 스플릿 2Dire WolvesChiefs Esports ClubLegacy EsportsORDER
2019 스플릿 1BombersORDERChiefs Esports ClubAvant Gaming
2019 스플릿 2MAMMOTHChiefs Esports ClubORDERBombers
2020 스플릿 1Legacy EsportsDire WolvesChiefs Esports ClubORDER
2020 스플릿 2Legacy EsportsORDERChiefs Esports ClubPentanet.GG
파일:LCO_white.png League of Legends Circuit Oceania (2021~)
역대 대회우승준우승3위4위
2021 스플릿 1Pentanet.GGPEACEChiefs Esports ClubDire Wolves
2021 스플릿 2PEACEPentanet.GGDire WolvesORDER
2022 스플릿 1ORDERThe ChiefsPentanet.GGPEACE
2022 스플릿 2The ChiefsPentanet.GGORDERKanga Esports
2023 스플릿 1The ChiefsTeam BlissDire WolvesPentanet.GG
2023 스플릿 2The ChiefsTeam BlissMAMMOTHVERTEX Esports Club

종합
진출우승준우승우승 연도준우승 연도
파일:The_Chiefs_eSports_Clublogo_square.png12회7회5회2015 스플릿 1, 2015 스플릿 2, 2016 스플릿 1,
2016 스플릿 2, 2022 스플릿 2, 2023 스플릿 1,
2023 스플릿 2
2017 스플릿 2, 2018 스플릿 1, 2018 스플릿 2,
2019 스플릿 2, 2022 스플릿 1
파일:Dire_Wolves.png6회4회2회2017 스플릿 1, 2017 스플릿 2, 2018 스플릿 1,
2018 스플릿 2
2015 스플릿 1, 2020 스플릿 1
파일:Kanga_Esports.png6회2회4회2020 스플릿 1, 2020 스플릿 22015 스플릿 2, 2016 스플릿 1, 2016 스플릿 2,
2017 스플릿 1
파일:Pentanet.GG Logo.png3회1회2회2021 스플릿 12021 스플릿 2, 2022 스플릿 2
파일:ORDER2022logo_profile_notext.png3회1회2회2022 스플릿 12019 스플릿 1, 2020 스플릿 2
파일:PCE_Logo_2021_Worlds.png2회1회1회2021 스플릿 22021 스플릿 1
파일:Bomberslogo_square.webp1회1회-2019 스플릿 1-
파일:2022MAMMOTH_New_Logo.png1회1회-2019 스플릿 2-
파일:Team_Bliss.png2회-2회-2023 스플릿 1, 2023 스플릿 2
[ OPL 2015~2020 시즌 별 순위 ]

파일:LCO_white.png League of Legends Circuit Oceania 시즌 별 순위
순위2021202220232024
Split 1Split 2Split 1Split 2Split 1Split 2Split 1Split 2
1PGGPCEORDCHF
2PCEPGGCHFPGGTB
3CHFDWPGGORDDWMEC
4DWORDPCEKNGPGGVTX
5ORDCHFDWMECDW
6LGCGRVKNGPCEKNGPGG
7GRVLGCMECGZ
8MMMGRVPCEKNG



3.3. 역대 우승자[편집]


파일:LCO white.pngLeague of Legends
Circuit Oceania

역대 우승 선수
||
[ 펼치기 · 접기 ]

