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면라이더 BLACK RX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본작의 주인공 가면라이더에 대한 내용은 가면라이더 BLACK RX(가면라이더) 문서
가면라이더 BLACK RX(가면라이더)번 문단을
가면라이더 BLACK RX(가면라이더)#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가면라이더 시리즈 로고.webp
[ 펼치기 · 접기 ]


[ 관련 인물 ]

원작자
이시노모리 쇼타로
프로듀서
시라쿠라 신이치로타카테라 시게노리타케베 나오미오오모리 타카히토
우츠노미야 타카아키츠카다 히데아키타카하시 카즈히로히카사 준
모치즈키 타쿠히라야마 토오루
각본가
아라카와 나루히사이노우에 토시키코바야시 야스코아이카와 쇼
요네무라 쇼지산죠 리쿠나카시마 카즈키우로부치 겐
타카하시 유야이마이 쇼지키다 츠요시코누타 켄지
코무라 쥰코모리 노부히로나나시노 토리코카이호 노리미츠
하가네야 진하세가와 케이이치후쿠다 타쿠로무토 쇼고
시모야마 켄토카케히 마사야이가미 마사루우에하라 쇼조
우치다 히로키키노시타 한타타카하시 이즈미타카노 미나토
슈트 액터
나카야시키 테츠야이토 마코토에이토쿠오카모토 지로
와타나베 준타카이와 세이지후지타 사토시오카다 카즈야
나카타 유지나와타 유야칸자키 하지메츠카고시 야스나리
토미나가 켄지니이보리 카즈오오노 유우키이마이 야스히코
하루타 쥰이치후쿠자와 히로후미오시카와 요시후미아사이 코스케
오카다 료지야베 케이조미즈타니 타케시나가세 나오키
하시모토 케이코시라이 마사시후지오카 히로시오카다 마사루
나카무라 분야야마구치 타케히사카와라자키 히로시나카무라 유
이와이 준이치카라사와 토시아키오구라 토시히로카네다 신이치
타카다 마사시요코야마 카즈토시이토 노리히토히토미 사나에
사토 다이스케타케우치 야스히로카네코 타츠야츠쿠이 미나미
후지이 유고후지타 요헤이우치카와 지로노베 다이치
아즈마 케이스케카지 코타로사노 나츠미테라모토 쇼고
이와카미 히로카즈아라카와 마코토마츠오카 코헤이아키야마 토모히코
마에다 히로시마크 무사시이토 시게키코모리 타쿠마
사카에 단키하치스카 유이치쿠사노 신스케츠타무네 마사토
이시이 야스아키모리가미 다이스케아리조노 케이고카타오카 츠루타로
아다치 나츠미타카사키 모모카모리 히로츠구미야자와 유키
오오하시 아키라요시다 미즈호스나오시 유미히노 아야코
와타나베 토모타카이가라시 무츠미하야시모토 나나이시가키 히로후미
우사미 스즈카카와시마 쇼타로테라모토 쇼고요네오카 타카히로
이시이 야스아키





가면라이더 BLACK RX(仮面ライダーBLACK RX)
Kamen Rider BLACK RX (1988)
파일:BLACK RX.png
방송 시간파일:일본 국기.svg 매주 일요일 아침 10:00 ~ 10:30 (30분 방영)
방송 기간파일:일본 국기.svg 1988년 10월 23일 ~ 1989년 9월 24일
방송 횟수47부작
제작파일:MBS 마이니치 방송 구 로고.svg, 토에이
채널파일:일본 국기.svg 파일:MBS 마이니치 방송 구 로고.svg, 파일:TBS 테레비 로고(1961~1991).png
원작이시노모리 쇼타로
프로듀서파일:MBS 마이니치 방송 구 로고.svg : 이구치 아키라, 야마다 나오요시
토에이 : 요시카와 스스무. 호리 나가후미
감독코바야시 요시아키
극본에츠레 타카시 외
나레이션마사무네 잇세이
출연쿠라타 테츠오, 스미카와 마코토, 코야마 리키야, 미야마 린 외
첫 에피소드태양의 아들이다! RX(太陽の子だ!RX)

1. 작품 소개
2. 논란
3. 기타
4. 시놉시스
5. 주제가
6. 메인 삽입곡
8. 등장 라이더
9. 방송 목록
10. 관련 작품
11. 게임


오프닝


1. 작품 소개[편집]


쇼와 라이더 시리즈 3기의 두 번째 작품이자, 쇼와 라이더 텔레비전 시리즈의 마지막 작품.[1] 가면라이더 BLACK의 후속작이며, 현재까지 모든 가면라이더 시리즈 중 유일하게 한 명의 주인공이 연투한 작품이다. 우주형사 시리즈 제작진들이 맡았지만 이전 작품들의 어둡고 진지한 분위기를 끌고 간 전작과는 달리, 본작에서는 '온가족이 즐길 수 있는 컨셉'으로 전체적으로 유쾌한 분위기의 활극이 되었다.[2] 참고로 세계관이 전작이랑 조금 연결되긴 한다.

