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덤프버전 :


끌 인
부수
나머지 획수
, 1획
총 획수
4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イン
일본어 훈독
ひ-く, ひ-ける
-
표준 중국어
yǐ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개요[편집]


引은 '끌 인'이라는 한자로, '끌다'를 뜻한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끌다
중국어표준어yǐn
광동어jan5
객가어yîn, yín
민동어īng
민남어ín[文] / íⁿ[白]
오어hhin (T3)
일본어음독イン
훈독ひ-く, ひ-ける
베트남어dẫn

유니코드에는 U+5F15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NL(弓中)로 입력한다.

활을 나타내는 (활 궁), 그리고 (뚫을 곤, 세로선)이 합쳐졌다. 세로선이 무엇을 본뜬 것인지는 알기 어렵기 때문에 회의자로 보기도 하고 지사자로도 본다. 금문 상에는 弓 자의 꽁무늬에 꼬리처럼 생긴 지사부호가 달려 있는 것으로 표현되었으나, 전서에 와서는 弓+丨의 형태로 고정되어 지금에 이르게 되었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4. 유의자[편집]




5. 상대자[편집]




6.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편집]


  • (비웃을 신)
  • /(하물며 신)
  • (가슴걸이 인)
  • 𢪉(끌 인)[1]
  • (대나무이름 인)
  • 𦙢(등살 인)
  • (등살 인, 흠집 진)
  • (주석 인)
  • (지렁이 인)
  • (풀이름 인)
  • (헥토미터 인)
  • (눈동자 진)
  • (쇠고삐 진)
  • 𧿯(무릎꿇을 호)
  • 𢏄(강)
  • 𡗵(고)
  • 𠀓(사)
  • (인)
  • 𨈧(인)
  • 𠇁
  • 𠒒
  • 𡛅
  • 𪵰
  • 𣏖
  • 𫙒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17:22:34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