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덤프버전 :


가르칠 훈
부수
나머지 획수
, 3획
총 획수
10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クン, キン
일본어 훈독
おし-える, よ-む
표준 중국어
xù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訓은 가르칠 훈이라는 한자로, '가르치다', '한자의 새김(뜻)'을 뜻한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가르치다
중국어표준어xùn
광동어fan3
객가어hiun
민북어he̤̿ng
민동어hóng
민남어hùn
오어xyn (T2)
일본어음독クン, キン
훈독おし-える, よ-む
베트남어huấn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인명[편집]




3.3. 기타[편집]




3.4. 광동어[편집]


  • 구어로 fan3에는 잠을 잔다는 의미가 있으며, 이에 따라 잔다는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눈 목)을 더한 瞓을 사용한다[1].

  • 물론 본자인 訓을 쓰지 않는 것은 아니다. 校訓(haau6 fan3 교훈) 등.


4. 유의자[편집]


  • 가르치다
    • (가르칠 교)
    • (가르칠 미)


5. 상대자[편집]


  • 가르치다
    • (익힐 습)
    • (배울 학)
    • (소리 음)


6.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1] 瞓覺(fan3 gaau3) 잠을 자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