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덤프버전 :


허락할 허
부수
나머지 획수
, 4획
총 획수
11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キョ
일본어 훈독
ゆる-す, がり, ばか-り, もと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자원
4. 용례
5. 유의자
6. 상대자
7. 모양이 비슷한 한자
8.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개요[편집]


許자는 허가하다, 허락하다를 의미하며 한국과 중국의 성씨로 사용된다.


2. 상세[편집]


뜻을 나타내는 (말씀 언)과 소리를 나타내는 (낮 오)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처럼 "이것"이라는 뜻의 근칭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수사 뒤에 붙어서 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유니코드에는 U+8A31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YROJ(卜口人十)로 입력한다.



3. 자원[편집]


출전원문해설
설문해자聽也。从言午聲。
청대
단옥재
설문해자주
𦗟言也。
𦗟從之言也。耳與聲相入曰𦗟。引伸之凡順從曰𦗟。許、或假爲所。或假爲御。下武傳。許、進也。卽御進也。東平王蒼正作昭茲來御。又爲鄦之叚借字。
从言。午聲。
虚呂切。五部。


4. 용례[편집]



4.1. 단어[편집]




4.2. 고사성어/숙어[편집]




4.3. 인명[편집]





15년 통계청 집계 기준 대한민국 인구 326,770명, 전체 29위의 성씨로 주요 본관으로는 양천(陽川)과 김해(金海)가 있다. 자세한 사항은 허(성씨) 문서 참조. 아래 예시는 대표적인 허씨들.


4.4. 지명[편집]




4.5. 기타[편집]



4.6. 중국어[편집]


  • 许 [xǔ]
    • 동) 허가하다
      • 예) 允许 [yŭnxŭ]: 허락하다
      • 예2) 不许 [bùxŭ]: 불허하다
      • 예3) 特许 [tèxŭ]: 특허하다
    • 동) 칭찬하다
      • 예) 赞许[zànxŭ]: 칭찬하다
    • 동) 약속하다
    • 동) 약혼하다
    • 동) 바치다, 주다
    • 부) 아마도, 혹시
    • 부) ~가량, ~정도
      • 예) 少许 [shăoxŭ] : 약간쯤
    • 부) 대단히, 매우
      • 예) 许多 [xŭduō]: 상당히 많은
    • 부) 이와같은
      • 예) 如许 [rúxŭ]: 이와같은

4.7. 일본어[편집]



4.7.1. 훈독[편집]


  • 훈독
    • 상용한자표내
      • ゆる-す
    • 상용한자표외
      • もと
  • 許す(ゆるす, JLPT N3): 허가하다. 허락하다


4.7.2. 음독[편집]


  • 음독
    • 오음(呉音): コ(표외)
    • 한음(漢音): キョ
  • 許可(きょか, JLPT N3): 허가


4.7.3. 기타[편집]


  • 許嫁·許婚(いいなずけ): 약혼자[1]


5. 유의자[편집]


  • 𠱓(허락할 궤)
  • (허락할 낙)


6. 상대자[편집]


  • (금할 금)


7.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거스를 오)
  • 𩵱[⿰魚午](농어 오)
  • 𠵦[⿰吾午](만날/거스를 오)
  • /(밝을 오)
  • (사람이름 오)
  • (짝 오)
  • (개가싸울 우, 소가울 후, 진언 흠)
  • (공이 저)
  • (산이름 허)
  • (물가 호)[2]
  • 𠖴[⿰冫午]
  • 𪞸[⿰㐫午]
  • 𡉦[⿰土午]
  • 𭘔[⿰巾午]
  • 𱙈[⿰女午]
  • 𪭟[⿰扌午]
  • 𢨵[⿰戶午]
  • 𭠕[⿰手午]
  • 𰝿[⿰火午]
  • 𥘪[⿰示午]
  • 𥄭[⿰目午]
  • 𥐭[⿰石午]
  • 𫀩[⿰禾午]
  • 𬑩[⿰睡午]
  • 𥾿[⿰糸午]
  • 𰭷[⿰耳午]
  • 𲆨[⿰酉午]
  • 𫒍[⿰金午]


8.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14:21:48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훈독하기 어려운 숙자훈으로 유명하다. 일본 학교에서 국어 시험에 이 단어의 훈독을 묻는 문제가 나오기도 한다.[2] (물가 호)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