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구, 경산 버스 840

덤프버전 :

||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840번
파일:Seal_of_gyeongsan_little_white.png 경산시 간선버스 84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840.jpg
기점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부호리(경일대종점)종점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동산의료원)
종점행첫차05:30기점행첫차[평일] 05:32 / [토요일, 공휴일] 05:30
막차[평일] 22:27 / [토요일, 공휴일] 22:29막차[평일] 22:28 / [토요일] 22:21 / [공휴일] 22:18
평일배차10분주말배차12분
운수사명경산버스, 경상버스, 한일운수인가대수28대[1][2][감차운행중]
노선경일대 - 하양초교 - 대구대 - 진량우체국 - 영남대 - 경산시장 - 사월역 - 대공원역 - 수성구청 - 반월당역 - 회차구간((청라언덕역[3]동산의료원1 → 성명여자중학교)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동일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바람

[중간출발 시간표]
  • 2023년 2월 현재
  • 동산의료원행 첫차 중간출발 시간표 (평일)
출발영남대대륜중고교동산의료원
05:30(경일대)06:1906:5307:19
05:30(대구대)05:5806:3406:59
05:40(영남대)06:1606:39
05:38(경산시장)06:0706:30
05:38(사월역)05:5806:22
  • 동산의료원행 첫차 중간출발 시간표 (토요일)
출발경산시장동산의료원
05:30(경일대)06:2607:21
05:35(대구대)06:1407:11
05:32(영남대)05:4106:41
05:30(경산시장)06:31
05:30(사월역)06:21
  • 동산의료원행 첫차 중간출발 시간표 (공휴일)
출발경산시장동산의료원
05:30(경일대)06:2507:19
05:32(대구대)06:1307:08
05:38(영남대)05:5006:46
05:30(경산시장)06:24
05:30(사월역)06:14

  • 경일대행 첫차 중간출발 시간표 (평일)
출발경산시장대구대경일대
05:32(동산의료원)06:2307:0307:18
05:33(구.남부정류장)06:0206:4607:00
05:30(사월역)05:4006:2306:39
05:33(경산시장)06:1606:32
05:35(영남대)06:0406:24
05:35(선화리청구A)05:5106:16
  • 경일대행 첫차 중간출발 시간표 (토요일)
출발경산시장경일대
05:30(동산의료원)06:2007:18
05:38(수성구청)06:1007:07
05:35(구.남부정류장)06:0006:56
05:40(사월역)05:5006:45
05:40(경산시장)06:34
05:30(영남대)06:13
05:30(선화리청구A)06:03
  • 경일대행 첫차 중간출발 시간표 (공휴일)
출발경산시장경일대
05:30(동산의료원)06:1507:15
05:41(구.남부정류장)06:0307:02
05:43(사월역)05:5206:49
05:41(경산시장)06:36
05:38(영남대)06:23
05:32(선화리청구A)06:10

[중간종료 시간표]
  • 2023년 2월 현재
  • 경일대행 막차 중간종료 시간표 (평일)
동산의료원대륜중고교경산시장대구대종료
22:0022:2422:5023:3023:48(경일대)
22:2822:4823:1423:53(대구대)
  • 경일대행 막차 중간종료 시간표 (토요일)
동산의료원경산시장종료
21:5122:4223:41(경일대)
22:2123:1423:53(대구대)
  • 경일대행 막차 중간종료 시간표 (공휴일)
동산의료원경산시장종료
21:5422:4223:40(경일대)
22:1823:0623:53(대구대)


2. 개요[편집]


경산시 하양읍 부호리 경일대학교(8)에서 대구광역시 수성구 수성구청(4)을 거쳐 중구 동산동 동산의료원(0)까지 운행하는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노선이자 경산시 간선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81.4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 노선도


3. 역사[편집]



















4. 특징[편집]

















