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경부선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고속도로에 대한 내용은 경부고속도로 문서
경부고속도로번 문단을
경부고속도로# 부분을
, 고속선에 대한 내용은 경부고속선 문서
경부고속선번 문단을
#s-번 문단을
경부고속선#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KORAIL_White_로고.svg
경부선
京釜線 | Gyeongbu Line
파일:경부선 노선도.svg
소유자파일:대한민국정부상징_좌우.svg
국가철도공단에 소유권 행사 위임
운영기관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노선번호302
노선명경부본선 (京釜本線)
종류간선철도, 일반철도
영업거리441.7㎞
궤간1,435㎜
역수90
기점서울역
종점부산역
급전방식단상 교류 25,000V 60㎐
신호장비ATP, ATS
선로최고속도서울 - 용산: 90km/h
용산-구로(일반)[1]: 100km/h
용산-구로(전철)[2]: 120km/h
구로-가산디지털단지(일반)[3]: 80km/h
구로-가산디지털단지(고가)[4]: 90km/h
가산디지털단지-두정(전철)[5]: 120km/h
가산디지털단지-수원: 135km/h
수원-천안: 150km/h(일반열차 140km/h)
천안-대구: 135km/h
대구-부산: 150km/h(일반열차 140km/h)
선로 수6
(서울용산)(2복선+2단선))
6
(용산구로)
4
(구로두정)
(부산진부산)
3
(동대구가천)(1복선+1단선))
2
(두정동대구)
(가천부산진)
개업일1905년 1월 1일
운영노선KTX[6]
SRT (지천 ↔ 미전신호소)
KTX-이음 (서울↔용산)
남도해양관광열차 (서울 ↔ 대전조차장)
서해금빛열차 (용산 ↔ 두정)
ITX-마음
ITX-새마을
새마을호 (용산 ↔ 두정)
무궁화호
누리로 (동대구 ↔ 부산)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 ↔ 두정)
화물열차 (서울 ↔ 부산진)
-대구권 광역철도-
-충청권 광역철도-

1. 개요
3. 역할
4. 문제점
4.1. 선로 용량 문제
4.2. 심각한 적자
4.3. 좋지 않은 선형
5. 고속화 및 개량공사 요구
5.1. 충청도 구간
5.2. 경상도 구간
5.3. 증속 추진
6. 구간
6.1. 선로 현황
7. 운행 노선
7.1.1. 수도권 전철 1호선
7.1.2. 충청권 광역철도(예정)
7.1.3. 대구권 광역철도(예정)
8. 이용객 수
8.1. 연간 이용객
8.2. 일일 이용객
9. 기타
12. 지선 철도
1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무궁화호 대전서울 전면 주행영상무궁화호 부산동대구 전면 주행영상

우렁차게 토하는 기적 소리에 / 남대문을 등지고 떠나 나가서

빨리 부는 바람의 형세 같으니 / 날개 가진 새라도 못 따르겠네

늙은이와 젊은이 섞여 앉았고 / 우리네와 외국인 같이 탔으나

내외친소 다같이 익히 지내니 / 조그마한 딴 세상 절로 이뤘네

최남선경부철도가[7]

경부선(京釜線, Gyeongbu Line)은 서울특별시 서울역부산광역시 부산역을 잇는 총 연장 441.7㎞ 철도 노선이다. 대한민국 제1 종관 철도이자 대한민국 철도의 대동맥이다. 일반열차 계통은 경부본선, KTX 계통은 경부고속선(경부고속철도)으로 분리되어 있다.


2. 역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경부선/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역할[편집]


대한민국 여객 수송 1위 노선으로 주요 대도시와 공업 단지는 경부선을 따라 자리잡고 있다. 특히 서울 - 대전 구간과 구미 - 부산 구간은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고속철도와 광역철도를 제외한 일반선에서 유일하게 배차간격[8]이 좋고, 심지어는 다른 모든 철도 노선 운행 편수를 합쳐도 못 따라온다. 이와 달리 대전 - 김천 구간은 배차간격이 좋지 못하고, 호남선과 많이 비슷하다.

2022년 11월 5일 부터 누리로 열차가 다시 운행을 시작하게 되어서 ITX-청춘 열차를 제외한 모든 열차들이 운행 중이다. ITX-청춘 열차 역시 경부선에서 운행을 한 이력이 있으므로 모든 열차가 경부선에서 적어도 한 번은 운행했었다.

대한민국 철도청은 경부선 중심 운행체계였다. 때문에 경부선이 안 지나가는 대도시는 철도 교통이 불편해지게 되었다. 이런 이유로 충주, 상주 같은 과거 충청도, 경상도의 도시들이 몰락했고 대전, 구미, 대구, 경산, 부산 같은 도시들이 급성장했다.

경상북도 김천시구미시[9] 그리고 선산군 급부상에 도움이 되었다.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한 X자형 철도망 시발점이며, 동시에 조선 이래로 가장 큰 교통로였던 호남대로의 주축이던 공주, 영남대로의 주축이던 충주와 상주가 쇠퇴하고, 대전은 급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대전(大田)은 원래 충청남도 회덕군 소속 리(里)의 이름으로 큰밭이라는 뜻이다. 충주상주는 도 이름의 유래가 된 고을로 지금 대전에 준하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지금도 '온갖 동네에서 유생들이 반대해서 철도가 못 들어와 동네가 망했다'는 전승이 내려오고 있다. 지형상 경유가 불가능한 곳에서도 횡행하는 괴담이다.

