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정완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고정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종목번호활동명선수명활동기간
오버워치
배틀그라운드
2
EscA
김인재2017.08.22 ~ 2018.08.15
오버워치14
ryujehong
류제홍2017.08.22 ~ 2019.11.28
오버워치4
tobi
양진모2017.08.22 ~ 2020.11.27
배틀그라운드1
Esther
고정완2017.11.29 ~ 2019.12.11
2021.01.05 ~ 2022.01.02
배틀그라운드10
Pio
차승훈2019.04.29 ~ 2022.01.02
리그 오브 레전드1
Ruler
박재혁2016.05.17 ~ 2022.11.10




||
[ 펼치기 · 접기 ]

시즌우승팀선수감독 및 코치
123456파일:Coach_icon.png
COACH
2018
TPP
파일:geng gold.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Esc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helato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Loki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imS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anbazi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ANKEONHEE
2018
FPP
파일:PGI_OMG.png파일:중국 국기.svg
Xiaorong
파일:중국 국기.svg
Xiaohaixxxx
파일:중국 국기.svg
SilentBT_
파일:중국 국기.svg
LionKK
2019파일:Gen.G 로고.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Esth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Pi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taemi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Loki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WatchinU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helator
2021.S파일:Soniqs_logo.png파일:미국 국기.svg
hwinn
파일:미국 국기.svg
Shrimzy
파일:호주 국기.svg
TGLTN
파일:미국 국기.svg
M1ME
파일:쿠바 국기.svg
Sharpshot4k
파일:미국 국기.svg
Syllogic
2021파일:NewHappy_2021.png파일:중국 국기.svg
HSmm
파일:중국 국기.svg
MMing
파일:중국 국기.svg
ZpYan1
파일:중국 국기.svg
Nannnnn
파일:중국 국기.svg
Rick
2022파일:Natus_Vincere_2021.png파일:조지아 국기.svg
Mell
파일:러시아 국기.svg
ubah
파일:러시아 국기.svg
xmpl
파일:러시아 국기.svg
alya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ALREIN
2023파일:Danawa e-sports logo.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eou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Loki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Inoni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alut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LeCl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sonic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LeClo




||
[ 펼치기 · 접기 ]

시즌대회우승팀선수감독 및 코치
2021Pre
Season
파일:Afreeca_Freecs.pngAkad · EJ · Hansia · Hikari · R0whaPeachCan · Jayden
Phase 1파일:Afreeca_Freecs.pngAkad · EJ · Hansia · Hikari · R0whaPeachCan · Jayden
Phase 2파일:Gen.G 로고.svgEsther · Pio · Inonix · Asura · AlphacaWatchinU · Chelator
2022Phase 1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Akad · LashK · EEND · HikariOrion · Jayden
Phase 2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Akad · LashK · EEND · HikariOrion · Jayden
2023Phase 1파일:Danawa e-sports logo.pngseoul · Salute · Inonix · Lokissonic · LeClo
Phase 2파일:Danawa e-sports logo.pngseoul · Salute · Inonix · Lokissonic · LeClo





||


前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이머
前 발로란트 프로게이머
Gen.G No.1
Esther
고정완 (Go Jeong-wan)
출생1995년 6월 29일 (28세)
부산광역시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대연고등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
IDESTH3R #
경력 상금$862,523.16 USD
(₩1,028,990,129.88)
[1]
소속파일:PUBG: BATTLEGROUNDS 아이콘.svgEGEL
(2017.08 ~ 2017.09.23)
Anarchy
(2017.10.02 ~ 2017.11.21)
Gen.G
(2017.11.29 ~ 2019.12.11)

Afreeca Zar Gaming
(2020.12.04 ~ 2020.12.13)
Gen.G[영구결번]
(2021.01.05 ~ 2022.01.02)

Gen.G 코치
(2023.06.08 ~ )
파일:발로란트 심볼.svgENTER FORCE.36
(2022.11.25 ~ 2023.04.08)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트게더 아이콘.svg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 파일:도유 아이콘.pn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
2. 주요 경력
3. 상세
4. 플레이 스타일
5. 여담



1. 개요[편집]


파일:2021 PGC Esther.jpg
대한민국의 前 배틀그라운드, 발로란트 프로게이머. 現 Gen.G 코치.

젠지 배틀그라운드 선수 중 유일하게 프로팀 창단부터 쭉 자리를 지켜온 원클럽맨이였으나 종목을 바꿔 발로란트로 프로게이머 생활을 이어가고 싶다는 뜻을 밝혀 젠지와 계약을 해지하였다.