전작에서 고르곰을 물리친 미나미 코타로는 이 세계인 괴마계의 크라이시스 제국에 납치되어 동료가 될 것을 종용받지만 거절한다. 이에 크라이시스 제국은 코타로의 변신능력을 없애버리고[3] 우주공간에다 버리는데, 기적적으로 변신벨트의 킹스톤이 태양빛과 반응하여 코타로는 태양의 아들 가면라이더 BLACK RX로 파워업하여 부활, 크라이시스와 맞서게 된다.

본작에서는 가면라이더 시리즈 전통과 역사의(?) 필살기인 라이더 킥의 비중이 뚝 떨어지고, 필살기는 인 리볼케인으로 사용하는 리볼 크래시다. 여기에 전용 차량 라이드론[4]을 타기도 하고, 을 사용하는 '로보 라이더'와 '바이오 라이더'라는 2단 변신까지 선보였다. 이는 기존의 가면라이더 시리즈와 차별성을 두려는 새로운 시도이기도 했지만, 기존 라이더 팬들에게는 "제작진이 드디어 본색을 드러냈다"는 원성이 일었다.

작품의 분위기가 바뀐 것에 대해 타카테라 시게노리는 BLACK 때 호리 나가후미 프로듀서는 어둡게 하자고 했고, 요시카와 스스무 프로듀서는 밝게 하자고 의견이 갈렸는데 BLACK은 호리의 의견을 따르고, RX는 요시카와의 의견을 따른 것이라고 한다.

코바야시 료헤이(小林良平)라는 배우 말에 따르면 원래 속편 TV판 기획이 있었고 자신이 신작의 주인공일 예정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왠지 취소되었다고. 요시카와 스스무가 훗날 밝히길 가면라이더를 패러디한 코미디 가면노리다가 인기를 끄는 걸 보고 화가 나서 프로젝트를 접었다고 한다.


2. 논란[편집]


쇼와 라이더냐 헤이세이 라이더냐는 논쟁이 있었다. 1988년 10월 23일부터 방송을 시작했는데, 방송 후 2개월 정도 지난 1989년 초에 쇼와에서 헤이세이로 넘어갔기 때문. 헤이세이로서 방송하던 기간이 더 길긴 하지만 방영 시작 시점이 쇼와 시대이고 같은 주인공의 연작이라는 점, 가면라이더 쿠우가의 '본 작품 이후 맥이 끊겼던 가면라이더 시리즈 TV판의 부활'이라는 상징성 등을 이유로 이 작품은 쇼와 라이더로 취급한다. 쇼와 라이더의 마지막 작품 나중에 본작의 상황과 매우 비슷한 작품인 가면라이더 빌드가 진행된다. 다만, 가면라이더 빌드는 종영 시기로 추정되는 2018년 9월이 되어서야 연호 논란이 해소가 되었지만, 가면라이더 빌드 다음 작품인 가면라이더 지오가 2019년 4월 30일부로 헤이세이가 끝남으로 이 연호 논란에 휩싸일 가능성이 있을 줄 알았더니 지오 종영 후 차기작이자 레이와 라이더 첫 작품인 가면라이더 제로원이 나와서 엄연히 헤이세이 라이더로 취급되었다.