그러나 부설 목적은 가능한 한 큰 가성비와 많은 수요를 포함해서 서울 - 부산 간을 잇는데 있었다. 사철이 수요를 무시할 수는 없지만, 러일전쟁이 터지면서 일본 정부가 건설에 개입했고, 지역민들 반대는 아무런 영향도 없었다. 독립운동이 일어난 지역을 의도적으로 피했다라는 낭설도 존재했으나, 국채보상운동의 진원지인 대구에는 경부선을 놓은 점을 볼 때 사실이 아니다.


4. 문제점[편집]



4.1. 선로 용량 문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국의 철도 환경/문제점/선로 및 열차 운용 그리고 연착 문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2. 심각한 적자[편집]


관리비용 때문에 매년 적자를 보고 있다. 경부고속선 개통 전에도 대전 - 부산 구간은 엄청난 배차간격, 불량한 선형, 많은 운송량으로 인한 관리비용 때문에 적자였다.

2018년 국정감사를 위해 한국철도공사에서 이학재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가 공개되었다.[10] 광역철도(서울 - 천안)는 2017년 313억원, 화물철도2017년 1,173억원, 여객철도는 1,980억원 적자이다. 총 적자의 65.7%가 경부선 하나에서 발생했다.

유일하게 이윤이 나는 서울 - 대전 구간과 구미 - 부산 구간도 광역철도가 적자를 보아 매우 심각하다.


4.3. 좋지 않은 선형[편집]


경부선은 처음부터 부족한 토목기술 및 군사적 목적으로 인해 속성으로 공사하는 바람에 당대에도 선형이 불량한 편이었다. 때문에 극 초창기에는 지형지물을 피해 돌아가거나 산을 넘는 급구배 구간이 많았고, 공사용으로 부설한 임시선로를 그대로 쓰기도 했다. 그래서 부설한 지 얼마 안 된 1910년대부터 선형개량이 수행되었다. 일제강점기 말 복선화 공사로 대대적인 선형개량을 하고 나서도, 비교적 최근까지 경부선은 꾸준히 선형개량이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천안 이북 등 일부 구간에 한정되었다.

수원역 - 대전역은 그나마 좋은데, KTX가 일부 구간에서 150km/h까지 달릴 수 있다. 특히 1980년대에 표준선으로 지정되어 개량한 서정리 - 천안 구간은 제한속도가 140㎞/h로 가장 높다. 동대구역-부산역 구간도 아주 좋은 편은 아니지만, KTX 개통을 앞두고 개량을 거쳤기에 아래보다는 낫다.

제일 선형이 심각한 건 대전 - 구미 구간인데, 추풍령, 소백산맥태백산맥 끝자락을 지나기 때문이다. 급곡선이 많은데 대부분 600R(곡선반경 600m, 제한속도 110㎞/h)이고, 400R(곡선반경 400m, 제한속도 90㎞/h[11])도 있다. 이는 호남선 개태사 드리프트와 같은 곡선이다. 경부고속철도 초기 계획 때 경부선 개량 및 복복선화와 고속철 별도 노선 신설인 두 안이 제시되었는데, 이때 뒷전으로 밀린 탓이다.


5. 고속화 및 개량공사 요구[편집]


위와 같은 문제점으로 여러 구간에서 고속화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


5.1. 충청도 구간[편집]


천안 - 청주공항간 복선전철 사업에 맞춰 전의 - 전동 구간 급곡선 개량도 추진되고 있다. KDI 예비타당성 조사 보고서 기준으로 약 20km/h 이상 표정속도 향상을 예상하고 있다. 예비타당성 조사도 통과했고 예산도 확보하며 장밋빛 전망이 쏟아졌다.[12]

그러나 계획 단계에서 천안-서창복복선화가 함께 추진되며 사업비가 4,000억 넘게 폭증했다. 2018년 공사를 발주하려다 무산되어[13] 결국 타당성 재조사에 들어갔다.[14]

완공시 서울에서 청주공항까지 기존 1시간 30분에서 20여 분 단축될 것으로 전망된다. 타당성 재조사에 따라 세부 운행 계획이 구체화될 것으로 보인다.

결국 2022년 6월 타당성 재조사를 통과하여 전의-전동 구간의 급곡선 개량이 확정됐다.[15] 사업비 폭증의 원인이었던 천안-서창간 2복선화는 무산되었다.


5.2. 경상도 구간[편집]


2015년 5월, 한국철도공사에서 동대구 - 구포 - 부산 간을 고속화하겠다고 밝혔다.[16] 세부계획은 나오지 않았지만 경부고속선보다 20분 가량 단축할 수 있다는 듯하다. 그러나 정부가 검토한 적 없다고 반박하였다.[17]

2016년 경부선 상동~밀양간 밀양강교 교량개량공사의 노반·궤도를 실시설계하였다.

2017년 12월 경부선 상동~밀양간 밀양강교 교량개량공사의 노반공사 계약 및 착수하였다. 또한 이 다음해에 사업실시계획이 승인되었다.

2018년부터 부산 내 구간 경부선 지하화 및 이설 요구가 등장했다.[18] 2021년 재보궐선거 부산광역시장 출마 후보들의 공약으로 등장하기도 했다.

2019년 금호강교(지천철교) 교량개량공사가 완료되어 상행선은 6월 14일, 하행선은 8월 27일에 이설되었다.

