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덤프버전 :

국명·지명 한자 약칭
[ 펼치기 · 접기 ]

대륙
· · ·
아시아유럽(구라파)아프리카아메리카오스트레일리아
국가
· · ·
[1]
· ·
[2]
남한(한국)북한(조선)중국중화민국(대만)[3]일본
· ·
몽골(몽고)미국영국캐나다(가나다)오스트레일리아(호주)
· · ·
프랑스(불란서)독일오스트리아(오지리)이탈리아(이태리)네덜란드(화란)
西 ·
스페인(서반아)포르투갈(포도아)러시아(노서아·아라사)인도인도네시아(인니)
· ·
말레이시아태국필리핀(비율빈)베트남(월남)이집트(애급)
· ·
폴란드(파란)아일랜드(애란)덴마크(정말)스웨덴(서전)노르웨이(나위·낙위)
·
그리스(희랍)핀란드(분란)남아공벨기에(백이의)헝가리(흉아리·홍아리)
西西
스위스(서서)튀르키예(토이기)멕시코(묵서가)브라질(파서)아르헨티나(아근정)
사라진 나라
·
가야고구려 · 고려백제신라조선
로마 제국(대진)소련프로이센류큐
지명
滿
아시아태평양만주캘리포니아로스앤젤레스샌프란시스코
워싱턴 D.C.모스크바베를린로마런던
[1] 일본에서 중국을 가리키는 말로 가끔 쓰인다.[2] 주로 일본 내부에서 쓰인다.[3] 華와 臺는 둘 다 대만의 약칭이지만 뉘앙스가 다른데, 華는 중화민국을 강조하는 뉘앙스라면 臺는 대만을 강조하는 뉘앙스이다.



이슬 로
부수
나머지 획수
, 13획
총 획수
21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ロ, (ロウ)
일본어 훈독
つゆ, あらわ, あらわ-す, あらわ-れる
-
표준 중국어
lòu, lù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露는 '이슬 로'라는 한자로, '이슬' 또는 '드러나다'를 뜻한다.


2. 상세[편집]


유니코드는 U+9732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MBRMR(一月口一口)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비 우)와 소리를 나타내는 (길 로)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명사로서는 '이슬'이라는 뜻으로 쓰이지만, '드러나 있다', '노출되어 있다', '드러내다'라는 의미로도 많이 쓰인다.

유명한 술 참이슬은 옛 이름 "진로(眞露)"를 한글로 풀어쓴 것. 아직도 25도의 경우 진로GOLD 라는 상품명을 쓴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 결로(露)
  • 노골적(露): '뼈까지 드러낼 만큼 깊은 속내를 드러낼 정도'를 뜻함. 예) '그의 요구와 의도는 너무 노골적이었다' 등.
  • 노서아(露西): '러시아'의 한자 음차.[1]
  • 노숙자(露宿): 덮개가 없는 한데서 자는 사람. 많은 사람들이 틀리는 부분으로서, 주의해야 한다. 많은 사람들이 '노숙자'를 한자로 적을 때 路(길 로)를 써서 路宿者로 적는데, '길에서 잠을 자는 사람'이다 보니 이런 실수가 나오는 것이다.
  • 노악(露): 악을 드러내다.
  • 노점상(露): 덮개가 없는 한데서 가게를 열고 장사하는 것, 또는 그 사람. 이 또한 '路店商'으로 착각할 법한데 '露店商'이 맞는다.
  • 노천(露): 덮개가 없이 하늘이 보이도록 드러남. 예) 노천광장, 노천극장, 노천광산, 노천온천 등.
  • 노출(露): 밖으로 드러남/드러냄. 예) '햇빛에 장시간 노출되다', '배우 아무개 파격 노출' 등.
  • 백로(露): 24절기의 하나.
  • 토로(露): 밖으로 드러내 말함. 예) '그는 심란한 마음을 나에게 토로했다' 등.
  • 오로(露)
  • 폭로(露): 무언가(숨기거나 쉬쉬하는 것 등)를 터트려 드러냄. 예) '정치인 아무개의 비리를 폭로하다' 등.
  • 피로연(): 널리 베푸는 잔치. '피로'는 '풀어 헤쳐 밖으로 열어 보이다'는 뜻이다.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창작물[편집]



3.5. 기타[편집]


  • 정로환()[2]


4.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17:50:56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러시아어를 露라고 하기도 한다.[2] 露는 앞에서 본 것처럼 노서아 (러시아의 음역)이며, 정로환은 우리가 아는 그 지사제 맞다. 러일전쟁 당시 일제가 이 약을 개발하였고, 그 후에 러일전쟁 승리로 이어져 러시아(露)를 정벌(正)할 때 쓴 둥근 약(丸)을 명명한 것이다. 러일전쟁 후에 어떤 일이 있었는지 아는 한국인들은 열 받을 수 있는 명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