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버나움

덤프버전 :


나딘 라바키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펼치기 · 접기 ]

파일:Caramel Logo 2.png
파일:Where Do We Go Now Logo.png
파일:Capernaum Logo 3.png
상세정보 링크 열기



파일: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jpg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000,#fff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편}}}''']]



가버나움 (2018)
Capernaum
Capharnaüm
كفرناحوم
파일:96b2f5fcabad4d4e9098becf1d8d76a1.jpg
장르드라마
감독나딘 라바키
각본지하드 호제일리, 나딘 라바키
제작미셸 메르크
주연자인 알 라피아, 나딘 라바키
촬영크리스토퍼 아윈
음악할레드 모우자나르
제작사파일:레바논 국기.svg Boo Pictures
Mooz Films
Clandestino Films
파일:미국 국기.svg Open City Films
수입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그린나래미디어
배급사파일:프랑스 국기.svg Gaumont Distribution
파일:미국 국기.svg Sony Pictures Classic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그린나래미디어
플레이리스트
개봉일파일:레바논 국기.svg 2018년 9월 20일
파일:프랑스 국기.svg 2018년 10월 17일
파일:미국 국기.svg 2018년 12월 1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년 1월 24일
화면비2.35:1
상영 시간121분
제작비400만 미국 달러
월드 박스오피스$64,417,003
북미 박스오피스$1,661,096
대한민국 총 관객 수147,759명 (2022년 11월 18일 기준)
공식 홈페이지페이스북
상영등급파일:영등위_15세이상_초기.svg 15세 이상 관람가

1. 개요
2. 예고편
3. 시놉시스
4. 등장인물
5. 줄거리
6. 평가
7. 흥행
8. 수상 및 후보
9. 기타



1. 개요[편집]


제91회 아카데미 시상식 외국어 영화상 후보

2018년에 제작된 레바논, 프랑스, 미국 3개국 합작 영화.


2. 예고편[편집]





3. 시놉시스[편집]


"나를 세상에 태어나게 한 부모님을 고소하고 싶어요..."
- 출생 기록조차 없이 살아온 어쩌면 12살 소년 '자인'으로부터


4. 등장인물[편집]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 자인 알 하지(자인 알 라피아 분)
파일:자인알하지.jpg
본 영화의 주인공. 셀림과 수아드의 아들로, 주스를 길거리에 나가 팔면서 겨우 연명한다. 교육은 커녕 기본적인 의식주 환경조차 보장받지 못한 가정에서 학대를 받고, 그저 가짜 처방전으로 약을 받아오는 셔틀 취급을 받으며 살다가, 아끼는 여동생 사하르가 강제 조혼으로 아사드의 아내로 팔려나가자 분개하며 가출을 하게 된다. 어려서부터 먹고 사는 법을 스스로 배워야했던 것 때문인지 어린 나이 치고 최고의 생존력을 자랑하는데, 작중 모습을 보면, 거의 사실상 무능한 아버지 밑에서 소년가장으로 식구들을 먹여살리고 있다. 주스 장사가 끝나면 아사드 가게에 가서 일을 하고, 중간중간 가게에서 물건을 슬쩍해오는 식으로 돈을 벌고, 책임감은 눈꼽만큼도 없는 막장 부모 대신 동생들을 챙기고 있다.[1]
못 먹어서 나이에 비해 몸도 작고 말랐지만, 어른들과 욕을 하거나 한치도 물러서지 않고 맞서는 강인한 모습을 보여준다. 물론 그래도 아이기 때문에 가출 이후 놀이동산에서 일하려고 할 때 미성년자란 점 때문에 고용주들에게 퇴짜를 맞거나, 월세를 내는 걸 생각 못해서 퇴거당하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어른들의 꼬드김에도 끝까지 돌보던 요나스도 아스프로가 좋은 집에 입양보내주겠다고 꼬드기자, 결국 거기에 넘어가 요나스를 넘겨주게 되고[2] 이민을 준비한다.
이후 민증을 만들기 위해[3] 집으로 왔다가 사하르가 너무 어린 나이의 임신으로 인해 죽었음을 알게되자, 격노해 그 자리에서 칼을 들고 달려나가 아사드를 찌른다. 그리고 당연히 소년감옥에 가지만, 전화 연결로 이루어진 라디오 방송 인터뷰로 부모를 고발한다. 이후 억울한 사연을 법정에 다 풀어놓으며, 더는 나같이 학대당하는 아이가 없게 함과 동시에 부모가 아이를 못 낳게 해달라고 한다. 곧 태어날 저 뱃 속 아이도 나와 같은 삶을 살게 될거라고......... 덤으로 아스프로에 대해서도 진술하게 되어서 요나스가 구출되는데 도움을 줬다.
그 후 승소한 후에 주민등록증으로 쓸 사진을 최후반부에 찍는다. 이때 자인이 영화에서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제대로 활짝 웃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사실 이것도 처음엔 무표정으로 있다가 사진기사가 이건 신분증 사진이지 사망진단서가 아니라는 말을 한 몇 초 뒤에야 겨우 웃은 것이었다. 영화에서 자인이 웃는 모습은 요나스와 놀아주거나 라힐이 가져온 케이크의 촛불을 끄며 라힐, 요나스와 하나의 가족을 이루는 과정에서도 보여주긴 하나, 후방에서 웃는 모습을 보여주거나 짧게 넘어가는 등 제대로 조명되지 않는다. 자인이 처음으로 웃는 모습을 보여주는 장면은 주유소 직원에게 부탁해서 요나스와 함께 샤워를 할 때다. 엔딩 장면에서의 웃음이 미래에 대한 희망을 드러낸다면, 처음의 웃음은 어린이로서의 천진함을 드러내는 장면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사하르 알 하지(세드라 이잠 분)
파일:사하르와자인.jpg
자인이 특히나 아끼는 여동생. 알 하지 일가가 살고 있는 집의 건물주인인 아사드에게 잘 보이기 위해 부모에 의해서 11살의 나이로 아사드의 부인으로 팔려갔다. 어린 나이에 결혼을 한 후 2, 3개월이 되지 않아 임신을 했다가 하혈이 멈추지 않아 병원에 갔지만, 문 턱을 넘지도 못하고 죽고 만다. 그리고 사하르의 죽음은 자인이 아사드를 칼로 찌르는 계기가 된다.