2021년, 창원시남부내륙선을 끌어오는 데 실패하자 기약없는 경부선 개량 대신 동대구-창원 고속철도를 요구하고 나섰다.[19]

2016년에 설계되어 2018년 승인된 경부선 상동~밀양간 밀양강교 교량개량공사가 2024년 1월에 완료될 예정이다. 기존에는 밀양강 부근에서 상행선과 하행선이 멀어졌다가 다시 가까워지는 비효율적인 교량이였지만 개량 공사로 나은 선형이 될 예정이다.[20]


5.3. 증속 추진[편집]


선형이 좋은 구간 98km에 대해 선로최고속도를 150km/h에서 200km/h로 상향하는 방안이 검토 중이다.[21]


6. 구간[편집]


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신탄진 - 대전 - 영동 - 김천 - 구미 - 대구 - 동대구 - 경산 - 밀양 - 구포 - 부산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역에서 경원선,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역에서 경인선, 경기도 군포시 금정역에서 과천선안산선, 경기도 수원시 수원역에서 수인선분당선, 경기도 평택시 평택역에서 평택선, 충청남도 천안시 천안역에서 장항선,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역에서 충북선, 대전광역시 대덕구 대전조차장역에서 호남선, 경상북도 김천시 김천역에서 경북선, 대구광역시 수성구 가천역에서 대구선,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역에서 경전선, 부산광역시 동구 부산진역에서 동해선과 접속한다.


6.1. 선로 현황[편집]


통상적으로 '경부선'이라고 얘기하는 노선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다.

서울 - 부산 전 구간을 운행하는 선로는 경부본선 또는 경부1선으로 부르고 있다. 주로 여객열차, 화물열차가 주로 운행하고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 - 천안/신창 급행열차가 운행하며, 다이어에 지장이 발생하면 청량리-천안/신창 열차도 운행된다. 서울 방향이 상행, 부산 방향이 하행이다. 일제강점기에는 도쿄 기준으로 결정된 만큼 부산 방면이 상행, 서울 방면이 하행으로 운행되었다. 또한 경부1선은 서울에서 경의선과 직결된다. 분단 이전까지 경부-경의선이 직결하여 운행하였다.

2022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경부2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단위: 회/일, 작성기준: 편도, 주중)
2022년 경부2선 운행구간별 열차운행빈도
운행구간선로용량고속열차일반여객전동차화물열차운행총계
지하서울역 - 구로288002470247
구로역 - 병점187001540154
병점 - 천안역1950087087
경부2선지하서울역 - 두정역 구간이다. 천안직결선을 이용하여 장항선까지 직결되어 있다. 서울역 인근까지는 경부1선과 병주하다가 서울역 직전에 지하서울역으로 들어가서 서울 지하철 1호선과 직결하는 노선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 완행과 청량리-천안/신창 급행열차, 화물열차 등이 운행한다. 천안을 넘어가는 화물은 천안이나 그 이전에 1선으로 전선해서 운행한다. 보통 오봉역 시종착이 많은데, 오봉역으로 가는 선로가 의왕 전후 2선 쪽에 있다 보니 여유 있는 1선을 타다가도 의왕 인근에서는 2선으로 전선해야해서 의왕역을 전후로 화물열차와 전동열차 지연이 종종 있다. 또한 경부1선이 여객열차로 인해 포화 상태일 경우 화물열차가 종종 2선을 타기도 한다. 구로에서 경인선 완행선이 경부2선에서 분기한다.

한때 ITX-청춘이 경부2선으로 운행하였으나, 전동열차 운행 선로이다 보니 지연이 발생하여 폐지되었다. 북쪽으로는 서울 지하철 1호선(종로선)을 통해 경원선과, 남쪽으로는 천안직결선을 통해 장항선과 직결된다. 그 밖에 구로에서 경인선 완행선이 경부2선에서 분기한다.

경부3선용산 - 구로 구간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경인선 계통 급행열차 및 영등포 - 광명 셔틀열차, 그리고 경부선 구로 이남(주로 오봉역)과 경원선 계통으로 운행하는 화물열차, 연무대역 - 춘천역(#2672)와 장성역 - 동두천역(#2676)을 운행하는 매주 목요일에 있는 군용열차가 사용한다. 동인천 급행열차가 경부 2선을 이용하여 지하 서울역 넘어서로 운행하지 않고 용산까지만 급행열차가 운행되는 이유이다. 넘쳐나는 수요 때문에 1호선은 완행과 급행이 합치면 시간당 엄청난 편수가 되는데, 이를 경부2선 및 종로선으로 다 받을 수 없으므로 경부3선을 이용해 용산까지 급행을 운행하는 것이다. 이 선로는 구로역 이남에서 경인2선(동인천 급행선로)으로 직결, 경부2선과 연결되어 있다. 과거 천안/신창-용산 급행이 운영되었을 때에는 경부3선으로 천안/신창-용산 급행을 받아냈으나, 천안/신창-청량리로 연장된 이후로는 경부2선을 사용한다. 구조적인 문제 때문에 한강철교 북단에서 교각이 끝나자마자 경원선이랑 평면교차를 하는데, 이촌→노량진 방면은 평면교차가 없어 큰 문제가 없지만, 이촌→노량진 방면으로는 경부3선에도 경원선에도 역주행 평면교차가 동시에 생기면서 많은 화물열차들이 경원선의 선로용량을 동시에 점유하고 있어 경부1선이나 2선에 비해서는 낫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여유로운 정도는 아니다. 추후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이 개통되어서 여객열차나 경원선 경유열차, 화물열차들이 분산되어야 해결될 문제이다.

서울-용산 간에 단선이 두 가닥 있는데, 위성지도상 가장 서쪽 선로는 강릉선 KTX와 경원선에서 경의선으로 넘어가는 화물열차가 이용하는 선로이다. 해당 선로는 경원선(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과 직결되어 있으며, 여객열차는 사실상 강릉선 KTX의 전용 단선선로로 사용되고 있다. 그외에도 가운데에 서울-용산 간 강릉선 KTX가 사용하지 않는 다른 단선선로가 하나 있는데, 다이어에 지장이 발생하였을 때 사용하거나, 수색차량기지~고양차량기지~용산역으로 가는 호남(고속)/전라선 무궁화호/KTX의 회송 선로(서울역 통과열차 선로)로 이용한다.


