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경동로(경상북도)

덤프버전 :

||



||



--
경동로
慶東路 | Gyeongdong-ro
기장 방면
청송로
양구 방면
영양로
당진 방면
이천~송천
영덕 방면
영덕로
부산 방면
팔각산로
울진 방면
지영로
노선 번호
31번 국도
34번 국도
69번 지방도
기점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교리 교리교차로
종점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덕곡리
연장
84.1km
관리
안동시파일:부산지방국토관리청.jpg
왕복 차로 수
2~4차로
주요 경유지
교리교차로 ↔ 안동역동청송·영양IC ↔ 덕곡리

1. 개요
2. 상세




1. 개요[편집]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교리 교리교차로에서 출발하여 영덕군 영덕읍 덕곡리에서 끝나는 도로. 31번 국도, 34번 국도69번 지방도의 일부이다.


2. 상세[편집]


안동역과 관련있는 도로다. 시작하자마자 안동역이 보이고 입체교차로 앞이 안동역이며 안동역 구역사도 경동로에 있었다.

서산영덕고속도로가 생기기 전에는 수도권에서 안동을 거쳐 이 도로(34번 국도)를 이용하여 영덕을 가는 방법이 주 루트였다. 고속도로가 개통된 이후에도 동서울-영덕 시외버스가 안동을 꼭 들르는 이유이기도 하다.[1]

안동시내는 왕복 4~6차로로 잘 뚫려있지만 안동대학교를 지나면 왕복 2차로로 좁아진다. 그 이후 임하호 옆을 따라가다가 임동면을 지나 935번 지방도가 분기되고 가랫재를 넘어 청송군 진보면에 진입한다. 이 국도는 진보면내를 살짝 남쪽으로 우회한다. 그 이후 31번 국도와 중첩된다. 그 이후 월전삼거리에서 31번 국도가 분기되어 봉화, 울진, 영양 방면으로 간다. 이 국도는 영양과 외부를 이어주는 매우 중요한 도로다. 그 이후 동청송영양IC를 통해 서산영덕고속도로와 교차하고 황장재를 넘는다. 황장재는 가랫재와 달리 급커브도 많아 주의해서 가야한다. 황장재 정상에는 주왕산으로 가는 등산로가 있다. 그 이후 911번 지방도가 분기되며 69번 지방도와 중첩된다. 그 이후 남산교차로에서 7번 국도와 교차하며 끝난다. 진보~영덕은 계곡변을 따라가기 때문에 길이 험해 주의해야 하며 초보운전자라면 서산영덕고속도로로 우회하는 것이 좋다. 그렇기 때문에 이 도로는 마을과 마을을 이어주는 성격이 강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2 03:02:45에 나무위키 경동로(경상북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동서울-영덕 단독 수요는 높지 않아 동서울-안동 시외버스의 연장선으로 계속 운행한다. 안동-영덕 구간 수요도 챙겨야 하고.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