  • 셀림 알 하지(파디 유세프 분)
자인과 사하르 남매의 아버지. 약을 판매하는 다른 식구들과 달리, 특정한 직업을 가지고 있는지가 묘사되지 않는데, 자인이 학교에 보내달라고 졸라대도 들어주지 않고, 걸핏하면 애들을 욕하고 때리는 등 폭력가장. 하지만 그 역시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나 이렇게 자랐을 뿐이며, 가정을 꾸린 것을 후회한다고 자기 자신을 저주하는 등 사회의 피해자로 묘사된다.[4]

  • 수아드 알 하지(카우사르 알 하다드 분)
셀림의 아내, 자인과 사하르의 어머니. 가난해서 애들을 제대로 먹일 수도, 교육을 시킬 수 없음에도 셀림과 계속해서 아이를 낳고 있다. 첫 아들 자인에다가, 둘째인 사하르를 포함하여 딸만 8명을 두었다. 자인을 학교에 보내주려고 셀림을 설득하는 등 셀림보다는 자식들을 챙기는 편 같지만[5], 남편과 다를 바 없는 인물로, 가혹한 현실을 이기지 못하고 어린 사하르를 아사드의 아내로 보내 버리는데 동의한다. 그리고 이에 항의하는 자인을 무참하게 두들겨패는 등 역시나 아동학대를 자행한다. 하지만 법정에서 자신이 아니면, 누구도 자신을 비난할 수 없다면서 자신의 참혹한 현실에 대해 항변한다. 영화 말미에 자인의 동생을 또 임신하고는, 자인에게 새 동생이 생길테니 사하르는 잊으라고 하는 등 막장을 보여준다. 그 때 자인이 하는 말이 압권이다. "엄마의 말이 칼처럼 제 심장을 찌르네요." 이후 법정에서 자인이 '다시는 부모가 아이를 낳지 않게 해달라. 저 태어날 아이도 나와 똑같이 될 것이다'라는 말을 듣곤 심히 절망한다.

  • 라힐(요르다노스 시퍼라우 분)
파일:라힐.jpg
에티오피아 출신 외국인 노동자. 어느 부유한 집의 가정부로 들어가 6년을 일했지만, 그 집 경비원과 눈이 맞아 임신하는 바람에 달아난다. 판자집에 살며[6], 혼혈 아들 요나스를 두고 있다.[7] 작은 테마파크에서 청소부로 일하다가, 중간에 아무도 모르게 화장실에서 요나스를 챙기는 등 아무래도 열악하다. 이렇게 살다 라힐은 우연히 갈 곳 없는 자인을 만나게 되고, 어려운 사정임에도 자인을 거둬준다.[8] 자인은 그 대가로 라힐이 일하러 갈 때마다 라힐의 아이 요나스를 돌봐주게 된다.[9]
그녀가 가지고 있는 가짜 체류증이 만료되자, 새 체류증을 가지기 위해 동분서주한다. 하지만 가까스로 새 체류증을 살 1,300달러를 마련한 직후 경찰에 체포된다.[10] 이후 자인이 칼침(아사드)을 놓고 감옥에 들어온 것을 우연히 본 요나스는 어찌된거냐며 처음엔 오열하지만,[11] 법정에서 자인의 증인으로 참석하며, 재판 후 다행히도 무사히 요나스를 찾게 된다.