7. 운행 노선[편집]



7.1. 광역전철[편집]


경부선 광역전철은 현재 수도권 전철 1호선만 운행 중이고 대구권 광역철도충청권 광역철도는 공사 중이다.


7.1.1. 수도권 전철 1호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 1호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1.2. 충청권 광역철도(예정)[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충청권 광역철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1.3. 대구권 광역철도(예정)[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대구권 광역철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 이용객 수[편집]



8.1. 연간 이용객[편집]


2016년 기준 경부선 역의 등급별 총 이용객 숫자를 나타낸 표이다. 출처는 2016년 철도통계연보이며, 승하차 수 밑의 숫자는 전년(2015년) 대비 비율이다. 증가는 적색, 감소는 청색으로 표기하였고 10% 이상 변동 시 볼드 처리한다.
2016년 경부선 역 이용객 수 (총합)
승차하차승차+하차
역 목록KTX+SRT새마을호무궁화호승차합계KTX+SRT새마을호무궁화호하차합계승하차 총합
서울14,366,806
+2.0%
462,637
-13.5%
2,750,239
-5.9%
17,579,682
+0.04%
14,489,384
+1.8%
458,236
-8.6%
2,716,168
-7.1%
17,663,788
+0.06%
35,243,470
+0.06%
용산4,277,477
+23.7%
428,313
-0.01%
1,507,634
+0.3%
6,213,424
+15.3%
4,665,968
+24.4%
403,207
+2.2%
1,510,552
+0.4%
6,579,727
+16.5%
12,793,151
+15.9%
영등포87,112
+3.9%
766,250
-4.4%
3,987,657
-4.4%
4,841,019
-4.3%
73,761
+9.6%
791,377
+0.08%
3,924,530
-5.1%
4,789,668
-4.1%
9,630,687
-4.2%
안양--274,212
-8.6%
274,212
-9.3%
--238,225
-9.1%
238,225
-9.9%
512,437
-9.6%
수원666,422
+4.0%
1,165,327
-0.5%
4,750,035
-3.6%
6,581,784
-2.3%
691,067
+3.1%
1,191,904
-1.2%
4,760,879
-3.1%
6,643,850
-2.2%
13,225,634
-2.3%
오산--196,455
-12.4%
196,455
-12.7%
--183,622
-8.7%
183,622
-9.0%
380,077
-10.9%
서정리-971,617
-13.5%
71,626
-13.5%
-968,336
-8.9%
68,345
-8.9%
139,971
-11.3%
평택-240,942
+2.0%
2,170,000
+0.95%
2,410,942
+1.1%
-224,764
+0.77%
2,195,547
+1.1%
2,420,311
+1.1%
4,831,253
+1.1%
성환--52,504
-14.4%
52,504
-14.4%
--59,395
-12.0%
59,395
-12.0%
111,899
-13.1%
천안-614,977
+0.89%
2,716,434
-7.0%
3,331,411
-5.7%
-596,594
-0.86%
2,781,152
-6.4%
3,377,746
-5.5%
6,709,157
-5.6%
소정리--1,602
+50.8%
1,602
+50.8%
--1,785
+25.7%
1,785
+25.7%
3,387
+36.5%
전의--61,296
-9.9%
61,296
-9.9%
--63,461
-11.6%
63,461
-11.6%
124,757
-10.8%
조치원-126,843
-6.5%
1,760,107
-7.2%
1,886,950
-7.1%
-145,632
-3.0%
1,751,242
-7.9%
1,896,874
-7.5%
3,783,824
-7.3%
부강--66,612
-4.5%
66,612
-4.5%
--62,191
-5.8%
62,191
-5.8%
128,803
-5.1%
신탄진-288742,292
-6.3%
742,580
-6.3%
-282722,192
-6.5%
722,474
-6.5%
1,465,054
-6.4%
대전5,525,102
+4.2%
522,435
+3.0%
2,621,467
-6.7%
8,669,004
+0.56%
5,447,240
+4.6%
500,090
+2.3%
2,644,163
-6.1%
8,591,493
+0.94%
17,260,497
+0.75%
옥천-6206,926
-4.5%
206,932
-4.8%
-6214,213
-5.8%
214,219
-6.1%
421,151
-5.5%
이원--14,673
-12.1%
14,673
-12.1%
--11,438
-18.8%
11,438
-18.8%
26,111
-15.1%
지탄--870
-31.8%
870
-31.8%
--478
-4.0%
478
-4.0%
1,348
-24.0%
심천--7,163
-13.8%
7,163
-22.3%
-3037,292
-13.5%
7,595
-21.4%
14,758
-21.8%
각계--475
-34.0%
475
-34.0%
--6
-85.0%
6
-85.0%
481
-36.7%
영동-66,456
-12.9%
579,175
-5.9%
645,631
-6.7%
-55,364
-18.0%
601,456
-5.8%
656,820
-7.0%
1,302,451
-6.8%
황간-26941,175
-3.2%
41,444
-4.1%
-26938,953
-8.5%
39,222
-10.1%
80,666
-7.1%
추풍령--17,290
-7.3%
17,290
-18.2%
--17,060
-7.7%
17,060
-18.7%
34,350
-18.5%
김천-175,131
+2.6%
904,724
-7.6%
1,079,855
-6.1%
-201,188
-1.1%
878,233
-8.0%
1,079,421
-6.8%
2,159,276
-6.4%
구미-503,692
+3.2%
2,038,928
-7.6%
2,542,620
-5.6%
-531,536
-3.4%
2,061,498
-6.6%
2,593,034
-6.0%
5,135,654
-5.8%
사곡--13,484
-13.3%
13,484
-13.3%
--12,867
-17.8%
12,867
-17.8%
26,351
-15.6%
약목--51,525
-5.7%
51,525
-5.7%
--60,822
-4.5%
60,822
-4.5%
112,347
-5.0%
왜관-25,782
+124.2%
880,612
-3.1%
906,394
-1.5%
-26,199
+123.4%
865,624
-3.3%
891,823
-1.7%
1,746,236
-4.4%
신동--4,069
-2.0%
4,069
-2.0%
--3,367
-15.0%
3,367
-15.0%
7,436
-8.3%
대구-439,181
+3.7%
2,639,207
-3.1%
3,078,388
-2.2%
-401,446
+5.2%
2,667,492
-3.2%
3,068,938
-2.1%
6,147,326
-2.2%
동대구6,869,764
+4.7%
365,939
+5.4%
2,644,973
-5.6%
9,880,676
+1.8%
6,782,358
+4.8%
372,529
+4.3%
2,609,288
-4.7%
9,764,175
+2.1%
19,644,851
+1.9%
경산53,449
+1.8%
54,605
+27.8%
1,033,910
-3.1%
1,141,964
-1.7%
47,076
+6.3%
39,573
+22.7%
1,026,893
-3.0%
1,113,542
-1.9%
2,255,506
-1.8%
남성현--4,906
+0.66%
4,906
+0.66%
--4,566
-3.8%
4,566
-3.8%
9,472
-1.5%
청도-14,242
+7.3%
567,855
-5.9%
582,097
-5.7%
-14,218
+13.5%
577,958
-6.4%
592,176
-6.0%
1,174,273
-5.8%
상동--48,519
-5.8%
48,519
-5.8%
--42,895
-8.2%
42,895
-8.2%
91,414
-7.0%
밀양253,758
-0.53%
120,439
+17.4%
915,906
-7.0%
1,290,103
-3.9%
282,325
+6.0%
108,882
+12.0%
940,820
-7.7%
1,332,027
-3.7%
2,622,130
-3.8%
삼랑진-2,045
-23.6%
207,042
-4.3%
209,087
-4.5%
-1,507
-35.0%
211,672
-4.4%
213,179
-3.7%
422,266
-4.6%
원동-1,14682,905
-7.5%
84,051
-7.5%
-7091,226
-4.8%
91,296
-4.9%
175,347
-6.2%
물금-24,117
-2.8%
239,553
+6.2%
263,670
+5.3%
-23,258
+18.6%
229,197
+6.0%
252,455
+2.0%
516,125
+3.7%
화명-374,785
+0.5%
74,788
+0.49%
-359,475
-6.1%
59,478
-6.2%
134,266
-2.6%
구포543,678
-7.5%
211,530
+12.9%
1,023,826
-5.1%
1,779,034
-4.0%
592,846
-8.0%
205,508
+21.1%
1,020,209
-5.1%
1,818,563
-3.7%
3,597,597
-3.9%
사상--34,217
-8.1%
34,217
-8.1%
--39,496
-6.7%
39,496
-6.7%
73,713
-7.3%
부산7,463,393
+2.2%
360,849
+1.5%
1,717,285
-3.1%
9,541,527
+1.2%
7,384,548
+2.0%
360,422
+7.9%
1,717,422
-2.9%
9,462,392
+1.3%
19,003,919
+1.2%