클라이맥스 부분에서 크라이시스가 침략한 이유가 괴마계가 지구의 오염의 영향을 받아 사람이 살 수 없게 된 탓에 지구로 이주하기 위해서였다는 충격적인 진실이 밝혀지는데, 그래도 RX는 크라이시스 황제를 문답무용으로 죽이고 괴마계를 멸망시켜 버린다. 이 장면은 명장면으로도 회자되긴 하나, 그로 인해 괴마계가 박살 나면서 라이더 사상 최악의 학살자라는 명칭으로 부르는 사람도 생겼다. 참고로 괴마계의 인구는 50억.[5][6]

그러나 학살자라고 단정할 수는 없는 게, 우선 극 중에서 '황제가 나타난 후 괴마계는 황폐해졌다'라는 발언이 있었고, 크라이시스 황제가 즉위한 것은 인간의 문명이 자연을 오염시킬 정도로 발전하기도 훨씬 전인 1000년도 전이었기에, 황제의 발언은 RX를 동요시키기 위한 거짓말일 가능성도 있으나 진실은 저 너머에. 그런데 황제가 '날 죽이면 이 세계는 박살 난다, 괜찮은 거냐!' 같은 발언도 하지 않았기에 이걸 모른 RX에게 모든 책임을 묻는 건 너무한 게 아니냐는 견해도 있다. 또한 50억 주민이 죽은 것은 어디까지나 황제가 죽는 순간 당돌하게 RX와 같이 자폭한 게 원흉이며, 황제 끔살이 괴마계 소멸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없다면서 변호하는 사람도 있다. 중반부에는 크라이시스 측이 매연을 심화시켜서 지구의 대기오염을 가속시키려는 작전을 꾸민 적도 있기 때문에 황제의 말이 RX를 동요시키려는 거짓말이라고 보는 사람들도 있다.


3. 기타[편집]


  • 1995년에 미국에서 '마스크드 라이더'라는 제목으로 리메이크되어 방영한 적이 있다. 참고로 여기서의 RX는 외계 행성의 왕자님이라는 설정(!) 별에서 온 RX 동시기에 방영한 마이티 몰핀 파워레인저와 크로스오버 에피소드를 성사시키며 야심차게 출발하였으나, 시청률은 부진을 면치 못했다. 그도 그럴 것이 원판 영상과 맞지 않는 과하게 가벼운 분위기와 맨몸액션 장면마저 대부분 일본판의 재탕으로 때웠을 정도[7]로 퀄리티가 좋지 않았기 때문. 또한 '변신 벨트'같은 완구가 미국 어린이들에게는 잘 먹히지 않아서 완구 수익을 취하는데 고전했다고도 한다. 결국 1시즌 만에 제작이 종료되었다.[8]

  • <가면라이더: 세계를 달리다(仮面ライダー 世界に駆ける)>라는 단편 영화가 있다. 1989년 4월 29일 개봉하였으며, 가면라이더 시리즈 최초의 3D 영화라는 의의가 있는 작품. 크라이시스 제국의 계략에 의해 블랙 상태로 돌아가버린 미나미 코타로에게 미래에서 온 블랙 RX, 로보 라이더, 바이오 라이더가 나타나 넷이 한 자리에 모여서 같이 싸운다는 크로스 오버 스토리이다.

  • 본 작품에서 성우가 되기 전 배우 활동을 하던 나카타 조지코야마 리키야, 아역배우 시절의 혼나 요코가 출연했다는 건 유명한 이야기.그리고 현재 베테랑 여성배우인 마리바론 역의 배우 타카하타 아츠코가 유명해지는 계기를 만들었다.

  • 주제가를 부른 가수인 미야우치 타카유키슈퍼전대 시리즈, 메탈히어로 시리즈, 가면라이더 시리즈를 모두 부른 가수 3인 중 1인[9]이 되게 한 작품이기도 하다. 원래 록밴드 보컬이었던 그는 1984년 초전자 바이오맨으로 솔로 데뷔한 이후, 1990년 특경 윈스펙터, 1988년 본 작품의 주제가를 불렀다.



4. 시놉시스[편집]


고르곰 괴멸 후 평화로운 삶을 살던 미나미 코타로에게 새로운 적 크라이시스 제국의 마수가 다가온다.
변신 능력을 빼앗겨 우주 공간에 내던져진 코타로였지만, 체내의 킹스톤에 태양의 빛=우주의 생명의 에너지를 받아 가면라이더 BLACK RX로 진화.
빛의 필살 무기 '리볼케인'을 들고 크라이시스 제국에 대한 반공을 개시했다!

