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경애왕릉

덤프버전 :

신라 왕릉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align=center><width=25%>
[[혁거세 거서간|{{{#fff 초대 혁거세 거서간}}}]]
[br][[오릉|혁거세왕릉(오릉)]] ||<width=25%>
[[남해 차차웅|{{{#fff 제2대 남해 차차웅}}}]]
[br][[오릉|남해왕릉(오릉)]]
||<width=25%>
[[유리 이사금|{{{#fff 제3대 유리 이사금}}}]]
[br][[오릉|유리왕릉(오릉)]]
||<width=25%>
[[탈해 이사금|{{{#fff 제4대 탈해 이사금}}}]]
[br][[탈해왕릉]]
|| ||
[[파사 이사금|{{{#fff 제5대 파사 이사금}}}]]
[br][[오릉|파사왕릉(오릉)]] ||
[[지마 이사금|{{{#fff 제6대 지마 이사금}}}]]
[br][[지마왕릉]] ||
[[일성 이사금|{{{#fff 제7대 일성 이사금}}}]]
[br][[일성왕릉]] ||
[[아달라 이사금|{{{#fff 제8대 아달라 이사금}}}]]
[br][[배동 삼릉|아달라왕릉(배동 삼릉)]] || ||
[[벌휴 이사금|{{{#fff 제9대 벌휴 이사금}}}]]
[br]'''현재 소재 파악 불가''' ||
[[내해 이사금|{{{#fff 제10대 내해 이사금}}}]]
[br]'''현재 소재 파악 불가''' ||
[[조분 이사금|{{{#fff 제11대 조분 이사금}}}]]
[br]'''현재 소재 파악 불가''' ||
[[첨해 이사금|{{{#fff 제12대 첨해 이사금}}}]]
[br]'''현재 소재 파악 불가''' || ||
[[미추 이사금|{{{#fff 제13대 미추 이사금}}}]]
[br][[미추왕릉]] ||
[[유례 이사금|{{{#fff 제14대 유례 이사금}}}]]
[br]'''현재 소재 파악 불가''' ||
[[기림 이사금|{{{#fff 제15대 기림 이사금}}}]]
[br]'''현재 소재 파악 불가''' ||
[[흘해 이사금|{{{#fff 제16대 흘해 이사금}}}]]
[br]'''현재 소재 파악 불가''' || ||
[[내물 마립간|{{{#fff 제17대 내물 마립간}}}]]
[br][[내물왕릉]][br][[황남대총]](소수설) ||
[[실성 마립간|{{{#fff 제18대 실성 마립간}}}]]
[br][[황남대총]](소수설) ||
[[눌지 마립간|{{{#fff 제19대 눌지 마립간}}}]]
[br][[황남대총]](다수설) ||
[[자비 마립간|{{{#fff 제20대 자비 마립간}}}]]
[br][[황남대총]](소수설) || ||
[[소지 마립간|{{{#fff 제21대 소지 마립간}}}]]
[br]'''현재 소재 파악 불가''' ||
[[지증왕|{{{#fff 제22대 지증왕}}}]]
[br][[천마총]](통설) ||
[[법흥왕|{{{#fff 제23대 법흥왕}}}]]
[br][[법흥왕릉]] ||
[[진흥왕|{{{#fff 제24대 진흥왕}}}]]
[br][[진흥왕릉]] || ||
[[진지왕|{{{#fff 제25대 진지왕}}}]]
[br][[진지왕릉]] ||
[[진평왕|{{{#fff 제26대 진평왕}}}]]
[br][[진평왕릉]] ||
[[선덕여왕|{{{#fff 제27대 선덕여왕}}}]]
[br][[선덕여왕릉]] ||
[[진덕여왕|{{{#fff 제28대 진덕여왕}}}]]
[br][[진덕여왕릉]] || ||
[[태종 무열왕|{{{#fff 제29대 태종 무열왕}}}]]
[br][[무열왕릉]] ||
[[문무왕|{{{#fff 제30대 문무왕}}}]]
[br][[문무대왕릉|문무대왕릉(대왕암)]] ||
[[신문왕|{{{#fff 제31대 신문왕}}}]]
[br][[신문왕릉]] ||
[[효소왕|{{{#fff 제32대 효소왕}}}]]
[br][[효소왕릉]] || ||
[[성덕왕|{{{#fff 제33대 성덕왕}}}]]
[br][[성덕왕릉]] ||
[[효성왕|{{{#fff 제34대 효성왕}}}]]
[br][[효성왕릉]] ||
[[경덕왕|{{{#fff 제35대 경덕왕}}}]]
[br][[경덕왕릉]] ||
[[혜공왕|{{{#fff 제36대 혜공왕}}}]]
[br]'''현재 소재 파악 불가''' || ||
[[선덕왕|{{{#fff 제37대 선덕왕}}}]]
[br]'''현재 소재 파악 불가''' ||
[[원성왕|{{{#fff 제38대 열조 원성왕}}}]]
[br][[원성왕릉|원성왕릉(괘릉)]] ||
[[소성왕|{{{#fff 제39대 소성왕}}}]]
[br]'''현재 소재 파악 불가''' ||
[[애장왕|{{{#fff 제40대 애장왕}}}]]
[br]'''현재 소재 파악 불가''' || ||
[[헌덕왕|{{{#fff 제41대 헌덕왕}}}]]
[br][[헌덕왕릉]] ||
[[흥덕왕|{{{#fff 제42대 흥덕왕}}}]]
[br][[흥덕왕릉]] ||
[[희강왕|{{{#fff 제43대 희강왕}}}]]
[br][[희강왕릉]] ||
[[민애왕|{{{#fff 제44대 민애왕}}}]]
[br][[민애왕릉]] || ||
[[신무왕|{{{#fff 제45대 신무왕}}}]]
[br][[신무왕릉]] ||
[[문성왕|{{{#fff 제46대 문성왕}}}]]
[br][[문성왕릉]] ||
[[헌안왕|{{{#fff 제47대 헌안왕}}}]]
[br][[헌안왕릉]] ||
[[경문왕|{{{#fff 제48대 경문왕}}}]]
[br]'''현재 소재 파악 불가''' || ||
[[헌강왕|{{{#fff 제49대 헌강왕}}}]]
[br][[헌강왕릉]] ||
[[정강왕|{{{#fff 제50대 정강왕}}}]]
[br][[정강왕릉]] ||
[[진성여왕|{{{#fff 제51대 진성여왕}}}]]
[br]'''현재 소재 파악 불가''' ||
[[효공왕|{{{#fff 제52대 효공왕}}}]]
[br][[효공왕릉]] || ||
[[신덕왕|{{{#fff 제53대 신덕왕}}}]]
[br][[배동 삼릉|신덕왕릉(배동 삼릉)]] ||
[[경명왕|{{{#fff 제54대 경명왕}}}]]
[br][[배동 삼릉|경명왕릉(배동 삼릉)]] ||
[[경애왕|{{{#fff 제55대 경애왕}}}]]
[br][[경애왕릉]] ||
[[경순왕|{{{#fff 제56대 경순왕}}}]]
[br][[경순왕릉]] || ||<-4>
{{{#000,#e5e5e5 수장급 능묘}}}
[br][[대릉원]]([[금관총]] · [[금령총]] · [[봉황대]] · [[서봉총]] · [[식리총]] · [[천마총]] · [[호우총]] · [[황남대총]])[br][[금척리 고분군]] ·[[서악동 고분군]][br][[구정동 방형분]] · [[경주 김유신묘|김유신장군묘]] · [[김인문]]묘 · [[김양]]묘 · [[설총]]묘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사적 제222호
경애왕릉
景哀王陵
[ 펼치기 · 접기 ]

