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덤프버전 :


숫자 한자
[ 펼치기 · 접기 ]

/()()()()()
()()()()()
()廿(이십)(삼십)(사십)()
--
1(이백)()()()()
----
()()()()()
-----
()()()()
----
※회색 칸 안의 한자는 갖은자이다.

1 다만 이백 벽의 경우 후저우의 건축물인 '비쑹루(皕宋樓, 벽송루)'를 제외하고는 용례가 일절 없다.



깨뜨릴 팔
부수
나머지 획수
, 7획
총 획수
10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ハチ, ハツ, ベツ
일본어 훈독
さば-く, さば-ける, は-かす, は-ける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捌은 '깨뜨릴 팔'이라는 한자로, '깨뜨리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여덟 팔)의 갖은자로도 쓰인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깨뜨리다, 여덟
중국어표준어
광동어baat3
객가어pat
민동어báik
민남어pat[文] / poeh[文]
오어paq (T4)
일본어음독ハチ, ハツ, ベツ
훈독さば-く, さば-ける,
は-かす, は-ける
베트남어bát

유니코드에는 U+634C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手口尸弓(QRSN)으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손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다를 별)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4. 유의자[편집]


  • (부술 쇄)
  • (깨뜨릴 파)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19:10:33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文] A B 백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