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칸 영화제/심사위원상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칸 영화제



파일:cannesprixdujury.jpg

1. 개요
2. 수상작
2.1. 3회 수상자
2.2. 2회 수상자


1. 개요[편집]


칸 영화제 심사위원상은 영화제의 심사위원들이 경쟁 부문 진출 작품들 중에서 한 작품(때로는 두 작품)을 선정하여 수여되는 상이다.


2. 수상작[편집]


역대 시상식수상작감독(수상자)국가
국제심사위원상 (International Jury Prize) (1946)
1946년 제1회《철로변의 전투》르네 클레망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947년수상작 없음
1948년수상작 없음
1949년수상작 없음
1950년수상작 없음
특별심사위원상 (Special Jury Prize) (1951~1959)
1951년 제4회이브의 모든 것조셉 L. 맨키위즈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952년 제5회《우리는 모두 살인자다》앙드레 카야트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953년 제6회수상작 없음
1954년 제7회《밀회》르네 클레망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1955년 제8회《잃어버린 대륙》엔리코 그라스, 조르조 모세르, 레오나르도 본지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1956년 제9회《피카소의 비밀》앙리 조르주 클루조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957년 제10회《카날》안제이 바이다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제7의 봉인잉마르 베리만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1958년 제11회《나의 삼촌》자크 타티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959년 제12회《다윗의 별》콘라트 볼프파일:동독 국기.svg 동독
심사위원상 (Jury Prize) (1960)
1960년 제13회《정사》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열쇠》이치가와 곤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특별심사위원상 (Special Jury Prize) (1961~1967)
1961년 제14회《천사들의 수녀 요안나》예르지 카발레로비치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1962년 제15회《잔 다르크의 재판》로베르 브레송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태양은 외로워》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1963년 제16회할복고바야시 마사키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댓 캣》보테크 야스니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1964년 제17회《모래의 여자》테시가하라 히로시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1965년 제18회괴담고바야시 마사키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1966년 제19회《알피》루이스 길버트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1967년 제20회《우카마우》호르헤 산지네스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1968년 제21회 [1]수상작 없음
심사위원상 (Jury Prize) (1969~95)
1969년 제22회Z코스타 가브라스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1970년 제23회《Magasiskola》István Gaál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분노의 함성》스튜어트 해그먼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1971년 제24회《러브》카롤리 마크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조 힐》보 비더버그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1972년 제25회제5도살장조지 로이 힐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973년 제26회《모래시계 요양원》보이체크 하스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더 인비테이션》끌로드 고레타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1974년 제27회수상작 없음
1975년 제28회수상작 없음
1976년 제29회수상작 없음
1977년 제30회수상작 없음
1978년 제31회수상작 없음
1979년 제32회수상작 없음
1980년 제33회《불변수》크지쉬토프 자누쉬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1981년 제34회수상작 없음
1982년 제35회수상작 없음
1983년 제36회《Kharij》므리날 센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1984년 제37회수상작 없음
1985년 제38회《레들 대령》이스트반 자보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1986년 제39회《성녀 테레사》알랭 카발리에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987년 제40회《밝음》술레이만 시세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Shinran: Path to Purity》미쿠니 렌타로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1988년 제41회《살인에 관한 짧은 필름》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1989년 제42회《몬트리올 예수》데니 아르캉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1990년 제43회《히든 어젠다》켄 로치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1991년 제44회유로파라스 폰 트리에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Hors la vie》마룬 배그다디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1992년 제45회《햇빛 속의 모과나무》빅토르 에리세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눈오는 날의 왈츠》비탈리 카네프스키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1993년 제46회《희몽인생》허우샤오셴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레이닝 스톤》켄 로치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1994년 제47회여왕 마고파트리스 쉐로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995년 제48회《네가 죽을 것을 잊지 마라》자비에 보부아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특별심사위원상 (Special Jury Prize) (1995~1996)
《캐링턴》크리스토퍼 햄튼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1996년 제49회크래시데이비드 크로넨버그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심사위원상 (Jury Prize) (1997~)
1997년 제50회《웨스턴》마뉘엘 푸아리에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998년 제51회《겨울 학교》클로드 밀러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셀레브레이션토마스 빈터베르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1999년 제52회《편지》마노엘 드 올리베이라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2000년 제53회《칠판》사미라 마흐말바프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2층에서 들려오는 노래》로이 앤더슨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2001년 제54회수상작 없음
2002년 제55회《신의 간섭》엘리아 슐레이만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2003년 제56회《오후 5시》사마라 마흐말바프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2004년 제57회열대병아피찻퐁 위라세타꾼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레이디킬러》어마 P. 홀[2]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005년 제58회《상하이드림》왕샤오솨이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2006년 제59회《붉은 거리》안드레아 아놀드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2007년 제60회페르세폴리스마르잔 사트라피 뱅상 파로노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침묵의 빛》카를로스 레이가다스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2008년 제61회일 디보파올로 소렌티노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2009년 제62회박쥐박찬욱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피쉬 탱크안드레아 아놀드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2010년 제63회《울부짖는 남자》마하마트 살레 하룬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2011년 제64회《경찰들》마이웬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2012년 제65회앤젤스 셰어 : 천사를 위한 위스키켄 로치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2013년 제66회그렇게 아버지가 된다고레에다 히로카즈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2014년 제67회마미자비에 돌란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언어와의 작별장뤽 고다르파일:프랑스 국기.svg / 파일:스위스 국기.svg 프랑스 스위스
2015년 제68회더 랍스터요르고스 란티모스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2016년 제69회아메리칸 허니: 방황하는 별의 노래안드레아 아놀드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017년 제70회러브리스안드레이 즈비아긴체프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2018년 제71회가버나움나딘 라바키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2019년 제72회레 미제라블라드지 리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바쿠라우줄리아노 도르넬레스
클레버 멘돈사 필로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2020년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여파로 미개최
2021년 제74회《아헤드의 무릎》나다브 라피드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메모리아아피찻퐁 위라세타꾼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2022년 제75회당나귀 EO예지 스콜리모프스키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여덟 개의 산샤를로트 반더히르미
펠릭스 반 그뢰닝엔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2023년 제76회사랑은 낙엽을 타고아키 카우리스마키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2.1. 3회 수상자[편집]


3회 수상


2.2. 2회 수상자[편집]


2회 수상
[1] 68혁명의 여파로 시상식이 중간에 중단되었다.[2] 감독에게 주어지지 않고 등장 여배우인 어마 P. 홀에게 주어졌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06:18:05에 나무위키 칸 영화제/심사위원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