8.2. 일일 이용객[편집]


2016년 기준 경부선 역의 등급별 일평균 이용객 숫자를 나타낸 표이다. 출처는 2016년 철도통계연보이다. 일평균 1만 명 이상 이용하는 경우 볼드체로 표시한다.
2016년 경부선 역 이용객 수 (일평균)
역 목록KTX새마을호무궁화호SRT승차하차승하차
서울78,8422,51614,936-48,03248,26296,294
용산24,4362,2728,246-16,97717,97734,954
영등포4404,25621,618-13,22713,08726,313
안양--1,400-7496511,400
수원3,7096,44125,986-17,98318,15336,136
오산--1,038-5375021,038
서정리--382-196187382
평택-1,27211,928-6,5876,61313,200
성환--306-143162306
천안-3,31015,021-9,1029,22918,331
소정리--9-459
전의--341-167173341
조치원-7449,594-5,1565,18310,338
부강--352-182170352
신탄진--4,001-2,0291,9744,003
대전29,5812,79414,3876,33623,68623,47447,160
옥천--1,151-5655851,151
이원--71-403172
지탄--4-214
심천--39-202140
각계--1-101
영동-3333,226-1,7641,7953,559
황간--219-113107220
추풍령--94-474794
김천-1,0284,871-2,9502,9495,900
구미-2,82811,203-6,9477,08514,032
사곡--72-373572
약목--307-141166307
왜관-1424,771-2,4762,4374,913
신동--20-11920
대구-2,29714,499-8,4118,38516,796
동대구36,6532,01814,35610,31326,99626,67853,674
경산2752575,631-3,1203,0426,163
남성현--26-131226
청도-783,131-1,5901,6183,208
상동--250-133117250
밀양1,4656275,073-3,5253,6397,164
삼랑진-101,144-5715821,154
원동--476-230249479
물금-1291,281-7206901,410
화명--367-204163367
구포3,1051,1395,585-4,8614,9699,830
사상--201-93108201
부산역39,6971,9719,38413,86026,07025,85451,923


8.3. 수도권 전철 1호선[편집]


