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랍에미리트 프로 리그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height=80><width=25%> 파일:사우디 프로페셔널 리그 로고.svg
||<width=25%> 파일:카타르 스타스 리그 로고(가로형).svg
||<width=25%> 파일:아랍에미리트 프로 리그 로고.jpg
||<width=25%> 파일:이라크 스타스 리그 로고.png
||
||<rowbgcolor=#f0f0f0,#191919>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 파일:카타르 국기.svg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 파일:이라크 국기.svg ||
|| 파일:요르단 프로 리그 로고.png
|| 파일:바레인 프리미어 리그 로고.png
|| 파일:VIVA,League(logo).gif
|| 파일:레바논 프리미어 리그 로고.png
||
||<rowbgcolor=#f0f0f0,#191919> 파일:요르단 국기.svg || 파일:바레인 국기.svg ||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 파일:레바논 국기.svg ||
|| 파일:시리아 프리미어 리그 로고.png
|| 파일:OmanProfessionalLeague.jpg
|| 파일:Gaza_Strip_Premier_League.gif
|| 파일:팔레스타인 프리미어 리그 로고.png
||
||<rowbgcolor=#f0f0f0,#191919> 파일:시리아 국기.svg || 파일:오만 국기.svg ||<-2>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 파일:예메니 리그 로고.png
|| || || ||
||<rowbgcolor=#f0f0f0,#191919> 파일:예멘 국기.svg || || || ||
||<-4><bgcolor=#f7f7f7,#191919> 전 세계 리그 ||



دوري المحترفين الإماراتي
파일:ADNOC 프로 리그 로고.png
정식 명칭아랍에미리트 프로 리그
영문 명칭UAE Pro League
창설 연도1973년
참가 팀 수14개 팀
하위 리그퍼스트 디비전
최근 우승팀샤바브 알 아흘리 두바이 FC (2022-23)
최다 우승팀알 아인 FC (14회)
웹사이트https://www.uaeproleague.ae/en
AFC 리그 랭킹6위 #

1. 개요
2. 역사
3. 참가 클럽
4. 아랍에미리트 프로 리그와 대한민국
5. 우승 연혁




1. 개요[편집]


아랍에미리트 프로 리그(دوري المحترفين الإماراتي, UAE Pro League)는 아랍에미리트 프로 축구의 최상위 리그이다.

우승팀과 2위 및 UAE 프레지던트 컵 우승팀에게는 AFC 챔피언스 리그 출전권이 주어진다. 또한 3위 팀은 AFC 챔피언스 리그 플레이오프 출전권이 주어진다.


2. 역사[편집]


1973년에 처음 리그가 창설되었다. 1973-74 시즌은 리그가 잘 돌아가는지 알아보는 테스트 성격이 강했으나, 2001년에 공식 시즌으로 인정되었다. 2007년 아랍 에미리트 프로리그 위원회(UAE Pro League Committee)가 설립되어 2008년에 리그 이름을 UAE 축구 리그(UFL)로 개칭하였다. 2008년부터는 통신회사 에티살랏(Etisalat, الاتصالات)가 협찬하고 있기 때문에 에티살랏 프로 리그(Etisalat Pro-League)라고 하였다.

2013-14 시즌, 아라비안 걸프 리그(Arabian Gulf League)로 명칭을 변경하였으나 2021-22 시즌, 다시 아랍에미리트 프로 리그(UAE Pro League) 변경하였다.

2021-22 시즌 리그 스폰서는 아랍에미리트의 국영 석유•가스회사인 아부다비 내셔널 오일 컴퍼니(ADNOC)이다.


3. 참가 클럽[편집]


파일:아랍에미리트 프로 리그 로고.jpg
2023-24 시즌 참가 클럽
[ 펼치기 · 접기 ]

