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다마 겐타로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3b2622><width=20%> 초대 ||<width=20%> 제2대 ||<width=20%> 제3대 ||<width=20%> 제4대 ||<width=20%> 제5대 ||
||<rowbgcolor=#fff,#1f2023> 가바야마 스케노리 || 가쓰라 다로 || 노기 마레스케 || 고다마 겐타로 || 사쿠마 사마타 ||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rowbgcolor=#fff,#1f2023> 안도 사다요시 || 아카시 모토지로 || 덴 겐지로 || 우치다 가카치 || 이자와 다키오 ||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rowbgcolor=#fff,#1f2023> 가미야마 만노신 || 가와무라 다케지 || 이시즈카 에이조 || 오타 마사히로 || 미나미 히로시 ||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rowbgcolor=#fff,#1f2023> 나카가와 겐조 || 고바야시 세이조 || 하세가와 기요시 || 안도 리키치 ||




고다마 겐타로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일본 제국 육군기.svg
일본 제국 육군대신
[ 펼치기 · 접기 ]

육군대신 (1885년~1945년)
초대
오야마 이와오
2대
다카시마 도모노스케
3대
오야마 이와오
4대
다카시마 도모노스케
5대
가쓰라 다로
5대
가쓰라 다로
6대
고다마 겐타로
7대
데라우치 마사타케
7대
데라우치 마사타케
8대
이시모토 신로쿠
9대
우에하라 유사쿠
10대
기고시 야스쓰나
11대
구스노세 유키히코
12대
오카 이치노스케
13대
오시마 겐이치
14대
다나카 기이치
15대
야마나시 한조
15대
야마나시 한조
16대
다나카 기이치
17대
우가키 가즈시게
18대
시라카와 요시노리
19대
우가키 가즈시게
20대
미나미 지로
21대
아라키 사다오
22대
하야시 센주로
23대
가와시마 요시유키
24대
데라우치 히사이치
25대
나카무라 고타로
26대
스기야마 하지메
27대
이타가키 세이시로
28대
하타 슌로쿠
29대
도조 히데키
폐지
30대
스기야마 하지메
31대
아나미 고레치카
33대
시모무라 사다무





{{{#d1ca26 제4대 대만총독
고다마 겐타로
児玉源太郎 | Kodama Kentarō}}}
파일:Gentaro_Kodama_2.jpg
출생1852년 4월 14일
스오국 쓰노군 도쿠야마
(현 야마구치현 슈난시 고다마초)
사망1906년 7월 23일 (향년 54세)
도쿄부 도쿄시 우시고메구
(현 도쿄도 신주쿠구)
재임기간제4대 대만총독
1898년 2월 26일 ~ 1906년 4월 11일
제6대 육군대신
1900년 12월 23일 ~ 1902년 3월 27일
제21대 내무대신
1903년 7월 15일 ~ 1903년 10월 12일
제17대 문부대신
1903년 7월 17일 ~ 1903년 9월 22일
[ 펼치기 · 접기 ]

부모아버지 고다마 한쿠로
형제자매누나 히사코
배우자마츠코
자녀7남 4녀
작위자작
약력육군차관
제4대 대만총독
제6대 육군대신
철도회의 의장
문부대신
내무대신
남만주철도주식회사 창립위원장
군사 경력
복무일본제국 육군
1869년 ~ 1906년
최종 계급대장
주요 보직육군대학교 간사
육군대학교장
제3사단장
참모본부차장
만주군 총참모장
육군참모총장
참전보신 전쟁
세이난 전쟁
청일전쟁
러일전쟁


1. 개요
2. 생애
3. 활동
4. 여담
5. 대중매체에서



1. 개요[편집]


일본 제국의 군인, 제4대 대만총독부 총독.


2. 생애[편집]




3. 활동[편집]




4. 여담[편집]


  • 노기 마레스케와는 친구사이이다. 203고지 전투에서 노기가 고전을 면치 못하자 이를 보다못한 만주군 총참모장 고다마는 노기에게 지휘권을 잠시 인수받아 순식간에 203고지를 함락시켰다.


5. 대중매체에서[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