2021년 기준 수도권 전철 1호선(경부선) 일평균 승하차 순위이다. 환승역의 경우 1호선(경부선)이 아닌 다른 노선의 승하차객은 제외한다.
수도권 전철 1호선(경부선)
노선 총합
역수구간역당 일평균 이용객일평균 승하차량2021년 승하차량최다 이용역최저 이용역
38개서울 ↔ 두정18,796명714,263명260,500,138명영등포직산
9개서울 ↔ 구로27,544명247,900명90,483,654명영등포서울역(경부선)
15개가산디지털단지 ↔ 수원[22]22,840명342,606명125,051,352명수원광명
14개세류 ↔ 두정[23]8,840명123,757명44,965,132명병점직산
일일 이용객 수
역수구간10만명 이상5만명~10만명2만명~5만명1만명~2만명1만명 이하
38개서울 ↔ 두정없음3개역[24]10개역[25]11개역[26]14개역[27]

수도권 전철 1호선(경부선)
역별 순위
순위역명일평균 승하차량2021년 승하차량
1위영등포66,687명24,340,717명
2위용산[28]58,173명21,233,044명
3위수원50,130명18,297,499명
4위금정[29]43,630명15,925,027명
5위가산디지털단지43,610명15,917,753명
6위안양38,419명14,023,044명
7위구로31,452명11,479,949명
8위노량진30,201명11,023,229명
9위독산27,867명10,171,332명
10위병점23,945명8,740,021명
11위성균관대23,442명8,556,506명
12위평택21,437명7,824,515명
13위대방21,008명7,668,069명
14위금천구청19,560명7,139,577명
15위오산17,027명6,214,792명
16위석수15,564명5,680,754명
17위남영15,268명5,572,689명
18위의왕14,619명5,336,051명
19위명학14,381명5,249,124명
20위군포12,221명4,460,524명
21위화서12,204명4,454,382명
22위관악11,970명4,369,198명
23위신길11,661명4,256,430명
24위서정리11,183명4,081,634명
25위당정9,835명3,589,823명
26위두정9,500명3,467,648명
27위송탄7,486명2,732,316명
28위신도림6,802명2,482,648명
29위서울역(경부선)6,649명2,426,879명
30위성환6,309명2,302,664명
31위오산대5,586명2,038,727명
32위평택지제5,225명1,906,984명
33위광명5,153명1,880,758명
34위세류5,018명1,831,693명
35위세마4,372명1,595,728명
36위진위2,466명899,935명
37위서동탄2,340명853,943명
38위직산1,300명474,532명


9. 기타[편집]


  • 안양 서리재고개 인근에서 이토 히로부미원태우에 의해 암살당할 뻔 하였다. 하지만 주치의가 재빨리 응급처치를 진행해 무사히 살아남았다. 수원에서 사냥을 마친 후 열차를 타고 서울로 이동 중 봉변을 당했다고 한다. 이는 안중근 의사 의거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이토 히로부미는 이 일로 자신의 얼굴이 드러나는 것을 극히 꺼려서 안중근 의사도 이토 히로부미의 얼굴을 몰랐다고 한다. 그러나 운 좋게도 누군가 이름을 불러서 의거에 성공했다. 안양역 에스컬레이터 좌측 벽, 즉 롯데리아 맞은편에 기념판이 붙어 있다. 관악역 근처 운전면허학원에서 횡단보도를 건너면 있는 던졌다고 추정되는 곳에도 세워져 있다.



  • 부산도 비슷한 요구가 존재한다. 2018년 지방선거에서 박민식 후보는 동대구 - 사상간 고속선 개량을 추진하면서 부산 관내 지역 지하화를 주장했다. 2020년 10월에는 더불어민주당이 한국형 뉴딜 정책 일환으로 구포 - 부산진간 지하화를 추진하겠다는 기사가 나왔다.[30]

  • 구상 중인 한일 해저터널이 이용하게 된다면 절연구간이 탄생할 수도 있고, 열차 운행 횟수도 더욱 늘어나게 된다.

  • 북한은 전구간을 명목상 평부선 일부분으로 취급하고 있다. 평부선의 '평부'는 평양의 '평'과 부산의 '부'를 의미한다. 물론 실제로는 휴전선에서 끊기기 때문에 운행하는 평부선은 평양 - 개성 구간이다.

  • 통일 이후 경의선과 직결하거나 부산 - 서울 - 신의주 철도 노선을 부의선이라는 하나의 노선으로 통합시켜 KTX 및 일반 간선열차를 연장시키고 수도권 전철 1호선수도권 전철 경의선 서울 - 문산 - (개성) 구간과 직결 운행하자는 주장이 있다.

  • 오래된 노선이기 때문에 건널목이 많았지만, 계속된 입체화로 현재는 천안 - 대전 구간, 연화건널목을 제외하면 폐쇄되었다. 2004년 당시 수원-천안 2복선화 및 전철화 공사 진척에 의거 경기도 평택시 소재 철도건널목이 일괄 폐지되었다.


  • 경부고속도로와 마찬가지로 서울 방면에서 하행으로 내려갈 때 처음으로 등장하는 이 충청북도 옥천군이고, 경부선 구간을 지나는 군은 옥천군영동군, 칠곡군, 청도군 단 네 곳이다. 즉, 서울~대전 구간은 모두 이다.

  • 서울 - 부산을 잇는 세 노선(경부선,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선) 중 이 노선만 일반철도 노선번호 2번(302번, 구 22번)을 부여 받았는데, 경부선보다 더 먼저 개통한 경인선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호국의 다리는 옛 경부선 철교였다. 1945년 복선화 이전 단선 경부선 시절 사용된 철도 교량이었다.