4.1. 일평균 승차량[편집]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840번
파일:Seal_of_gyeongsan_little_white.png 경산시 간선버스 840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13,836명-
2015년13,360명▽ 476
2016년14,036명△ 676
2017년13,323명▽ 713
2018년12,210명▽ 1,113
2019년11,487명▽ 723
2020년해당 연도 DB 미집계
2021년2,767명[14]▽ 8,720
2022년9,817명△ 7,050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 - 경산, 영천간 시내버스
[ 펼치기 · 접기 ]
8권역
(경산)
급행5518-1708814818 · 818-1
80855·555
8권역
(영천)
군위-신녕
9권역309449509609649
719840909939980
849-1100 · 100-1399990991
청: 일부 차량 청도군 금천면 진입 노선.
군청색 : 영천시 시내버스. / 초록색 : 경산시 시내버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21:47:21에 나무위키 대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경산버스 10대 / 경상버스 4대 / 한일운수 14대[2] 토요일 25대 / 공휴일 22대 운행[감차운행중] 경산버스 측의 기사 부족으로 10대 → 8대로 감축운행하며, 총 26대로 운행중이다.[3] 정류소 이름은 엘디스리젠트호텔[4] 당시 일반버스에 한해 시계외요금이 적용되었다. 대다수의 경산 유출입 노선들은 경산시장으로 내려가기 때문에 중산삼거리에서 영남대학교 같은 곳으로 이동 시 4km가 넘어 시계외요금이 부과됐다. 그래서 시계외요금을 징수하지 않았던 840번 좌석버스보다 오히려 비싼 요금이 나오는 일반버스였으며, 배차간격도 25~30분으로 상당히 길었다. 중산삼거리(시경계)에서 경일대학교까지 완주했을 때 당시 890번의 시계외요금은 무려 3,500원이었다.[5] 509번에 맞서 500번도 따로 만들었다.[6] 1호선과 달리, 2호선에서 대구대로 가는 노선은 840이 유일하다.[7] 엄밀히 말하면 안심역 → 하양, 영남대역 → 하양은 노선수나 배차나 생각한 것 만큼 큰 차이는 없다. 안심 → 하양 : 급행5 (12~15분), 808번 (약 12~15분, 대구대는 50% 경유), 814번(약 10분), 818번 (20~25분))(영남대 → 하양 : 840번, 803번 (경일대-호산대 미경유. 배차간격 30분, 영남대역 기준 막차 20시), 809번 (대구대 미경유. 배차간격 20~25분, 문명고 기준 막차 20시)[8] 기본적으로 반월당역까지 30분에 끊어주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이 있다. 여기에 한의대 노선과 임당역에서 직진하는 449, 649, 991을 제외하고 모든 노선이 경산시외버스터미널경산역을 거치며, 경산역-사월역에서 100, 100-1, 399, 509(소라아파트 행), 990이 합류하여 만촌역까지 쭉 간다. 다만 서문시장 회차 구간은 예외인데 도심인데도 의외로 노선망 자체가 적다.[9] 보통 단기회차 시간을 10분 주며 300번 같은 초단거리 노선들만 6분 부여한다. 장시간 운행 여건이 걸리는 600번, 655번, 524번은 예외로 단기회차 지점에서 15분 회차한다.[10] 통합요금제 시행 전에는 840번은 엄연히 좌석버스 노선이었기 때문에 저상버스 투입이 불가능했다.[11] 당시 투입되었던 차량은 2011년 8월에 전문 폴딩형 BS110CN 신형을 출고하면서 911번에 트레이드됐다가, 2017년에 현대저상으로 대차되어 990번에 운행 중이다.[12] 참고로 보통 저상버스 휠체어 승객 자리는 접이식 시트를 올리더라도 최대 상한선이 3명이다. 휠체어 락의 경우 수도권에서 주로 쓰는 차량들이 휠체어 락 2개가 기본이고 수도권 외 지방에서는 재고차량이 아닌 이상 휠체어 락 2개가 달린 저상버스를 찾기 어렵다.[13] 사실 저상버스를 돈 벌리는 노선에 투입한다는 것은 대중교통의 특징 중 하나인 공공성을 띄는 사업이란 것을 기만하는 행위다. 게다가 준공영제로 경연되는 업체라면 더더욱. 다만 아무리 돈이 되는 노선이라도 수요가 너무 많으면 차량의 특성상 저상버스를 못 넣는다. 대표적으로 저상버스를 넣었다가 엄청난 수요로 차체가 내려앉은 401번이 대표적인 예라고 볼 수 있다. (결국 북구2번으로 트레이드됐다.) 부처님 오신 날, 수능 직전에 (전국구로 사람들이 몰려드는) 갓바위로 가는 401번에 저상버스가 들어가는 것을 상상해 보자.[14] 경산시 구간의 일평균 승차량이 누락된 수치이다.[A] A B 동산의료원 방면 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