구분시즌대회우승팀선수
Oceanic Pro League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200px-OPL_logo.png2015스플릿 1파일:600px-Chiefs_Esports_Clublogo_square.pngSwip3rR · Spookz · Impaired · Swiffer · RYmeister · Raydere · Rosey
스플릿 2Swip3rR · Spookz · Swiffer · Raydere · EGym
2016스플릿 1Swip3rR · Points · Spookz · Swiffer · Cheese · Raydere · EGym · Rosey
스플릿 2Swip3rR · Points · Spookz · Swiffer · Raes · EGym
2017스플릿 1파일:600px-Dire_Wolveslogo_square.pngChippys · Shernfire · Rippii · Phantiks · k1ng · Destiny
스플릿 2
파일:OPL_2018_Logo_Color.png2018스플릿 1Chippys · Shernfire · Rippii · Praelus · Triple · Getback · k1ng · Cupcake
스플릿 2BioPanther · Shernfire · Rippii · Triple · k1ng · Cupcake
2019스플릿 1파일:Bomberslogo_square.webpMimic · BalKhan · Seb · ry0ma · FBI · Sprenstama · Zenk · Rogue
스플릿 2파일:Mammoth_2019.pngFudge · Topoon · Babip · Triple · k1ng · Destiny · Cuden
2020스플릿 1파일:Legacy_Esports.pngTopoon · Babip · Tally · Raes · Isles
스플릿 2Topoon · Babip · Tally · Halo · Raes · Isles
League of Legends Circuit Oceania
파일:LCO로고.png2021스플릿 1파일:Pentanet.GG Logo.pngBioPanther · Pabu · Chazz · Praedyth · Decoy
스플릿 2파일:PEACE_(Oceanic_Team)logo_square.pngApii · Babip · LeeSA · Halo · Tally · Violet · Chayon · Aladoric · Zingy
2022스플릿 1파일:ORDER2022logo_profile_notext.pngBioPanther · Maximize · Kevy · Kisee · Puma · Corporal
스플릿 2파일:The_Chiefs_eSports_Clublogo_square.pngTopoon · Arthur · Tally · Raes · Aladoric · Dragku
2023스플릿 1BioPanther · Babip · Kisee · Raes · Aladoric · Cupcake
스플릿 2BioPanther · Babip · Kevy · Kisee · Raes · Aladoric · Cupcake





3.4. 역대 정규시즌 MVP[편집]


파일:LCO white.pngLeague of Legends
Circuit Oceania

역대 정규시즌 MVP
||
[ 펼치기 · 접기 ]

2021 Split 12021 Split 22022 Split 12022 Split 2
BioPanther
브랜던 알렉산더
PGG | TOP
Lived
트리스탄 풀처
CHF | TOP
Raes
퀸 코레브리츠

CHF | BOT
Arthur
박미르

CHF | JGL
Kisee
로날드 보
ORD | MID
2023 Split 12023 Split 22024 Split 12024 Split 2
Chazz
제시 마호니
DW | MID
Whynot
라아즈 알파시 베르만
TB | JGL





3.5. 역대 LCO All-Pro Team[편집]


파일:LCO white.pngLeague of Legends
Circuit Oceania

All-Pro Team
||
[ 펼치기 · 접기 ]

시즌대회파일:LCK_TOP_white1.png
TOP
파일:LCK_JGL_white1.png
JGL
파일:LCK_MID_white1.png
MID
파일:LCK_BOT_white1.png
BOT
파일:LCK_SUP_white1.png
SPT
2021Split 2파일:Pentanet.GG Logo.png BioPanther파일:ORDER2022logo_profile_notext.png Kevy파일:Dire_Wolves.png Shok파일:PCE_Logo_2021_Worlds.png Violet파일:PCE_Logo_2021_Worlds.png Aladoric
2022Split 1파일:The_Chiefs_eSports_Clublogo_square.png Topoon파일:Pentanet.GG Logo.png BalKhan파일:PCE_Logo_2021_Worlds.png Apii파일:The_Chiefs_eSports_Clublogo_square.png Raes파일:The_Chiefs_eSports_Clublogo_square.png Dragku





3.6. 역대 MSI 진출 LCO 팀[편집]


팀명진출 횟수진출 연도성적
Dire Wolves2회2017
2018
플레이-인 그룹(2017, 2018)
Bombers1회2019플레이-인 그룹(2019)
Pentanet.GG1회2021럼블 스테이지(2021)
ORDER1회2022그룹 스테이지(2022)

파일:Mid-Season Invitational 로고.svg 역대 Mid-Season Invitational OPL - LCO 진출 팀 및 최종 성적
시즌진출 팀세트 승패최종 성적
2017Dire Wolves2-4플레이-인 그룹
2018Dire Wolves2-4플레이-인 그룹
2019Bombers2-4플레이-인 그룹
2021Pentanet.GG4-15럼블 스테이지
2022ORDER0-8그룹 스테이지

3.7. 역대 RR 진출 OPL 팀[편집]


팀명진출 횟수진출 연도성적
Dire Wolves2회2017
2018
우승(2018)
3위(2017)
Kanga Esports2회2017(LGC)
2018(LGC)
우승(2018)
3위(2017)
MAMMOTH1회2017(SIN)3위(2017)
The Chiefs1회2018우승(2018)

파일:Rift Rivals logo white.png 역대 리프트 라이벌즈 OPL 출전 팀 & 최종 성적
시즌출전 팀세트 승패최종 성적
2017Dire Wolves1-23위
Legacy Esports1-2
Sin Gaming3-2
2018Dire Wolves4-1우승
Chiefs 5-1
Legacy Esports2-1

