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john(프로듀서)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VOCALOID 프로듀서 존(じょん)에 대한 내용은 존(프로듀서) 문서
존(프로듀서)번 문단을
존(프로듀서)#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tooboe_yellow.png
john|TOOBOE
파일:TOOBOE_profile.jpg
프로필 일러스트 ▼
파일:E8Lpaxyf_400x400.jpg
이름john / TOOBOE
국적
파일:일본 국기.svg

직업작곡가, 작사가, 싱어송라이터, VOCALOID 프로듀서
데뷔2019년 'インフェリオリティー' (보컬로이드 프로듀서)
2020년 디지털 싱글 〈赫い夜〉 (싱어송라이터)
레이블파일: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일본) 로고.svg (2022 ~)
링크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개인)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스태프)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오피셜 팬클럽 '敗北倶楽部(패배구락부)'

1. 개요
2. 활동 및 특징
3. 작품 목록
4. 디스코그래피
4.1. john 명의
4.1.1. 앨범
4.1.1.1. 1st 앨범 《ANGRY DOG》
4.1.1.2. 2nd 앨범 《ROSE》
4.1.1.3. 3rd 앨범 《ミゼラブル》
4.1.2. 기타
4.1.2.1. 어레인지 앨범 《john sleep》
4.1.2.2. 어레인지 앨범 《john 8bit》
4.2. TOOBOE 명의
4.2.1. EP
4.2.1.1. 1st EP 《錠剤
4.2.2. 앨범
4.2.2.1. 1st 앨범 《千秋楽》



1. 개요[편집]


파일:a306427115a2aa5a7d4ec51953e058fe-1024x538.png

일본의 VOCALOID 프로듀서이자 작곡가, 싱어송라이터.


2. 활동 및 특징[편집]


2019년 4월 유튜브니코니코 동화에 데뷔곡 'インフェリオリティー(인페리어리티)'를 발표하며 VOCALOID 프로듀서로서 처음 활동을 개시했다. 사용하는 보컬로이드는 하츠네 미쿠 뿐.

상당수의 뮤직 비디오를 직접 만들었으며, 그림 실력이 꽤 준수하다. 뮤비의 캐릭터들은 john villanins로 불린다. 적지만 팬층이 꽤 있다.# john 자신이 트위터에서 밝히기론 이름은 딱히 정해져 있지 않으므로 마음대로 불러 달라고. 가장 인기 있는 캐릭터는 피안에 등장하는 여자아이로, 단독 라인 스탬프로도 나왔다.#

2020년부터는 TOOBOE 명의로 싱어송라이터 활동도 하고 있다. 엄밀히는 john에 의한 '솔로 프로젝트'를 표방하며, 보컬로이드 프로듀서로서 사용하는 john 명의를 본 명의로 둔 채 개인 싱어송라이터 활동을 비롯해 외부 곡 제공이나 리믹스 활동 등은 TOOBOE 명의를 사용해 활동하는 중. 명의는 멀리서 들려오는 개나 늑대의 울음소리를 의미하는 '遠ぼえ(とおぼえ)'를 로마자 표기한 것으로, '토오보에'로 읽는다. 2020년 10월 28일 발매된 디지털 싱글 〈赫い夜(밝은 밤)〉을 통해 활동을 개시했으며, 2022년 4월 20일 발매된 디지털 싱글 〈心臓(심장)〉으로 메이저 데뷔했다.

곡에 A라고 쓰고 B로 읽는 가사가 자주 나온다.


3. 작품 목록[편집]



