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Ulterior Motives

덤프버전 :


Ulterior Motives
숨겨진 동기
[1]
가제Everyone Knows That / Ulterior Motives
약칭EKT
작곡가크리스토퍼 세인트 부스(Christopher Saint Booth), 필립 아드리안 부스(Philip Adrian Booth)
형태음악
장르뉴웨이브, 신스 팝
녹음 시기1986년
로스트 미디어 정보
OPCarl92
현재 상태
해결됨
발견자u/south_pole_ball, u/One-Truth-5867
관련 커뮤니티파일:레딧 아이콘.svg[2]

1. 개요
2. 수색 과정
2.1. 로스트 웨이브가 되다
2.2. 발견 전 추측
2.3. 발견
3. 가사
4. 기타




1. 개요[편집]


크리스토퍼 세인트 부스 & 필립 아드리안 부스 형제가 1986년에 녹음한 뉴웨이브 & 신스팝 장르의 곡. 1986년에 제작된 포르노 영화인 Angles of Passion에 배경음악으로 사용됐다.

The Most Mysterious Song on the Internet와 함께 로스트웨이브 붐을 일으킨 곡으로 유명하며, 발견된 현재도 로스트웨이브의 대표적인 곡으로 남아 있다.


2. 수색 과정[편집]



2.1. 로스트 웨이브가 되다[편집]


Ulterior Motives를 대표하는 사진[3][4]

옛날 포르노 영화에 딱 한번 쓰이고 묻힌 이 곡이 다시금 주목을 받게 된 이유는 2021년 10월 7일 Carl92라는 유저가 WatZatSong 사이트에서 18초 분량의 클립을 올리면서 시작되었다. Carl92는 1999년 DVD 백업 파일에서 이 노래를 찾았으머, 오디오 캡쳐를 배우는 과정에서 녹음되었다고 밝혔다.

처음 올라왔을 당시엔 큰 관심을 받지 못했으나, 레딧, 유튜브, 틱톡 등에 이 곡의 상황이 알려지면서 점점 유명세를 얻기 시작했다.


2.2. 발견 전 추측[편집]


오디오 파일에서 나오는 MTS 15.734KHz 파일럿 톤[5]으로 라디오나 VHS, NTSC, PAL-N/M 사용 지역인 북미를 포함한 아시아와 남아메리카 일부 지역[6]의 텔레비전에서 녹음되었다는 것만 추측해 낸 상태다. 물론 녹음된 곳만 추측한 것이기 때문에 어느 나라 노래인지는 몰랐다. 텔레비전에서 녹음되었다는 정보와 러닝타임을 감안하면 일본·칠레·콜롬비아·대만·필리핀의 TV 광고에서 나온 광고용 음악으로 추정됐다. 그리고 노래에 들어간 드럼머신[7]과 신스[8] 정도를 밝혀냈다.

주로 해당 곡의 보컬과 유사한 가수를 찾는 방식으로 탐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그 후보로 70~80년대에 활동했던 가수들인 화이트 마이크 조니 글로브(White Mike Johnny Glove), 켄 켄드릭스(Ken Kendricks), 카를로스 토시키(Carlos Toshiki)[9], 카렌 실버(Karen Silver)[10] 등이 거론됐었다.

이후 새로운 추측이 나오거나, 추측이 반박되거나 틀렸다는 것이 밝혀지는 걸 반복했고, 이 곡이 사실 주작(hoax)이 아니냐는 의견도 진지하게 돌 정도로 마땅한 단서가 나오지 않고 있던 상황이었다.


2.3. 발견[편집]


그러다가 2024년 4월 28일, 드디어 이 곡의 정체가 밝혀졌다. u/One-Truth-5867이라는 레딧 사용자가 포르노 영화 Taboo III에서 EKT와 유사한 OST인 Animal In Me가 포함된 장면을 발견했고, 추가로 조사를 해본 결과 해당 곡의 작곡가인 크리스토퍼 세인트 부스 & 필립 아드리안 부스의 BMI & SOCAN에[11] EKT의 가제인 "Ulterior Motives"라는 이름이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후 부스 형제가 참여한 영화를 모두 조사한 끝에 u/south_pole_ball이라는 사용자가 열정의 천사(Angels of Passion)라는 1986년작 포르노 영화에서 드디어 발견해냈다! 레딧의 원본 발견 글