  • 요나스(볼루와티페 트레저 반콜레 분)
라힐의 아들. 영화 내에서는 남자아이로 묘사되지만, 실제 배우의 성별은 여자. 라힐의 부재동안 자인이 돌봐주며, 라힐의 행방불명 이후에는 자인이 직접 데리고다니며 먹여살린다. 이후 아스프로가 자인을 구슬려 맡겨지지만, 후반부에 갇혀있는 모습으로 등장한다.[12][13] 구출된 이후 무사히 라힐에게 돌아간다.

  • 아스프로(알라 슈슈니예 분)
시장에서 불법 체류증을 만들어주는 브로커. 라힐에게 새 체류증 비용으로 엄청난 가격을 제시하거나, 요나스를 자신에게 넘기라고 계속 부추긴다.[14] 하지만 정체는 체류증으로 꼬드긴 사람을 잡아 노예로 팔려는 수작이었던 듯 하다. 결국 후반부엔 체포됨과 동시에[15] 잡혀있던 사람들도 풀려난다. 그 중에는 요나스도 있었다.

  • 메이소운(파라 하스노 분)
시리아 난민. 시장에서 꽃이나 차를 파면서 연명하고 있었던 와중에 자인을 만나며, 자인에게 외국에서의 삶에 대한 희망을 품어준다. 이후 아스프로에게 돈을 주고 스웨덴으로 떠난다. 그렇게 이 아이는 자인에게 스웨덴으로 이민가는 법을 가르쳐줘서 자인은 그 뒤로 악착같이 돈을 모으게 된다.

  • 아사드(누르 엘 후세이니 분)
알 하지 일가가 살고 있는 건물의 주인이자, 식료품 가게 주인. 어리지만 예쁜 사하르에게 눈독을 들이고 있으며, 결국 사하르가 생리를 시작하자 아내로 맞이한다. 사하르가 임신했다가 사망하자[16] 화가 머리 끝까지 난 자인의 칼에 맞는데, 죽지는 않았지만, 중상을 입었는지 이후 휠체어를 탄 모습으로 자인의 재판에 증인으로 참석한다.

  • 바퀴벌레맨(조제프 짐바지안 분)
자인이 가출한 후 만난 할아버지. 본명은 하루트(Հարութ)로 놀이공원에서 어설픈 스파이더맨 복장을 입고 호객행위를 하고 있는데, 가슴에 거미가 아니라 바퀴벌레가 그려져 있어, 스스로를 스파이더맨의 사촌인 바퀴벌레맨이라고 한다. 나이가 상당히 많아, 정신이 오락가락하는지 계속 횡설수설하는 모습을 보이며, 이 때문에 라힐의 가짜 대리인 행세를 하는 것으로 도와주려다 실패하고 만다. 지나가는 말로 아르메니아인이라고 한다.

  • 다아드(사미라 샬후브 분)
놀이공원에서 옥수수를 파는 할머니. 하루트와 함께 라힐을 도우려 하지만, 하루트가 노망이 나서 횡설수설하는 바람에 실패한다.

이 영화의 감독이기도 하며, 자인의 변호사로 출연한다.


5. 줄거리[편집]


레바논에 있는 작은 도시 가버나움의 빈민촌. 12살 소년 자인은 경제 능력이 없는 부모의 막장스러운 방임과 학대에 노출되어 힘겹게 살아간다.
게다가 집주인이 눈독들이던 유일하게 말이 통하는 연년생 여동생이 생리를 시작하여 조혼으로 팔려가는데...

6. 평가[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
20XX-XX-XX 기준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74830|
기자·평론가
7.33 / 10
관람객
9.54 / 10
네티즌
9.60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기자·평론가
7.33 / 10
관람객
9.54 / 10
네티즌
9.60 / 10
]]
평점 9.54 / 10







파일:다음 로고.svg
평점 9.4 / 10





파일:CGV 로고 화이트.svg
지수 99%





Capernaum hits hard, but rewards viewers with a smart, compassionate, and ultimately stirring picture of lives in the balance.

가버나움은 큰 충격을 주지만, 똑똑하고, 연민 어리고 마음을 뒤흔드는 불확실한 삶의 모습들을 관객에게 선물한다.