오버워치 출신 ZunbaCS:GO 출신 Xeta, Jinx, Lakia와 함께 발로란트 팀을 꾸려 스폰서를 찾고 있는 상태였으나 팀에서 나와 최근 아프리카로 복귀한다고 인스타, 페북에 공지가 올라왔다.

2021년 1월 5일 은퇴 번복 후, 젠지로 복귀하여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이머 생활을 다시 이어나가게 되었다.

2022년 1월 2일, 젠지에서의 선수 생활을 마무리하며 피오와 함께 은퇴하게 되었다. 에스더가 사용했던 1번은 PUBG 팀의 영구 결번으로 지정되었다.

2022년 11월 25일, 발로란트로 재전향하고 일본의 프로게임단 ENTER FORCE.36에 입단했다.

2023년 4월 8일, 프로게이머로서의 완전 은퇴를 선언하고 지도자로 활동할 것임을 알렸다.

2023년 6월 8일, 젠지 코치로 배틀그라운드 이스포츠에 지도자로써 복귀하였다.


2. 주요 경력[편집]


우승 경력
PUBG TwichTV Road To G-STAR 1차 우승
굿보이스아나키Team EVERMORE
AfreecaTV PUBG League Pilot Season Split 1 우승
AfreecaTV PUBG League Pilot Season Split 2 우승
대회 출범KSV NOTITLEOGN ENTUS ACE
AfreecaTV PUBG League Pilot Season 정규시즌 우승
AfreecaTV PUBG League Season 1 정규시즌 우승
대회 출범KSV NOTITLEGen.G GOLD
AfreecaTV PUBG League Pilot Season 우승
AfreecaTV PUBG League Season 1 우승
리그 출범KSV NOTITLEOGN ENTUS FORCE
PUBG Warfare Masters Pro Tour 정규시즌 우승
4:33Gen.G BLACK리그 통합
2019 HOT6 PUBG Korea League Phase 2 우승
OP GAMING RangersGen.GOGN ENTUS FORCE
MET Asia Series: PUBG Classic 우승
FaZe ClanGen.G폐지
PUBG Global Championship 2019 우승
Gen.G GOLD
Oh My God
Gen.GSoniqs
2021 PUBG WEEKLY SERIES: EAST ASIA Phase 2 우승
Afreeca FreecsGen.GKWANGDONG FREECS
준우승 기록
AfreecaTV PUBG League Pilot Season Split 3 준우승
NoBrandKSV NOTITLE대회 변경
2021 PUBG WEEKLY SERIES: EAST ASIA Phase 1 준우승
VRLU GHIBLIGen.GMaD Clan
수상 경력
배틀그라운드
AfreecaTV PUBG League Season 1 Final Most Kill
양대인
(Talk Too Much)
고정완
(KSV NOTITLE)
김경열
(Afreeca Freecs Ares)


3. 상세[편집]


2015년 여름 군입대[2] 후 휴가때마다 오버워치를 플레이하여 4350점까지 찍은 타고난 게임센스의 소유자이다.

전역 후 배틀그라운드를 시작하고 얼리엑세스 시즌2, 시즌3을 연속으로 전세계 레이팅 합산 랭킹 1위로 마감하기도 했다.

본격적인 배틀그라운드 스쿼드 대회 참가를 위해 더헬, 미라클TV, 개돌과 함께 E.G.E.L 팀을 구성했으나 각자 사정으로 해체되고, 섹시피그의 제안으로 Anarchy팀에 들어가게 된다.

로드투지스타 트위치 선발전 1차에서 단 2경기로 우승하고 G-STAR에서 열리는 PUBG Asia Invitational G-Star 2017에 진출하게 된다. 이 대회에서 7위라는 아쉬운 성적으로 Anarchy팀은 스폰을 받지 못해서 해체된 후 벤츠윤루트의 제의로 KSV NOTITLE팀에 합류했다.

젠지 블랙이 젠지 펍지 단일팀으로 합쳐짐과 동시에 벤츠와 섹시피그가 OP GAMING으로 이적하고, 윤루트는 스트리머 활동을 하게 됐는데, 에스더는 젠지에 잔류하게 된다. 실력을 키워서 하반기부터 참가하겠다고 밝혔고, 젠지 리빌딩 이후 오더수를 맡으면서 리그에 참여하고 있다.

2019 PGC 우승 이후 젠지 서브멤버가 되고 젠지 스트리머 역할을 하고 있다.

2020년에는 젠지에서 나와 발로란트 프로를 준비중이었지만 무산되면서 2020년 말 아쿠아5 선수가 T1으로 이적하고 알파카 선수와 함께 젠지로 복귀하여 2021 PWS 프리시즌부터 이어나가고 있다.