  • 경부선 내 부강역, 약목역, 신동역은 공식 개역일과 당대 기록 간 괴리가 있다. 1907년 통감부 철도관리국 연보에 따르면 늦어도 1906년부터 이 세 역이 거리표에 등재되어 여객을 취급한 기록이 있고, 1909년 1월에 작성된 순종황제의 남부지방 순행으로 인한 열차운행 변경 공지에서도 이 역들이 등장한다.[31] 위 3개 역의 공식 개업일은 부강역은 1909년 11월, 약목역과 신동역은 9년 후인 1918년이다.


10. 역명코드[편집]


역명코드한글한자로마자비고
0001파일:Seoulmetro1_icon.svg 서 울서 울Seoul고속
정차
0820파일:Seoulmetro1_icon.svg 남 영南 營Namyeong
0104파일:Seoulmetro1_icon.svg 용 산龍 山Yongsan고속
정차
0251파일:Seoulmetro1_icon.svg 노량진鷺梁津Noryangjin
0821파일:Seoulmetro1_icon.svg 대 방大 方Daebang
0822파일:Seoulmetro1_icon.svg 신 길新 吉Singil
0002파일:Seoulmetro1_icon.svg 영등포永登浦Yeongdeungpo고속[32]
정차
0823파일:Seoulmetro1_icon.svg 신도림新道林Sindorim
0824파일:Seoulmetro1_icon.svg 구 로九 老Guro
0825파일:Seoulmetro1_icon.svg 가산디지털단지加山디지털團地Gasan Digital Complex
0887파일:Seoulmetro1_icon.svg 독 산禿 山Doksan
0252파일:Seoulmetro1_icon.svg 금천구청衿川區廳Geumcheon-gu Office
0826파일:Seoulmetro1_icon.svg 석 수石 水Seoksu
0827파일:Seoulmetro1_icon.svg 관 악冠 岳Gwanak
0135파일:Seoulmetro1_icon.svg 안 양安 養Anyang정차
0828파일:Seoulmetro1_icon.svg 명 학鳴 鶴Myeonghak
0829파일:Seoulmetro1_icon.svg 금 정衿 井Geumjeong
0301파일:Seoulmetro1_icon.svg 군 포軍 浦Gunpo
파일:Seoulmetro1_icon.svg 당 정堂 井Dangjeong
0302파일:Seoulmetro1_icon.svg 의 왕義 王Uiwang
0830파일:Seoulmetro1_icon.svg 성균관대成均館大Sungkyunkwan Univ.
0831파일:Seoulmetro1_icon.svg 화 서華 西Hwaseo
0003파일:Seoulmetro1_icon.svg 수 원水 原Suwon고속[33]
정차
0614파일:Seoulmetro1_icon.svg 세 류細 柳Seryu
0303파일:Seoulmetro1_icon.svg 병 점餠 店Byeongjeom
파일:Seoulmetro1_icon.svg 세 마洗 馬Sema
파일:Seoulmetro1_icon.svg 오산대烏山大Osan Univ.
0141파일:Seoulmetro1_icon.svg 오 산烏 山Osan정차
파일:Seoulmetro1_icon.svg 진 위振 威Jinwi
0225파일:Seoulmetro1_icon.svg 송 탄松 炭Songtan
0243파일:Seoulmetro1_icon.svg 서정리西井里Seojeong-ri정차
0553파일:Seoulmetro1_icon.svg 평택지제平澤芝制PyeongtaekJije고속[34]
0004파일:Seoulmetro1_icon.svg 평 택平 澤Pyeongtaek정차
0248파일:Seoulmetro1_icon.svg 성 환成 歡Seonghwan정차
0279파일:Seoulmetro1_icon.svg 직 산稷 山Jiksan
0615파일:Seoulmetro1_icon.svg 두 정斗 井Dujeong
0005천 안天 安Cheonan고속[35]
정차
0142소정리小井里Sojeong-ri
0006전 의全 義Jeonui정차
0304전 동全 東Jeondong
0616서 창瑞 倉Seochang
0007조치원鳥致院Jochiwon고속[36]
정차
0305내 판內 板Naepan
0008부 강芙 江Bugang정차
0306매 포梅 浦Maepo
0009신탄진新灘津Sintanjin정차
0307회 덕懷 德Hoedeok
0617대전조차장大田操車場Daejeonjochajang
0010대 전大 田Daejeon고속
정차
0237세 천細 川Secheon
0022옥 천沃 川Okcheon정차
0300이 원伊 院Iwon정차
0308지 탄池 灘Jitan정차
0248심 천深 川Simcheon정차
0309각 계覺 溪Gakgye정차
0011영 동永 同Yeongdong정차
0128황 간黃 澗Hwanggan정차
0133추풍령秋風嶺Chupungnyeong정차
0499신 암新 岩Sinam
0226직지사直指寺Jikjisa
0012김 천金 泉Gimcheon고속[37]
정차
0310대 신大 新Daesin
0311아 포牙 浦Apo
0013구 미龜 尾Gumi고속[38]
정차
0312사 곡沙 谷Sagok
0230약 목若 木Yangmok정차
0014왜 관倭 館Waegwan정차
0313연 화蓮 花Yeonhwa
0223신 동新 洞Sindong정차
0314지 천枝 川Jicheon
0506서대구西大邱Seodaegu고속
0023대 구大 邱Daegu정차
0015동대구東大邱Dongdaegu고속
정차
0315고 모顧 母Gomo
0735가 천佳 川Gacheon
0024경 산慶 山Gyeongsan고속
정차
0316삼 성三 省Samseong
0317남성현南省峴Namseonghyeon정차
0016청 도淸 道Cheongdo정차
0318신 거新 巨Singeo
0272상 동上 東Sangdong정차
0017밀 양密 陽Miryang고속
정차
0620미 전美 田Mijeon
0018삼랑진三浪津Samnangjin정차
0215원 동院 洞Wondong정차
0224물 금勿 禁Mulgeum정차
0210화 명華 明Hwamyeong정차
0019구 포龜 浦Gupo벡스코[39]
고속
정차
0143사 상沙 上Sasang정차
0144부산진釜山鎭Busanjin
0020부 산釜 山Busan고속
정차