- 로튼 토마토 총평



7. 흥행[편집]



7.1. 대한민국[편집]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주차날짜일일 관람 인원주간 합계 인원순위일일 매출액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2,389명2,389명미집계21,364,900원21,364,900원
1주차2019-01-24. 1일차(목)4,442명33,185명8위33,522,600원264,089,466원
2019-01-25. 2일차(금)3,560명11위30,334,486원
2019-01-26. 3일차(토)5,975명12위53,636,240원
2019-01-27. 4일차(일)5,503명11위47,978,630원
2019-01-28. 5일차(월)4,067명9위31,750,180원
2019-01-29. 6일차(화)4,470명8위34,233,630원
2019-01-30. 7일차(수)5,168명6위32,633,700원
2주차2019-01-31. 8일차(목)3,329명35,524명9위27,312,300원315,030,460원
2019-02-01. 9일차(금)3,391명9위29,876,260원
2019-02-02. 10일차(토)5,628명8위49,959,530원
2019-02-03. 11일차(일)6,079명8위54,111,480원
2019-02-04. 12일차(월)6,102명7위55,032,660원
2019-02-05. 13일차(화)4,827명8위44,319,760원
2019-02-06. 14일차(수)6,168명10위54,418,470원
3주차2019-02-07. 15일차(목)3,110명25,594명9위24,548,650원211,079,070원
2019-02-08. 16일차(금)3,042명10위26,269,330원
2019-02-09. 17일차(토)5,302명10위46,780,330원
2019-02-10. 18일차(일)5,235명10위45,156,350원
2019-02-11. 19일차(월)2,292명8위18,120,730원
2019-02-12. 20일차(화)4,446명6위33,413,130원
2019-02-13. 21일차(수)2,167명9위16,790,550원
4주차2019-02-14. 22일차(목)1,990명18,512명13위15,628,280원157,305,860원
2019-02-15. 23일차(금)2,523명13위21,798,960원
2019-02-16. 24일차(토)3,923명13위35,210,430원
2019-02-17. 25일차(일)4,069명13위36,262,990원
2019-02-18. 26일차(월)1,724명13위14,062,400원
2019-02-19. 27일차(화)2,253명14위18,131,270원
2019-02-20. 28일차(수)2,030명14위16,211,530원
5주차2019-02-21. 29일차(목)1,652명10,545명16위11,607,950원83,793,580원
2019-02-22. 30일차(금)1,248명17위10,897,710원
2019-02-23. 31일차(토)2,175명17위18,951,280원
2019-02-24. 32일차(일)2,083명17위17,565,900원
2019-02-25. 33일차(월)1,022명19위8,018,400원
2019-02-26. 34일차(화)1,135명21위8,527,040원
2019-02-27. 35일차(수)1,230명21위8,225,300원
합계 누적관객수 147,759명, 누적매출액 1,218,549,519원[17]

같은 주에 개봉하는 작품은 보헤미안 걸(2019년 1월 21일), 아워 하우스(이상 2019년 1월 22일), 극한직업, 두 번째 여름, 두 번 다시 만날 수 없는 너, 몬스터 파크, 크리미널 게임: 보석 사기단, 행맨(이상 2019년 1월 23일), 가버나움, 더 탱크 KV-1 vs 팬저, 데들리 스토커, 베스와 베라, 아이 킬 자이언츠, 어벤저, 얼굴들, 파이널리스트, 폴리스 스파이, 하트스트링스, 할로우 차일드: 숲 속의 문(이상 2019년 1월 24일), 러브 유어셀프 인 서울(이상 2019년 1월 26일)까지 총 19편이다.

14만명을 돌파하면서 중동/레바논 영화 중에서는 최고 히트작이 되었다. 수상 버프가 강력한데다 한국에서 먹힐만한 소재와 내용이라는 소수의 평이 있긴 했지만 예상 이상이라는 얘기가 많다.


7.2. 프랑스[편집]


$2,881,734을 벌었다.


7.3. 북미[편집]


제한적 상영으로 개봉하여 $1,661,096을 벌었다.


7.4. 중국[편집]


가버나움 중국 실시간 박스오피스(단위: 위안)

2019년 4월 29일 개봉하여 $54,315,149을 벌었다.


7.5. 일본[편집]




7.6. 영국[편집]


2019년 2월 1일 개봉하여 $183,773를 벌었다.