3.8. 역대 Worlds 진출 LCO 팀[편집]


팀명진출 횟수진출 연도성적
Dire Wolves2회2017
2018
플레이-인 그룹(2017, 2018)
MAMMOTH1회2019플레이-인 그룹(2019)
Kanga Esports1회2020(LGC)플레이-인 녹아웃(2020)
PEACE1회2021플레이-인 녹아웃(2021)
The Chiefs1회2022플레이-인 그룹(2022)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역대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OPL - LCO 진출 팀 및 최종 성적
시즌진출 팀세트 승패최종 성적
2017Dire Wolves1-4플레이-인 그룹
2018Dire Wolves1-3플레이-인 그룹
2019MAMMOTH2-2플레이-인 그룹
2020Legacy Esports3-5플레이-인 녹아웃
2021PEACE5-7플레이-인 녹아웃
2022The Chiefs0-5플레이-인 그룹

3.9. 역대 All-Star 출전 LCO 선수[편집]


파일:LOL All Stars_logo.png 역대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OPL - LCO 출전 선수
시즌출전 선수비고
2015류태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Ryoo
팀 웬델
파일:호주 국기.svg Carbon
에런 블랜드
파일:호주 국기.svg ChuChuZ
드렉 트랑
파일:호주 국기.svg Raydere
브라이스 폴
파일:호주 국기.svg EGym
식스맨으로 AV
소속 Destiny 참가
HLNLGCCHF
2016브랜던 홀랜드
파일:호주 국기.svg Swip3rR
팀 웬델
파일:호주 국기.svg Carbon
시몬 파파마커스
파일:호주 국기.svg Swiffer
드렉 트랑
파일:호주 국기.svg Raydere
앤드류 로즈
파일:호주 국기.svg Rosey
CHFLGCCHFDWTM
2018스테판 리
파일:호주 국기.svg Triple
잭슨 파본
파일:호주 국기.svg Pabu
리그 파트너로 Midbeast,
Ash on LoL 참가
DWAV
2019라이언 쇼트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Chippys
잭슨 파본
파일:호주 국기.svg Pabu
유명인사로 Midbeast
참가
AVGRV
2020라이언 쇼트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Chippys
레오 로머
파일:호주 국기.svg Babip
브랜든 응우옌
파일:호주 국기.svg Claire
퀸 코레브리츠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Raes
앤디 반 더 비버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Cupcake
DWLGCDW

4. 특징[편집]


초창기 LoL 플레이-인 리그 중에는 전반적으로 약체로 분류되었다. 같이 약체로 분류되는 동남아, 일본, 남미나 중남미 통합 후 망해버린 브라질에 비하면 개성이 없는 편이다. 초중반 돌발적인 전투력 하나로 먹고 살던 동남아(태국), 운영으로 승부하는 일본, 원딜 중심의 한타로 승부하던 남미나 개인기량은 더럽게 좋은데 팀으로는 언젠가부터 멸망인 브라질 등과 달리 그냥 무난하다. 그러나 그 무난함이 지나쳐 체급이 낮기 때문에 약한 리그라는 평을 받았다.

일단 일본 못지 않게 선수층이 얇다. 호주 뉴질랜드의 롤 인구도 많지 않은 편인데다 영어권 국가라는게 장점이자 단점이라 정말 잘하는 선수들은 용병과 유학생/교포, 현지인을 가리지 않고 다 북미 및 기타 상위리그에 빼앗긴다.[2] 그렇다고 북미처럼 마케팅을 잘하는 것도 아니고 일본처럼 코어 팬층 충성도가 높은 편도 아니라 흥행도 암울한 편이다. 다른 마이너 리그의 경우 프로를 이어나가고 싶지만 자국에서 유의미한 커리어를 만들기 힘들다고 판단해 해외를 노리는 한국인 용병들이 심심찮게 유입되는 편이지만,[3] LCO의 경우 마이너 리그 중에서도 자본력과 인기가 상당히 위태위태한 리그이다 보니 용병 수급도 미묘한 편.