5. 주제가[편집]


  • OP : 가면라이더 BLACK RX(仮面ライダーBLACK RX)(작사: 강진화[10] 작곡, 편곡: 카와무라 에이지 노래: 미야우치 타카유키)듣기

  • ED : 누군가가 널 사랑하고 있어(誰かが君を愛してる)(작사: 강진화 작곡: 하야시 테츠지 편곡: 카와무라 에이지 노래: 미야우치 타카유키)듣기


6. 메인 삽입곡[편집]


  • 처형용 BGM 1 : 빛의 전사(光の戦士)(노래: 미야우치 타카유키)듣기
  • 처형용 BGM 2 : 영원을 위해 너를 위해(永遠のために君のために)(노래: 미즈키 이치로)듣기
  • 처형용 BGM 3 : 운명의 전사(運命の戦士)(노래: 미야우치 타카유키)듣기


7. 등장인물[편집]




8. 등장 라이더[편집]


파일:rx ff.jpg
가면라이더 BLACK RX에서 등장하는 가면라이더 사진
미나미 코타로 / 가면라이더 BLACK RX

라이더명변신 캐릭터전용 비클변신 아이템첫 등장 에피소드
파일:BLACK RX 로고.png가면라이더 BLACK RX미나미 코타로아크로밧타선 라이저1화


9. 방송 목록[편집]


방송일화수서브 타이틀감독각본등장 괴인시청률[11]특이사항
1988/10/23제1화태양의 아들이다! RX괴마요족 스컬마, 괴마요족 스컬 마스터10.7%RX 첫 등장, 괴마요족 첫 등장.
1988/10/30제2화빛을 받아라! RX괴마로봇 큐브리칸9.0%괴마로봇 첫 등장.
1988/11/06제3화RX 대 바람의 기사괴마수인 가이나 기스칸6.3%괴마수인 첫 등장.
1988/11/13제4화빛의 차 라이드론괴마로봇 건가딘11.0%라이드론 첫 등장.
1988/11/20제5화동굴탐사의 함정괴마수인 가이나 가모스11.5%
1988/11/27제6화괴마 ET 대폭주!괴마이생수 큐르큐르텐12.0%괴마이 생수 첫 등장.
1988/12/04제7화SOS! 우정의 수레괴마요족 무진12.0%
1988/12/11제8화아빠와 엄마의 비밀괴마수인 가이나 마이트13.0%
1988/12/18제9화마리바론의 요술괴마이생수 앗치팻치, 괴마요족 스컬마10.9%
1988/12/25제10화가짜로 깜짝괴마이생수 도그마로그마11.2%
1989/01/15제11화스크랩의 반란괴마로봇 스쿠라이드10.3%
1989/01/22제12화꿈 속의 암살자괴마요족 스노우진11.0%
1989/01/29제13화노려진 괴마소녀괴마이생수 후라미그라미9.1%
1989/02/05제14화히토미 유괴괴마로봇 데스가론8.1%
1989/02/12제15화로보 라이더 탄생!괴마로봇 트리프론 1호, 트리프론 2호, 트리프론 3호9.3%로보 라이더 첫 등장.
1989/02/19제16화기적의 계곡의 공주괴마로봇 넥스티커7.9%안개의 죠 첫 등장, 로보이저 등장.[12]
1989/02/26제17화바이오 라이더!괴마로봇 합체 트리프론9.0%바이오 라이더&마크 재버 첫 등장.
1989/03/05제18화괴! 꿈의 공중유영괴마이생수 무사라비사라10.8%
1989/03/12제19화공포의 인공태양괴마로봇 쿠로이젤, 괴마요족 스컬마7.3%
1989/03/19제20화바나나를 먹는 도깨비괴마요족 뱟키7.9%마크 재버 재등장.
1989/03/26제21화사랑과 우정의 전선괴마이생수 방공7.7%
1989/04/02제22화섀도우 문 !괴마이생수 안트론트, 섀도우 문8.2%섀도우 문 부활.
1989/04/09제23화돼지가 된 RX!괴마수인 가이나 바라스6.7%
1989/04/16제24화아빠는 드라큘라괴마이생수 릭백9.1%
1989/04/23제25화전갈좌의 신부괴마수인 가이나 카마킬, 괴마수인 가이나 긴감10.2%
1989/04/30제26화보스간의 반격8.5%
1989/05/07제27화대역습! 그림자의 왕자괴마이생수 매트보트, 섀도우 문11.1%섀도우 문 재등장 및 두번째 사망.
1989/05/14제28화황제 폐하의 대리인괴마이생수 기메라고메라7.1%사찰관 다스마다 대령 첫 등장.
1989/05/21제29화물이 없는 세계괴마이생수 문데간데10.0%마토바 쿄코 첫 등장. (30화 까지)
1989/05/28제30화내일이 없는 도쿄 사막괴마로봇 메타헤비6.0%
1989/06/04제31화괴마계를 본 여인괴마로봇 에레기트론7.2%
1989/06/11제32화사랑과 희망의 큰 하늘괴마요족 감마, 괴마요족 스컬마9.5%
1989/06/18제33화세토대교의 대결전괴마이생수 가조라게조라8.8%
1989/06/25제34화시코쿠 항공모함화 계획!!괴마로봇 슈라이진10.4%
1989/07/02제35화코타로 지명수배!!괴마요족 윌키11.0%
1989/07/09제36화히어로는 누구냐!?괴마이생수 바룬보룬8.9%
1989/07/16제37화포효하는 수인 닌자대괴마수인 가이나 닌포7.7%마크 재버 마지막 등장.
1989/07/23제38화백골원의 요무단괴마요족 텐쿠8.1%마토바 쿄코 재등장.
1989/07/30제39화폭주! 미니 4WD괴마로봇 스핀 그레이9.9%
1989/08/06제40화유령 단지의 함정괴마수인 가이나 쟈그람10.7%괴마수인 전멸.
1989/08/13제41화백눈할멈의 공포괴마요족 백눈할멈7.4%괴마요족 전멸.
1989/08/20제42화4대장은 전원 추방괴마이생수 게돌리돌7.9%괴마이생수 전멸, 게도리안 사망.
1989/08/27제43화지는 건가! RX괴마로봇 헬가뎀9.2%괴마로봇 전멸, 가테존 사망.
1989/09/03제44화싸워라! 라이더 전원최강괴인 그랑 자이러스11.4%역대 가면라이더 등장, 그랑 자이러스 등장, 보스간 사망.
1989/09/10제45화가짜 라이더의 말로영계 괴인들(괴마요족 스컬마스터, 괴마이생수 큐르큐르텐, 괴마요족 스노우진, 괴마이생수 안트론트, 괴마로봇 메타헤비, 괴마로봇 에레기트론, 괴마수인 가이나 카마킬, 괴마수인 가이나 닌포)7.8%그랑 자이러스 폭사, 마리바론이 부상후 안대 장착.
1989/09/17제46화라이더의 총 돌격최강괴인 쟈크 미드라7.2%사하라 슌키치 부부 사망, 쟈크 장군이 쟈크 미드라가 되어 전사.
1989/09/24제47화빛나는 내일(完)크라이시스 황제9.5%마리바론 사망, 차크람 사망, 다스마다가 크라이시스 황제로 진정한 정체를 드러낸 후 사망.