이후 4월 29일 작곡가중 한명인 필립 아드리안 부스가 인스타그램EKT 발견에 관련 글을 올렸고, 이후 재녹음하여[12] 다른 곡들과 함께 새 앨범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3. 가사[편집]


볼드체 처리한 부분은 발견 전 18초 클립 부분이다.
가사
Something in your eyes, makes me realize
How strange it seems
Something in your smile, could be up on trial
Of broken dreams
You're counting all your sheep in disguise
Caught up in the world of lies
Everyone knows it[13], you've got
Ulterior motives, tell me truth
Every move shows it, ah ha
If something's on your mind, spit it out and find
The perfect scam
All your truth and dares, do you really care?
Just who I am
You're always biting more than you can chrew
When will you realize the truth
Everyone knows it, you've got
Ulterior motives, tell me truth
I got it from the wise that you're telling lies...


4. 기타[편집]


포르노 영화에 OST로 쓰였다는 것 때문에[14] 발견된 이후 기존에 가지고 있었던 신비로운 이미지가 망가지게 되었다. 발견자가 작곡가의 곡을 모두 들어보려고 작곡으로 참여한 포르노까지 하나하나 보다가 발견했다고 증언한 점 때문에 관련 농담들이 판을 치고 있다. 발견자가 'Ulterior motives(숨겨진 동기)'가 있다거나, 뮤직 비디오까지 같이 발견됐다는 둥... 그래서 Carl92가 정보를 자세하게 밝히지 않은것이 이것 때문이 아니냐는 추측이 있으며, 그 와중 한 레딧의 사용자가 Carl92가 클립이 나왔던 영화를 토렌트로 다운받았다는 사실까지 알아냈다(...).


[1] 포르노 영화에 삽입된 풀버전에서 신음소리를 제거한 편집본이다.[2] 포르노 영화 삽입곡이라는 것이 밝혀진 이후 19금이 걸렸다가 다시 풀렸다.[3] 원래는 딱히 대표하는 사진이 없었지만 Jay Kay라는 업로더가(현재는 채널이 삭제되었다.) EKT의 클립을 해당 사진과 함께 유튜브에 업로드하면서 유명해졌다. 사진의 출처는 사진에 나온 붐박스를 팔기 위해 중고거래 사이트에 올린 사진이 원본인 것으로 밝혀졌다.[4] 해당 붐박스의 기종은 Nextplay Glitz and Glitter NP400GB이며, 해당 붐박스를 가지고 있는 유저가 직접 EKT를 재생한 영상도 있다.#풀버전[5] 텔레비전 방송에서 스테레오 출력을 하기 위해 넣는 톤.[6] 칠레·콜롬비아·대만·필리핀 등.[7] LinnDrum LM-2가 노래에 사용되었다.[8] 야먀하 DX-7 신스로 강하게 추정된다. 위의 The Most Mysterious Song On The Internet에 쓰인 신스와 같은 신스다.[9] 일본의 프로젝트 밴드인 오메가 트라이브에서 보컬로 활동한 일본계 브라질인 남가수다.[10] 이름을 보면 알겠지만 남성이 아닌 여성 가수인데 이 사람의 곡 중 Mirror Mirror라는 곡이 잠깐 동안 로스트웨이브가 된 적 있었다. 당시 공개된 샘플의 목소리가 Everyone Knows That의 보컬과 매우 비슷하고 실제로도 몇몇 사람들은 해당 곡의 보컬이 여성인 것 같다는 주장을 하기도 했다.[11] 각각 미국, 캐나다의 공연권 단체이다.[12] 곡의 원래 리듬 트랙은 찾았으나, 신스와 보컬 트랙을 찾지 못했다고 한다.[13] 발견 전까지 모두가 Everyone Knows That로 알고 있었으나, 필립 아드리안 부스와의 인터뷰와 그가 인스타그램에 공개한 가사를 통해 It으로 밝혀졌다. 다만 발견 전까지 오랜 시간을 That로 불렸기 때문에, 현재도 해당 가제로 더 많이 불리는 편이다.[14] 사실 이전에도 포르노의 BGM이라는 추측은 있던 것으로 보이나 결정적인 증거는 없었던 모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9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9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07 14:01:47에 나무위키 Ulterior Motives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