그러나 영어권 국가다 보니 한국에서 북미를 거쳐, 혹은 한국 용병이나 코치를 통해 들어온 게임지식은 꽤 잘 습득한 편. CIS와 일본을 제외하면 변방에서는 운영 측면의 기본기가 그나마 잘 갖춰진 리그이다. 게다가 이러한 운영을 모르던 암흑군주 시절 치프스의 유일한 장점은 중반 교전이었을 정도로, 개개인의 메카닉이 S급이 아니더라도 거시적/미시적인 팀합은 이상하게 잘 맞아온 리그다. DW를 거쳐 BMR, MMM 등 개인기량이 치프스와 비교를 불허하는 강팀들이 등장하자 그러한 각각의 팀들이 가진 강점이 이러한 리그 전체적인 나쁘지 않은 팀플레이와 시너지를 이루어 무상성 캐릭터에 가까운 모습을 보이고 있다.

약간이라도 게임인구가 늘고 인재 수급이 개선되자, 상술한 한국발 선진 메타를 일찍이 습득한 효과가 나타나는지 19시즌 국제무대부터는 플레이인 리그에서 중위권 수문장을 벗어나 최상위 실력으로 단숨에 급상승했다. 특히 매년 국제무대에 나타나는 OPL-LCO 대표팀이 다른데, 이 팀들이 모두 호성적을 기록하거나, 최종 플레이인 스테이지까지 가는 등 전반적인 체급이 올라왔다는 것이 한 눈에 보일 정도. OPL이 라이엇에 의해 해체되어 인재풀이 한 번 흩어졌다가, 우여곡절 끝에 LCO로 리브랜딩된 상황인 21 시즌 국제무대에서도 MSI 최초 본선 스테이지 진출, 롤드컵 플레이인 최종 스테이지 진출 등 열악한 상황속에서도 혁혁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또한 습자지 같이 얇은 선수층임에도 갑자기 튀어나오는 메이저급 유망주들[4]이 북미 로컬 전환 이후 LCS에서 맹활약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서구권에서는 새로운 유망주 시장으로 부각받고 있다.

5. 역사[편집]



5.1. OPL (2015~2020)[편집]


2019년부터 프랜차이즈화를 진행하였고, 2부 리그였던 OCS는 아카데미 리그로 재편되었다.

다만 내부적으로는 질적, 양적 성장을 아주 미세하게나마 거듭하고 있음에도, 호주, 뉴질랜드라는 국가 특성상 대규모 기업 자본을 끌어모으기는 쉬운 일이 아닌지[5], OPL 구단들 모두가 라이엇 본사의 보조금과 운영 지원에 의존하고 있는 사실이 드러났다.

설상가상으로 19년 말에 오세아니아 지역의 리그 시청률 증가와 e스포츠판 성장에도 불구하고, 프로 리그 계획을 전면적으로 축소시킬 예정이라는 사실이 폭로되었는데, 19년 말에 본사측에서 보내주는 운영 보조금이 삭감되었고 이에 따라 각 구단들에게 지원되는 운영 지원금도 크게 줄이게 되었다고 한다. 대신 갑작스러운 재정난을 극복하기 위해 라이엇 오세아니아측과 구단 운영진들의 합의 하에 20시즌 부터는 프랜차이즈의 기본 요건이나 다름없는 '선수 최저연봉제' 요건까지 삭제되는 등의 조치가 이어졌고, 이런 결정으로 인해 선수 복지 차원에서는 오히려 크게 후퇴하고 말았다.[6]

결국 2020년 10월 7일, 리그가 해체된다는 공식기사가 나오게 되었다. 일단 리그 운영 유지에 대한 언급은 없고, 오세아니아 출신 팀들이 2021년 시즌까지는 MSI와 롤드컵 진출을 할 수 있도록 토너먼트 예선 기회를 보장해주겠다고 한다. 또한, OPL 소속 선수들의 프로 무대 활동 지원을 위해 2021년부터 OPL 출신은 LCS로 넘어갈 때 용병 슬롯을 차지하지 않을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과연 얼마나 많은 선수들이 훨씬 높은 등급의 프로 리그에서 살아남을지는 미지수. 여러모로 2020 롤드컵에서 OPL 역사상 가장 정점을 찍었으나, 그 잠재력을 더 키워보지도 못한 채 리그가 폐지되고 역사속으로 사라질 위기에 놓이게 되었다.

해당 소식이 나온 이후, 호주 및 뉴질랜드 LoL 커뮤니티는 초상집이 되었고, 특히 라이엇 오세아니아 지부까지 완전히 해체한다는 뉴스까지 떠버려서 사실상 기초적인 롤 e스포츠와 서버 인프라조차 날려버리는 최악의 결정이 아니냐는 여론 및 e스포츠 관계자들의 불만이 터져나왔다.