10. 관련 작품[편집]




11. 게임[편집]





[1] 자세한 것은 이 문서로.[2] 다만 전작의 어두운 분위기의 흔적들은 많이 남아있다.[3] 가면라이더 블랙으로 변신하게 해 주는 특수 동면 유전자 MBG를 파괴한다.[4] 베이스 차량이 마쯔다 RX-7이다.[5] 비슷하게 논란이 된 초대 울트라맨의 발탄 성인 난민 20억명을 학살한 일이 있는데 위 설명대로면 RX는 거의 2배가 되는 인구를 학살한 셈.[6] 이후 가면라이더 BLACK SUN에서 괴인 혐오와 관련된 사회 운동이 메인 주제로 나오는 것 또한 이것의 영향이라는 시각이 있다.[7] 주인공의 복장을 최대한 미나미 코타로와 비슷하게 입힌 뒤, 원본 영상에서 얼굴이 나오는 부분만 편집해내고 쓰는 식으로 재탕했다. 그러나 아무리 얼굴이 안 보인다 하더라도 머리스타일, 체형 등이 계속 바뀌는 게 보여서 티가 많이 난다.[8] 만약 인기가 있었더라도, 당시는 일본에서 가면라이더 시리즈가 잠시 제작 중지된 시기였기 때문에 제작을 계속하려면 80년대 라이더 영상을 끌어다 만들어야 했을 판이라 여전히 시리즈화하기에는 어려웠을 것이다.[9] 다른 2명은 이시하라 신이치쿠시다 아키라[10] 재일 한국인이며 초전자 바이오맨 오프닝의 작사도 맡았다.[11] 평균 시청률 9.3%[12]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로보 라이더의 바이크인 로보이저는 딱 이 편에서만 등장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