11. 역 목록[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경부선/역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2. 지선 철도[편집]






노선번호노선명기종점철도거리역수
30201용산삼각선삼각선(경부선)↔삼각선(경원선)0.5㎞-
30202구로삼각선삼각선(경부선)↔삼각선(경인선)1.2㎞-
30203구로기지선구로(경부선)↔구로기지(경부선)1.4㎞-
30204남부화물기지선의왕오봉3.0㎞2
30205수인선[40]수원인천52.3㎞27
30206병점기지선병점서동탄2.2㎞2
30207천안직결선두정천안3.1㎞2
30208오송선서창오송4.6㎞2
30209대전선대전서대전5.7㎞2
30210대구선가천영천29.0㎞8
30211미전선미전낙동강1.6㎞2
30212가야선사상범일8.3㎞4[41]
30213양산화물선물금양산화물3.5㎞2
30214부강화물선부강부강화물2.9㎞2
30215신동화물선신동신동화물4.7㎞2
30216평택선창내평택역8.8㎞3
30217평택삼각선신대↔분기점2.2㎞1
30218평택직결선신대↔분기점2.1㎞1
경부선에는 총 18개의 지선이 있으며 지선이 가장 많은 철도 노선이다.


13. 관련 문서[편집]





[1] 경부제1본선[2] 경부제3본선[3] 경부제1본선[4] 경부제3본선[5] 경부제2본선[6] 서울 ↔ 대전(추후 지제연결선이 개통되면 서정리로 줄어들 예정), 지천 ↔ 부산 구간 운행[7] 일본에서 유행하던 철도창가에서 영감을 얻은 것으로 추정된다.[8] 빗자루질(교통)/사례에도 나와있듯 이 구간은 모든 종류의 육상 대중교통이 경쟁하는데, 전부 다 터져나갈 정도로 수송량이 많다.[9] 구미역금오산 구간 이설과 함께 개업하였다.[10] 「[단독] 코레일 적자 주범이 SR?...광역철도·물류가 적자」, 조선비즈, 2018-10-23[11] 한강철교 노량진역 방향에 있는 곳은 제한속도 80km/h[12] 「천안-청주공항간 복선전철 '탄력'」, 매일건설신문, 2014-12-17 「천안~청주공항 복선전철 2017년 착공」, 충북넷, 2014-06-26[13] 「10년 넘게 제자리걸음 천안~청주공항 전철화 사업」, 동양일보, 2021-12-06[14] 「천안-청주공항 전철 지지부진…내년 초 분수령」, KBS대전, 2021-11-24[15] 「천안∼청주공항 복선전철 본궤도…타당성 재조사 통과」, 연합뉴스, 2022-06-30[16] 「서울~부산 KTX 20분 이상 단축된다」, 한국경제, 2015-05-23[17]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 뉴스 > 브리핑룸 > 보도자료[18] 「[경부선 부산 도심구간 지하화] 서부산권 폐선부지 개발로 부산 균형발전 기대」, 부산일보, 2018-06-19[19] 「가깝고 더 편리하게…창원시 대중교통, 철도중심으로 개편」, 연합뉴스, 2021-07-16[20] 국가철도공단 > 2023년 사업실명제 대상사업(목록) > 사업실명제 대상사업 > 사업실명제 > 정보마당[21] 「"150km/h급 일반철도, 개량없이 200km/h까지 높인다"」, 철도경제신문, 2022-10-17[22] 광명 포함[23] 서동탄역 포함[24] 용산, 영등포, 수원[25] 노량진, 대방, 구로, 가산디지털단지, 독산, 안양, 금정, 성균관대, 병점, 평택[26] 남영, 신길, 금천구청, 석수, 관악, 명학, 군포, 의왕, 화서, 오산, 서정리[27] 서울역(경부선), 신도림, 광명, 당정, 세류, 서동탄, 세마, 오산대, 진위, 송탄, 평택지제, 성환, 직산, 두정[28]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과의 환승역이지만 출입구 게이트를 1호선이 독점하고 있기 때문에 경의선, 중앙선 이용객이 전부 포함되어 있다.[29] 수도권 전철 4호선과의 환승역이지만 출입구 게이트를 1호선이 독점하고 있기 때문에 4호선 이용객이 전부 포함되어 있다.[30] 「[단독] 與 “‘경부선 지하화’ 예타 뛰어넘어 바로 추진”」, 부산일보, 2020-10-05[31]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 자료일람 > 주한일본공사관기록 & 통감부문서 > 統監府文書 9권 > 八. 韓國皇帝南巡關係書類, 韓國皇帝西南巡幸關係書類 > (8) [巡幸 예정 변경 통보\][32] 수원경유 KTX[33] 수원 경유 KTX 및 고속선 불통시 광명역 기능 대체[34] 수서평택고속선 한정[35] 고속선 불통시 천안아산역 기능 대체[36] 고속선 불통시 오송역 기능 대체[37] 고속선 불통시 김천구미역 기능 대체[38] 고속선 불통시 김천구미역 기능 대체[39] 시험용 전산망 한정, 영업용 전산망에는 구 우일역에 반영되어 있다.[40] 명목상 지선이다. 수원역에서 서로 교차할 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경부선과는 안산선을 통해 간접 연결되어 있다.[41] 임시승강장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