2021 시즌을 앞둔 스토브리그에서 OPL의 상위권 팀인 LGC, DW, CHF 등의 주전 멤버들 소수만이 LCS로 넘어가는데 성공했으며, 역시 예상대로 대다수의 OPL 선수들은 팀을 구하지 못한채 무직 신세로 전락하는 등 롤 이스포츠판이 사라진 지역의 세기말 모습을 제대로 보여주었다.

5.2. LCO (2021~2022)[편집]


그런데 2020년 12월 21일, 해산 2개월만에 리그가 재개한다는 기사가 나왔다. 외신 e스포츠 인사이더에 따르면 일렉트로닉 스포츠 리그(ESL) 게이밍은 귀네비어 캐피털(Guinevere Capital)과 파트너십을 맺고 라이엇 게임즈로부터 OPL을 운영할 수 있는 3년 라이선스를 획득했다. 이에 따라 올해 2020 월드 챔피언십 플레이-인 스테이지까지 진출한 레거시 e스포츠를 포함한 8개의 팀이 참가할 예정이다.

2021년 2월 5일, 롤 이스포츠 지역 리그 중 가장 늦게 로드맵이 발표되었다. 기존의 OPL이라는 리그 명칭을 'League of Legends Circuit Oceania' 줄여서 LCO로 변경하고, 기존 8개팀을 그대로 참가시켰다. 또한 2021 시즌 개막을 2월 23일로 발표했다.

2021 Mid-Season InvitationalPentanet.GG가 우승팀 자격으로 참가하여 럼블 스테이지 진출에 성공했다. 이는 오세아니아 지역 최초의 국제 무대 본선 진출의 쾌거다.

국제무대에서의 선전이 효과가 있었는지, 2021년 6월 11일 미국의 온라인 배달음식 체인 'Doordash'와 네이밍 스폰서십을 체결하면서 리그명을 Doordash LCO리브랜딩했다. 또한 시즌 경기수를 변경했는데 단판제 더블 라운드 로빈에서, 단판제 트리플 라운드 로빈으로 변경해 한 팀과 3번의 매치씩, 총 21경기를 치르게 되었다.

그리고 맞이한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에서도 오세아니아 대표로 출전한 PEACE가 녹아웃 스테이지 최종전까지 올라가는 성과를 달성하면서 마이너로서의 입지를 더욱 끌어올리는데 성공했다.

2021년 12월 9일, 차기 2022 스플릿 2의 그랜드 파이널 경기를 호주 멜버른에서 개최하는 드림핵 행사에서 개최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2022 시즌을 앞두고 The DoorDash에서 호주의 배달앱 업체 'Menulog'로 다시 스폰서십을 변경하면서 LCO라는 원래 명칭으로 회귀했다.

2022년 2월 26일, LCO 소속의 PEACE가 작년 롤드컵 출전 상금을 소속 선수들에게 미지급하고 있다는 소식이 떴다. 급여도 장기간 체불하다가 해를 넘겨 1월에 와서야 지급했다고. 리그의 자생력이 점차 나아지던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는 소식으로, 아직 소속팀들 다수는 불안정하다는 걸 증명하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2022 MSI에서 참가한 ORDER가 전패를 찍고 이어서 2022 롤드컵에 참여한 치프스 역시 플인 12팀 중 가장 먼저 광탈하는 바람에 LCO의 분위기에 먹칠을 해버렸는지라 현재 LCO의 행방은 좋다고 보긴 힘든 상황이다. 사실 오더 자체는 다소 진정하고 살펴보면 MSI 당시 LCL 불참으로 인한 대진운의 희생자일 뿐이지만, 정글러였던 케비의 북미 2부로의 이탈과 게임단 단위의 채무 논란 등이 불거지다 보니 LCO의 미래는 여전히 어둡다.

2022년 10월 18일, 라이엇이 시드니에 위치한 워게이밍 스튜디오를 인수하여 라이엇 시드니 스튜디오로 사용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라이엇이 오세아니아 지부에 손을 뗀 지 3년만에 다시 오세아니아로 복귀한 것이다. 물론 LCO보단 라이엇의 새로운 프랜차이즈 게임인 발로란트에 중점을 두는 것으로 보이지만 어찌되었든 라이엇의 오세아니아 복귀는 팬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일으키고 있다. 다만 ESL이 지난 2년동안 LCO 운영에 있어서 라이엇보다 나았다라는 평이 많은 데 라이엇이 다시 운영하면 기껏 올려놓은 뷰어십이나 흥행이 다시 식지 않을지, 아니면 LCO 주체는 ESL에게 맡기고 스튜디오와 발로란트만 라이엇이 담당할지는 미지수이다.

