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경주 석씨

덤프버전 :


한국의 성씨
[ 펼치기 · 접기 ]

· · · · · 강전 · · · · · · · · · · · · · · · · · · · · ·
· · · 남궁 · · · · ·
· · · · · · · 독고 · · · 동방 · · · 등정
· · · · · · · ·
· · 망절 · · · · · · · · 무본 · · · ·
· · · · · · · · · · · · · ·
· 사공 · · · · · 서문 · · · 선우 · · · · · 소봉 · · · · · · · · ·
· · · · · · 어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곡 · · · · · · 제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목 · 황보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신라국성
慶州 昔氏 (月城 昔氏)
경주 석씨 (월성 석씨)
관향경상북도 경주시
시조석탈해(昔脫解)
중시조석재흥(昔載興)
인구11,355명(2015년)


1. 개요
2. 시조 석탈해
3. 역대 석씨 왕조 일람.
4. 인구
5. 항렬자
6. 인물
7. 같이 보기



1. 개요[편집]


월성 석씨(月城 昔氏) 와 경주 석씨(慶州 昔氏)는 한국의 성씨이다. 월성은 경주의 옛 표기이며, 두 성씨는 동본이다. 신라때의 김씨, 박씨와 함께 신라의 국성이며, 신라의 4대왕인 탈해 이사금을 시조로 한다.

석씨는 신라 시대, 172년 동안 왕조를 유지했다.


2. 시조 석탈해[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탈해 이사금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기원전 19년(혁거세 39년), 한 노파가 고기잡이를 하던 도중 한 금궤가 내려와 이를 열어보니,한 사내아이가 있었다. 그 노파는 이 사내아이를 잘 길렀다. 시간이 지난후 그 사내아이는 키가 9척이나 되었으며 (이하생략) 신라의 4대왕이 되었다.

중시조 석재흥(昔載興)은 탈해 이사금의 23대손이며, 고려의 문신이었다.


3. 역대 석씨 왕조 일람.[편집]


경주 석씨 즉 월성 석씨는 총8명의 신라 군주를 배출 하였다. 총 재위기간 172년.

4. 인구[편집]


2015년 경주석씨 + 월성석씨는 1만명 가량으로 매우 적다.

5. 항렬자[편집]


월성 석씨(月城 昔氏)는 각파가 통일된 항렬자를 사용하는 대동항렬법을 채택하고 있다. 각 항렬은 중시조 기준으로 계대를 계산 한것 이다.
계대수항렬자
38世기(基)
39世진(鎭)
40世하(河)
41世동(東)
42世영(榮)
43世규(圭)
44世호(鎬)
45世준(準)
46世식(植)

6. 인물[편집]


  • 석탈해-경주(월성) 석씨의 시조.
  • 역대 석씨 왕조.
  • 석재흥(昔載興)-경주(월성)석씨의 중시조. 석탈해의 22대손으로, 고려 때에 교서랑을 지냈었다.
  • 석수철-야구 감독.[1]
  • 석동석-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은산리, 제9호 은산별신제(화주)예능 보유자
  • 석영훈-현 공군 중령(공군사관학교 54기), 10전투비행단 항공작전과장
  • 석태용- 탈해왕릉 능참봉

7. 같이 보기[편집]




[1] 옛날 석을 사용하는 현대의 유명인 중 거의 유일하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