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운사

덤프버전 :

파일:대한불교조계종 로고.svg[[파일:대한불교조계종 로고(유색배경).svg
25교구 및 본사
[ 펼치기 · 접기 ]

직할교구제2교구제3교구제4교구제5교구
조계사용주사신흥사월정사법주사
제6교구제7교구제8교구제9교구제10교구
마곡사수덕사직지사동화사은해사
제11교구제12교구제13교구제14교구제15교구
불국사해인사쌍계사범어사통도사
제16교구제17교구제18교구제19교구제20교구
고운사금산사백양사화엄사선암사
제21교구제22교구제23교구제24교구제25교구
송광사대흥사관음사선운사봉선사
군종특별교구 · 해외특별교구





파일:고운사 전경 국립중앙박물관.jpg
일제강점기 고운사 전경

1. 개요
2. 역사
3. 문화재
4. 사건사고


1. 개요[편집]


한자 : 孤雲寺 / 로마자 : Gounsa
홈페이지 / 유튜브 채널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구계리 등운산에 있는 사찰이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이다. 단촌면에 속해 있지만 단촌면 소재지보다는 오히려 안동시 일직면소재지에서 접근하는 게 더 편하다. 의성군, 안동시, 영주시, 봉화군, 영양군 등지의 절을 관할하고 있다. 인근지역 유명사찰인 부석사, 봉정사 등도 고운사의 관할 하에 있다.

북의성IC에서 내려서 한참 더 올라가야 한다. 근방에 사는 현지인이나 자주 방문하는 불자라면 주변 마을 도로를 이용해서 동네 고갯길을 넘어가면 금방 가지만, 만일 네비를 찍고 가는 관광객이라면 남안동IC에서 가는 것이 훨씬 빠르다.

2. 역사[편집]


681년(신문왕 1년) 신라시대 승려의상(義湘)이 창건하여 이름을 고운사(高雲寺)라고 하였다. 그후 최치원(崔致遠)이 여지, 여사 두 승려와 함께 가허루(駕虛樓)와 우화루(羽化樓)를 짓고 고운사(孤雲寺)로 개칭하였다. 헌강왕 때에 도선(道詵)이 약사여래불과 석탑을 건립하였다.

고려시대인 948년(정종 3년)에 중창하였고, 1018년(현종 9년)에 들어 다시 중창하였다. 이후 조선시대에 들어와 1695년(숙종 21년)에 중수하였다. 그후 1835년(헌종 1년)에 불탄 것을 재건하였고, 현대에 들어 1970년대에 건물 일부가 다시 소실된 사고가 있기도 했다. 이후로는 큰 사고 없이 현재에 이른다.


3. 문화재[편집]


경내의 국가 지정 중요 문화재로는 보물 제246호로 지정된 '의성 고운사 석조여래좌상'과 보물 제2078호로 지정된 '의성 고운사 연수전'이 있다. 이 외의 지방 문화재로는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51호로 지정된 '고운사 가운루'가 있다.


4. 사건사고[편집]


2019년 7월 당시 해당 사찰의 주지스님 자현에 대하여 문제시가 된 적이 있었다. 당시 이 자현스님에 대한 문제로 안동시 내부에서 시끄러웠던 적 있었는데, 해당 사안에 대해서 가장 먼저 직무정지(사유 : 폭력+성추문+공금횡령)가 된 적 있었다. 관련 영상. 이 다음 해에 8월 27일 자로 확정고지가 된 것은 공권정지 3년, 주지스님 직위 박탈, 변상금(약 2억4천 정도) 배상 부과를 받게 되었다.

물론 2020년 현재도 대체로 해당 사찰에 부정적인 반응이 많다.[1]



[1] 자현스님 이전의 전 주지도 금전에 목을 맨 이미지였고, 대체로 주지스님을 목적으로 한 알력싸움까지 벌어진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