2023년 젠지 펍지팀 코치로서 제 2의 커리어를 시작했다

4. 플레이 스타일[편집]


NTT 시절부터 에스더를 수식하는 단어는 PUBG 최상급 육각형 만능 플레이어이다. 거의 모든 포지션에서도 1인분 이상을 하는 흔치 않은 올라운더로서, 현역들 중 기복없는 선수를 꼽을 때 언더와 함께 거의 항상 최상위권에 있을 정도로 저점이 높은 피지컬에 긴박한 상황에서도 흥분하지 않는 침착성과 반동이 없는것처럼 보일 정도의 연사 반동제어가 특기.

특유의 침착성으로 교전 상황을 잘 파악하고 멘탈 약하기로 유명한 트위치 스트리머 가브리엘과 듀오 하면서도 냉정함을 유지했을 정도. 근접 원거리 가리지 않는 정확한 명중률로 상대를 제압하는 샷이 일품이다. 자신의 약점으로 뽑았던 DMR, SR류도 연습을 통해 정복해나가는 중이다. 또한 본인 혼자 살아남은 상황에서 뛰어난 센스로 생존해 순위를 끌어올리는 등, 샷 이외에 게임 센스적인 부분에서도 매우 뛰어나다. 필요에 따라서는 팀의 오더를 맡기도 하며, 여러 면에서 최고의 만능 플레이어로 평가받고 있다.

2020년에는 선수 생활을 쉬었으나 2021년에는 젠지에 다시 영입되면서 기복없이 팀의 든든한 백업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1년도 에스더는 한마디로 젠지의 방패라고 할 만 한데, 후방에서 있을지 모르는 기습에 대응하며 뒤를 체크하는 것은 거의 에스더의 역할이며, 가장 위험할 1선으로 정찰을 나가는 것은 물론이고 팀원들에게 본인의 총기, 배율, 방어구, 회복템 등을 아낌없이 나눠주는 등. 과거 킬레이터, 아쿠아5가 수행하던 팀원간 연결고리, 희생플레이를 에스더가 수행하고 있다. 덕분에 생존률이 높지 않아보여서 비난을 받는 경우도 있는데 에스더의 플레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비난이라고 볼 수 있다. 덕분인지 아예 에스더가 본인을 광대라고 비유하는 경지에 오른 상황.

그의 클러치 능력을 확인할 수 있는 경기.


5. 여담[편집]


  • 카운터 스트라이크의 영향인지 남다른 저감도 유저로써 선수용 라지 사이즈 패드의 끝과 끝까지 마우스를 움직여도 화면이 180도 정도만 움직인다. 로지텍 G403를 사용하다가 PGI 대회가 끝난후 변화를 주고 싶다는 이유로 조위기어 EC2-B로 바꾸었고 여전히 저감도이다. 키보드는 레오폴드 FC750R 갈축을 사용했으나 현재는 소속 구단과 스폰서쉽을 맺은 RAZER의 Razer BlackWidow Chroma V2 오렌지축을 사용하고 있다.


  • KSV ASEL 전 멤버 이자 트위치 스트리머 이태준(1995)과 같은팀 KSV NOTITLEYoonroot와 느그트리오를 결성하여 엄청난 캐미를 보여주었다.

  • RAZER의 스폰싱을 받고 있는데, 덕분에 방송에서 사용중인 레이저 에비수스를 적극적으로 어필하고 있다. 팀원들은 아예 에스더를 '아비수스맨'이라고 부르는 중.##

  • 2018년 말 들어서 부쩍 살이 오르고 있지만, 본인은 게임과 관계없는 체지방 이야기를 듣는 것을 상당히 싫어하는 편이다.

  • 개인방송을 잠시 아프리카TV에서 했으나, 2019년 12월부터 트위치로 방송하겠다는 사실을 알렸다.

  • 배그 프로씬에서 선수들이 대부분 한번씩은 팀을 옮기는데 비해 에스더는 첫 프로 데뷔 이후부터 쭉 젠지와 함께하고 은퇴를 번복하고 다시 돌아온 팀이 젠지, 선수 은퇴 이후 지도자로써 복귀한 팀도 젠지여서 팬들은 에스더를 진정한 젠전드라고 부르기도 한다.

  • 현재는 방송은 하지 않지만 배그말고 다른 게임을 하면서 지내고 있다고 한다.

  • 같이 살고있는 형한테 코로나에 감염되었다고 피오 방송에서 나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2 22:20:32에 나무위키 고정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Esther 경력 상금.[영구결번] No.1[2] 11사단 헌병대 출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