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덤프버전 :


오히려 상
부수
나머지 획수
, 5획
총 획수
8획
중학교
일본어 음독
ショウ
일본어 훈독
くわ-える, たっと-ぶ, とうと-ぶ, なお
표준 중국어
shàng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2.1. 모양 및 기원
3. 용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尙은 '오히려 상'이라는 한자로, '오히려' 또는 '숭상(尙)하다'를 뜻한다. 그래서 '숭상할 상'이라고도 한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오히려
중국어표준어shàng
광동어soeng6
객가어song
민동어siông
민남어siōng[文] / siūⁿ, sióng[白]
오어zaan (T3)
일본어음독ショウ
훈독くわ-える, たっと-ぶ, とうと-ぶ, なお
베트남어chuộng, thượng
유니코드에는 U+5C19에 배정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XXFBR(難難火月口)로 입력한다.


2.1. 모양 및 기원[편집]


훈을 나타내는 (여덟 팔)과 음을 나타내는 (향할 향)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사실 尙을 표준자형으로 삼는 나라는 한국 밖에 없으며, 다른 나라에선 尚의 이체자로 취급된다.[1] 강희자전에서 표준으로 삼는 자형은 尙 쪽. 속자가 본자를 밀어내고 자리잡았다는 점에서 어찌보면 (강할 강)과 상황이 비슷하다. 그러나 强은 강희자전에서는 強의 속자로 취급하며, 한국 외에 중국에서도 자주 사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2] 그리고 한자검정시험에서도 달리 이 점에 대해 의식하고 있지도 않는 상황이라는 점도 다르다.[3]

참고로 尚은 구성자로 자주 사용되는데, 마치 龸 + 口로 되어 있는 머리형 부수와 같은 모양으로 자주 출현한다. 이러한 구성자를 갖고 있는 한자들은 음이 대부분 '당' 또는 '상'이다. , , , , , 등등. '장' 음은 외에는 별로 없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인명[편집]




3.3. 지명[편집]




3.4. 창작물[편집]




4. 유의자[편집]


  • (오히려 유)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향할 향)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20:41:48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文] 문독[白] 백독[1] 표준 자형만 다르다 뿐이지 한국에서도 손으로 필기할 때에는 대부분 丷 모양으로 쓴다. 비슷한 자형인 平, 半도 마찬가지이다.[2] 단, 일본은 인정하고 있지 않는 자형이다.[3] 強은 한자검정시험에서 强이라고 쓰면 오답처리를 시키는데, 尙은 그렇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