8. 수상 및 후보[편집]




9. 기타[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9 11:53:07에 나무위키 가버나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라힐이 체포된 이후, 집에서 기다리기만 하다가 그녀가 돌아오지 않는다는 것을 안 뒤, 약 탄 주스 장사를 시작해서 요나스를 먹여살리는 동시에 돈을 제법 모은다.[2] 요나스를 넘겨주는 대가로 아스프로에게 이민에 대한 협조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3] 이민을 가려면 신분을 증명할 수단이 필요해 출생증명서라도 찾으려고 갔던 것. 그러나 출생증명서는 없었다. 당연히 그의 남매들도 없었다.[4] 이는 셀림과 수아드, 아사드라는 인물에서도 나타나는 특징으로, <가버나움>이 다른 휴먼 드라마와 다른 점이다. 셀림이 수아드를 계속 임신시키고, 수아드가 낳는 것도 피임과 임신 중단이라는 개념 자체가 형성되기 어려운 사회의 영향이 크며, 아사드 또한 조혼과 미성년 임신에 대해 '주변에서 다 그러니까 문제가 아닌 줄 알았다'라는 입장을 보여준다. 대개 이런 갈등의 원인을 개인의 악함 탓으로 돌리고 끝나는 이야기가 흔한데, <가버나움>은 이런 연출로 사회의 역할에 대해서도 생각하게 한다.[5] 사실 이것도 자식을 챙기는 것처럼 보이긴 하지만, 대사를 보면 "옆집애는 학교에서 가서 음식도 받아오고 옷가지도 받아오더라"고 주장하는 등 자인을 생각해서보다는, 학교에서 무상으로 나눠주는 구호물품을 노린 것에 가깝다. 남편과 마찬가지로 자신이 사는 방식이 나쁘다는 걸 알면서도 이를 개선하려는 어떤 노력도 없이 무책임하게 사는 인물.[6] 이것도 샛방이어서 주인이 있다.[7] 라힐의 아들 요냐스는 불법체류자의 자식이기 때문에 정식 호적이 없다.[8] 라힐이 자인과 함께 살 때, 그녀는 자인에게도 케이크를 대접하는 등 상냥한 모습을 보여줬다. 자인도 이 때 웃음을 지었다.[9] 라힐 입장에서도 순수하게 호의로 자인을 거둬준건 아니고, 자인을 맡는 대가로 자기 없을 동안 자인이 요나스를 돌봐주라는 은연 중의 거래를 한 것이다. 그래도 자인의 친부모에 비하면, 라힐은 오히려 자인에게 더 잘 대해준 편이다.[10] 자인은 요나스를 돌봐가며 라힐을 계속 기다렸지만, 라힐은 이미 잡혀간 상태여서 그들에게 소식을 보낼 수조차 없었다. 덕분에 자인과 요나스 둘이서 버티는 것에도 한계가 다가왔다. 자인은 점점 한계에 몰리다가, 또래고 처지가 비슷한 메이소운에게 스웨덴 이민의 방법을 듣고, 그것까지 생각하게 되었다. 자인은 요나스를 보살피며 이민갈 때 필요한 돈을 모았지만, 방세 때문에 라힐네가 지내던 집의 문이 걸어잠겨서 돈을 다 잃어버렸다.[11] 아스프로가 자인을 구슬려 요나스를 맡았다.[12] 아스프로는 자인에게 요나스를 좋은 집에 입양시켜주겠다고 했지만 이건 거짓말이었다. 나중에 요나스가 발견되었을 땐 어두운 곳에서 울고 있었다.[13] 자인이 나중에 아스프로에 대해 진술해준 덕에 요나스가 발견되고 구출될 수 있었다.[14] 라힐이 중도에 잡혀가자, 라힐에 이어 요나스를 돌보는 자인에게도 요나스를 넘기라고 꼬드긴다. 자인은 여러 차례 이를 물리쳤지만, 결국 사는데 한계가 다가오자, 아스프로가 요나스를 좋은 집에 입양시켜준다는 꼬드김에 넘어가 요나스를 맡기게 된다.[15] 자인이 경찰에게 아스프로에 대해 진술하게 된 게 원인이 되었다.[16] 어린 나이에 무리한 임신과 출산의 과정을 거치다가 합병증으로 사망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사하르는 병원 치료를 제대로 못 받았다고 하는데, 자인과 사하르를 비롯한 자인의 남매 모두 출생증명서가 없는게 원인이었다고 한다. 즉 서류가 없다는 이유로 병원이 사하르를 환자로서 받아주지 않았던 것.[17] ~ 2022/11/18 기준[18] 예수가 친히 가버나움에서 한 기적을 소돔고모라에서 했으면 그 성읍들이 지금까지 있었을 것이라는 말과 함께 심판의 때에 소돔과 고모라가 더 견디기 쉬울 것이라는 저주와 다름없는 말을 퍼부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