소재지경상북도 경주시 배동 산73-1번지
분류유적건조물/무덤
면적2,273㎡
지정연도1971년 4월 28일
제작시기신라
위치


파일:external/www.cha.go.kr/2016012713492200.jpg
경주시에서 가져온 사진

1. 개요
2. 상세


1. 개요[편집]


景哀王陵

경상북도 경주시에 위치한 신라 55대 왕 경애왕의 무덤이다. 사적 제222호로 지정되었다. 경애왕은 신라 최말기의 왕으로 성은 박씨이고 휘는 위응으로 재위 4년 포석정에 유연할 때 불의에 후백제 견훤의 습격을 받아 비참한 최후를 마쳤다.[1]


2. 상세[편집]


경주에 만들어진 마지막 왕릉이다.

일생을 마친 포석정에서 가깝다면 가까운 1.5km 정도 거리에 있다. 근처에 박씨 왕들의 왕릉인 배동 삼릉이나 오릉이 있어 경주 시가지 서남부의 이 지역이 박씨 왕조의 능원으로 조성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주변에 송림이 울창하고 봉토가 일반 묘보다는 크므로 왕릉으로 구전되어 오고 있다. 릉은 평범한 원형 토분이고 표면에는 아무 시설이 없다. 릉 앞에 석상이 있으나 최근에 설치한 것이다.

경애왕의 최후와 당시 신라의 국세가 재기할 수 없을만큼 기울었다는 정세를 감안하더라도 왕릉으로서는 빈약한 편이다. 어쩌면 견훤이 고의로 저렇게 만들 것을 명령한 것일수도 있다. 자신이 죽인 왕의 무덤을 선대 신라왕급으로 화려하게 만들 경우 견훤 본인의 위상이 그만큼 추락하기 때문이다.

다만 현재 일성왕릉으로 불리는 일성 이사금의 무덤을 경애왕의 진짜 무덤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신라왕릉 문서에도 나와있듯이 고고학적 지식이 부족하던 조선시대에 비정된 것이기 때문에 경애왕의 진짜 무덤이 아닐 가능성은 충분하다.



[1] 927년 포석정에서 연회를 베풀면서 회장에서 모두들 흥에 겨우고 있었는데 갑자기 견훤과 그의 군사들이 습격해 경애왕에게 자살을 명령하고 왕비와 궁녀를 견훤과 그의 군사들이 욕보이게 한 뒤 김부(56대 경순왕)를 왕에 자리에 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