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덤프버전 :

갓 관
부수
나머지 획수
, 7획
총 획수
9획
고등학교
-
일본어 음독
カン
일본어 훈독
かんむり, かぶ-る, かむ-る
-
표준 중국어
guān, guà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冠은 '갓 관'이라는 한자로, '갓', '갓을 쓰다', '으뜸' 등을 뜻한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중국어표준어guānguàn
광동어gun1gun3
객가어kônkon
민북어gúinggu̿ing
민동어guăngguáng
민남어koankoàn
오어kuoe (T1)kuoe (T2)
일본어음독カン
훈독かんむり, かぶ-る, かむ-る
베트남어quanquán

유니코드에는 U+51A0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BMUI(月一山戈)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덮을 멱), (마디 촌)과 소리를 나타내는 (으뜸 원)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원래 갑골문에서는 (모자 모)와 元이 결합한 형태였으나, 대전으로 오면서 元 옆에 손을 나타내는 (마디 촌)이 추가되고, 冃는 冖으로 바뀌었다.

이 글자는 원래 다음자(多音字)로, '갓', '모자'와 같은 뜻을 나타낼 때는 평성으로, '갓을 쓰다', '으뜸', '일등하다'와 같은 파생된 뜻을 나타낼 때는 거성으로 읽는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3.6. 기타[편집]



4. 유의자[편집]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도적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