하지만 2022년 11월 19일, 국제전 성적부진을 이유로 PCS와 선수 풀, 포스트시즌 그리고 국제대회 진출권을 공유하게 되었다.# 따라서 2023년부터 LCO는 MSI 및 월즈에 직행할 수 없으며, 상위 2팀이 PCS 플레이오프에 참가하여 MSI와 월즈 시드권 경쟁을 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LCO 선수들은 앞으로 PCS 로컬 취급을 받게 되며, LCS로 이적하면 용병 슬롯을 차지하게 된다.[7]

5.3. PCS와 합병 (2023~)[편집]


2023년 1월 19일 새로운 시즌 진행 방식이 발표되었는데, LEC처럼 3단계로 진행된다. #

그리고 PCS 플레이오프가 끝난 뒤인 4월 29일에 DreamHack 멜버른에서 LCO 올스타와 TSM Challengers 간의 맞대결, Team Bliss와 Chiefs 간의 결승전이 성사되었다. 결과적으로 PCS 플레이오프에 출전한 두 오세아니아 팀이 4경기에 걸쳐 세트 1승 12패로 처참하게 털리고, 상위권 두 팀의 선수는 참여하지 않았다지만 LCO 올스타팀이 TSM 2군에게도 패하면서 리그 경쟁력에 사형선고가 내려졌다.

2023 스플릿 1 당시 PEACE가 몰수패를 계속 당해도 다음 스테이지에 참여한다는 것이 문제가 되자 스플릿 2를 앞두고 다시 한 번 진행 방식을 변경했다. #



[1] 호주 시드니에 위치[2] 한국계 뉴질랜드인인 Keane은 북미 올드비이며 OPL이 역대 가장 분전했던 2019년에도 용병 에이스로 날렸던 발칸은 터키에 뺏겼고 FBI, 료마, 데스티니가 각각 북미와 유럽으로 넘어갔다. FBI의 라이벌이던 로스트도 이미 북미에 뺏긴지 오래이며, 2017~2018년 OPL 최고 선수로 불렸던 정글러 션파이어도 북미 쪽에서 커리어를 모색하고 있다.[3] 탑급 선수들의 경우 거금을 받고 LPL로 이적하고 LCS에서도 한물 갔다지만 비교적 클래스 있는 선수들을 용병으로 주로 수급해가는데, 메이저 1군에는 미치지 못하는 기량을 가지거나 나이가 꽤 있어 반등을 기대하기 힘든 선수들은 LLA, LJL, CBLOL, TCL과 같은 마이너 리그에서 우승해 롤드컵에 진출하는 것을 목표로 용병으로 뛰게 되는 경우가 왕왕 있다. KT의 백업 정글러였던 문건영의 경우 LCK에서는 1군으로 살아남기 힘들다는 평가를 받았으나, LJL에서는 본인의 기량 향상과 맞물려 5시즌 우승과 함께 국제전인 리프트 라이벌즈 우승이라는 쾌거까지 달성해냈다. 이외에도 눈꽃, 갱맘, 카카오 등의 사례가 대표적.[4] 대표적으로 C9에서 선전하고 있는 퍼지와 100T의 북체원 FBI.[5] 공개되지는 않았지만, 애초에 프랜차이즈 진행 당시에도 메이저리그나 다른 마이너 리그 프랜차이즈 수준의 자본 납입도 요구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6] 아마 이 시기에 대부분의 잠재력 있는 오세아니아 유망주가 해외 진출을 적극 모색한 것에는 이런 사유가 함께 있었을 것이다.[7] 기존에 LCS로 이적하여 북미 용병 슬롯을 차지하지 않던 선수들과 2022년 스토브리그에서 북미로 이적한 선수들은 LCS 로컬과 PCS 로컬 중에 하나를 선택 가능하여 기존과 동일하게 용병 슬롯을 차지하지 않을 수도 있다.[8] 각 조의 1위와 2위 간 맞붙는 두 경기와 패자전[9] 2-0 승리는 3점, 1-1 무승부는 1점, 0-2 패배는 0점.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