#555555,#aaaaaa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height=80><width=25%> [[바니야스 SC|[[파일:Baniyas_Sports_Club_Logo.png|height=40]]]][br]
[[바니야스 SC|{{{#FFFFFF '''바니야스'''}}}]]
||<width=25%> [[샤르자 FC|[[파일:샤르자 FC 로고.svg|height=50]]]][br]
[[샤르자 FC|{{{#FFFFFF '''샤르자'''}}}]]
||<width=25%> [[샤바브 알 아흘리 클럽|[[파일:샤바브 알 아흘리 클럽 로고.svg|height=50]]]][br]
[[샤바브 알 아흘리 클럽|{{{#FFFFFF '''샤바브 알 아흘리'''}}}]]
||<width=25%> [[아지만 클럽|[[파일:Ajman_Club.png|height=50]]]][br]
[[아지만 클럽|{{{#000000 '''아지만'''}}}]]
|| ||<height=80> [[알 나스르 SC|[[파일:알 나스르 SC 로고.png|height=50]]]][br]
[[알 나스르 SC|{{{#FFFFFF '''알 나스르'''}}}]]
|| [[알 바타에 클럽|[[파일:알 바타에 클럽 로고.jpg|height=50]]]][br]
[[알 바타에 클럽|{{{#FFFFFF '''알 바타에'''}}}]]
|| [[알 아인 FC|[[파일:알 아인 로고.svg|height=50]]]][br]
[[알 아인 FC|{{{#FFFFFF '''알 아인'''}}}]]
|| [[알 와슬 FC|[[파일:알 와슬 FC 로고.svg|height=50]]]][br]
[[알 와슬 FC|{{{#000000 '''알 와슬'''}}}]]
|| ||<height=80> [[알 와흐다 FC|[[파일:알 와흐다 FC 로고.svg|height=50]]]][br]
[[알 와흐다 FC|{{{#AEA28A '''알 와흐다'''}}}]]
|| [[알 자지라 클럽|[[파일:알 자지라 클럽 로고.svg|height=50]]]][br]
[[알 자지라 클럽|{{{#CA272C '''알 자지라'''}}}]]
|| [[에미리트 클럽|[[파일:에미리트 클럽 로고.jpg|height=50]]]][br]
[[에미리트 클럽|{{{#FFFFFF '''에미리트'''}}}]]
|| [[알 이티하드 칼바 SC|[[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KalbaClub.png|height=50]]]][br]
[[알 이티하드 칼바 SC|{{{#000000 '''칼바'''}}}]]
|| ||<height=80> [[코르 파칸 클럽|[[파일:Khor_Fakkan.png|height=50]]]][br]
[[코르 파칸 클럽|{{{#FFFFFF '''코르 파칸'''}}}]]
|| [[하타 클럽|[[파일:하타 클럽 로고.png|height=50]]]][br]
[[하타 클럽|{{{#FFFFFF '''하타'''}}}]]
|| || || ||<-4><colbgcolor=#FFFFFF,#191919> [[틀:사우디 프로페셔널 리그|[[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20]] 프로페셔널 리그]]|[[틀:카타르 스타스 리그|[[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20]] 스타스 리그]]|[[틀:아랍에미리트 프로 리그|[[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20]] 프로 리그]][br][[틀:이라크 스타스 리그|[[파일:이라크 국기.svg|width=20]] 스타스 리그]]|[[틀:요르단 프로 리그|[[파일:요르단 국기.svg|width=20]] 프로 리그]]|[[틀:오만 프로페셔널 리그|[[파일:오만 국기.svg|width=20]] 프로페셔널 리그]][br][[틀:시리아 프리미어 리그|[[파일:시리아 국기.svg|width=20]] 프리미어 리그]]|[[틀:레바논 프리미어 리그|[[파일:레바논 국기.svg|width=20]] 프리미어 리그]]|[[틀:쿠웨이트 프리미어 리그|[[파일:쿠웨이트 국기.svg|width=20]] 프리미어 리그]][br][[틀:바레인 프리미어 리그|[[파일:바레인 국기.svg|width=20]] 프리미어 리그]] || ||<-4> [[틀:세계 축구 주요 리그 및 대표팀/둘러보기 틀|전세계 리그 및 대표팀 보기]]|[[틀:팔레스타인 프리미어 리그|[[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width=20]] 프리미어 리그]] ||





4. 아랍에미리트 프로 리그와 대한민국[편집]


볼드체로 표시된 선수는 현재 아라비안 걸프 리그에서 뛰는 선수.
순서이름클럽기간
1이호알 아인 FC(2010)
2이상호알 샤르자 SC(2012, 임대)
3신형민알 자지라 클럽(2012~2014)
4김정우알 샤르자 SC
바니야스 SC
(2013~2014, 임대)
(2014~2015)
5이명주알 아인 FC
알 와흐다 FC
(2014~2017)
(2020~2021)
6권경원알 아흘리 클럽(2015~2016)
7신진호에미리츠 클럽(2015, 임대)
8임창우알 와흐다 FC(2016~2020)
9송진형알 샤르자 SC(2016~2017)
10허재원디바 알 푸제이라(2016)
11이승희디바 알 푸제이라(2018)
12오반석알 와슬 SC(2018~2019)
13박용우알 아인 FC(2023~)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와 함께 한국 선수들이 가장 많이 가는 서아시아 3대 리그 중 하나로, 총 12명의 한국 선수들이 걸프 리그에서 뛰었다. 하지만 이명주임창우를 제외하곤 모두 3시즌 이상 뛴 적은 없고 짧게 거쳐가기만 한 리그기도 하다. 자연스럽게 리그에서 가장 성과를 낸 한국 선수들도 이명주와 임창우인데, 특히 이명주는 2016 AFC 챔피언스 리그에서 알 아인이 결승까지 올라가는데 큰 공헌을 했다. 임창우는 5년동안 팀에서 100경기 이상 소화하면서 2019년 팀 레전드 20인 안에도 선정되었다.


5. 우승 연혁[편집]


시즌우승팀
1973-74알 샤르자
1974-75알 아흘리
1975-76알 아흘리
1976-77알 아인
1977-78알 나스르
1978-79알 나스르
1979-80알 아흘리
1980-81알 아인
1981-82알 와슬
1982-83알 와슬
1983-84알 아인
1984-85알 와슬
1985-86알 나스르
1986-87알 샤르자
1987-88알 와슬
1988-89알 샤르자
1989-90알 샤바브
1990-91걸프 전쟁으로 중단
1991-92알 와슬
1992-93알 아인
1993-94알 샤르자
1994-95알 샤바브
1995-96알 샤르자
1996-97알 와슬
1997-98알 아인
1998-99알 와흐다
1999-00알 아인
2000-01알 와흐다
2001-02알 아인
2002-03알 아인
2003-04알 아인
2004-05알 와흐다
2005-06알 아흘리
2006-07알 와슬
2007-08알 샤바브
2008-09알 아흘리
2009-10알 와흐다
2010-11알 자지라
2011-12알 아인
2012-13알 아인
2013-14알 아흘리
2014-15알 아인
2015-16알 아흘리
2016-17알 자지라
2017-18알 아인
2018-19알 샤르자
2019-20없음[1]
2020-21알 자지라
2021-22알 아인
2022-23알 아흘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18:18:04에 나무위키 아랍에미리트 프로 리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코로나 19로 중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