3.1. VOCALOID 프로듀서 활동[편집]



3.1.1. VOCALOID 오리지널 곡[편집]


번역명원제가수링크투고일
인페리어리티インフェリオリティー하츠네 미쿠파일:유튜브 아이콘.svg2019년 4월 9일
좀비 헐레이션ゾンビハレーション하츠네 미쿠파일:유튜브 아이콘.svg2019년 4월 9일
퀘스천 마크クエスチョンマーク하츠네 미쿠파일:유튜브 아이콘.svg2019년 4월 14일
하츠네 미쿠파일:유튜브 아이콘.svg2019년 4월 16일
rabbitraibbit하츠네 미쿠파일:유튜브 아이콘.svg2019년 4월 17일
vijinvijin하츠네 미쿠파일:유튜브 아이콘.svg2019년 4월 23일
어리석은 자愚か者하츠네 미쿠파일:유튜브 아이콘.svg2019년 6월 8일
연회하츠네 미쿠파일:유튜브 아이콘.svg2019년 7월 23일
agehaageha하츠네 미쿠파일:유튜브 아이콘.svg2019년 8월 3일
칼라 루라キャラルラ하츠네 미쿠파일:유튜브 아이콘.svg2019년 8월 29일
검은 인연黒縁하츠네 미쿠파일:유튜브 아이콘.svg2019년 9월 21일
salavasalava하츠네 미쿠파일:유튜브 아이콘.svg2019년 9월 28일
복수[1]返り討ち하츠네 미쿠파일:유튜브 아이콘.svg2019년 10월 21일
낭연狼煙하츠네 미쿠파일:유튜브 아이콘.svg2019년 10월 31일
맹수猛獣하츠네 미쿠 파일:유튜브 아이콘.svg2019년 11월 20일
춘람春嵐하츠네 미쿠파일:유튜브 아이콘.svg2019년 12월 7일
라즈베리 포이즌ラズベリーポイズン하츠네 미쿠파일:유튜브 아이콘.svg2020년 1월 9일
SISTERSSISTERS하츠네 미쿠파일:유튜브 아이콘.svg2020년 2월 9일
코요테コヨーテ하츠네 미쿠파일:유튜브 아이콘.svg2020년 3월 22일
앳 홈 크레이지アットホーム・クレイジー하츠네 미쿠파일:유튜브 아이콘.svg2020년 4월 7일
피안ヒガン하츠네 미쿠파일:유튜브 아이콘.svg2020년 5월 22일
미제라블ミゼラブル하츠네 미쿠파일:유튜브 아이콘.svg2020년 8월 4일
KABUKIKABUKI하츠네 미쿠파일:유튜브 아이콘.svg2021년 4월 7일
언밸런스アンバランス하츠네 미쿠파일:유튜브 아이콘.svg2021년 6월 26일
약자弱者하츠네 미쿠파일:유튜브 아이콘.svg2021년 10월 10일
캐서린キャサリン하츠네 미쿠파일:유튜브 아이콘.svg2022년 2월 18일
출현出現하츠네 미쿠파일:유튜브 아이콘.svg2022년 4월 1일
BLINDNESS[2]BLINDNESS하츠네 미쿠파일:유튜브 아이콘.svg2023년 9월 10일


3.1.2. CeVIO 오리지널 곡[편집]


번역명원제가수링크투고일
행복しあわせ세카이파일:유튜브 아이콘.svg2022년 7월 27일
굿 바이グッド・バイROSE파일:유튜브 아이콘.svg2023년 6월 9일

3.1.3. 달성 기록[편집]


* 춘람이 2021년 7월 2일에 VOCALOID 전설입성 달성.
* 피안이 2022년 8월 3일에 VOCALOID 전설입성 달성.


3.2. 외부 제공 곡[편집]




4. 디스코그래피[편집]



4.1. john 명의[편집]



4.1.1. 앨범[편집]



4.1.1.1. 1st 앨범 《ANGRY DOG》[편집]


4.1.1.2. 2nd 앨범 《ROSE》[편집]


4.1.1.3. 3rd 앨범 《ミゼラブル》[편집]


4.1.2. 기타[편집]



4.1.2.1. 어레인지 앨범 《john sleep》[편집]


4.1.2.2. 어레인지 앨범 《john 8bit》[편집]


4.2. TOOBOE 명의[편집]



4.2.1. EP[편집]



4.2.1.1. 1st EP 《錠剤[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 錠剤#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st EP
錠剤
알약
파일:tooboe_tablet_ep.jpg
2022. 11. 09.
트랙제목비고
1錠剤 (알약)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ivory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まるで亡霊 (마치 망령)
4ヤング (영)

파일:tooboe_tablet_ep_limited1.jpg
파일:tooboe_tablet_ep_limited2.jpg
초회한정반기간생산한정반
애니메이션 체인소 맨 4화 엔딩 테마로 타이업된 '錠剤(알약)'을 표제곡으로 발매되는 첫 EP.

4.2.2. 앨범[편집]



4.2.2.1. 1st 앨범 《千秋楽》[편집]

1st Album
千秋楽
천추락
파일:tooboe_senshuraku.jpg
2021. 12. 22.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트랙제목비고
1視界 (시야)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異星人 (외계인)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アンバランス (언밸런스)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이상해)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赫い夜 (밝은 밤)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ブルーマンデー (블루 먼데이)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爆弾 (폭탄)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だれそかれ파일:유튜브 아이콘.svg
9未熟 (미숙)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ダーヴィン (다윈)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1(보라)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濃霧 (짙은 안개)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3純白 (순백)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4千秋楽 (천추락)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기존 디지털 싱글로 발매한 6곡과 john 명의로 발표했던 보컬로이드 곡 언밸런스의 셀프 커버 버전, 신곡 7곡을 묶은 첫 풀 앨범. 표제곡과 앨범의 타이틀인 천추락(센슈우라쿠)은 연극이나 스모 등 대회나 공연의 마지막 날을 의미한다.


5. 논란[편집]


니루 카지츠 문서의 논란 항목 참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6 08:27:09에 나무위키 john(프로듀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원문의 의미는 복수하려다가 도리어 죽음을 당한다는 뜻이다.[2] 모바일 게임 \#컴파스 전투섭리분석시스템 캐릭터 나니가시 테마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