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조선/왕조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고조선



[ 펼치기 · 접기 ]

단군조선
초대 단군계보 미상제?대 조선후
조선후 ?세
계보 미상초대 왕제2대 왕제3대 왕
조선왕 1세조선왕 2세조선왕 3세
계보 미상제?대 왕말대 왕
부왕준왕
위만조선
초대제2대제3대멸망
위만왕□왕우거왕
'기자'의 재위 및 '기자조선'의 존재는 학계에서 인정되지 아니함.
'한후'는 고조선 군주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음.







고조선 왕조
古朝鮮王朝

조선 왕조 / 朝鮮王朝
기원전 2333년? ~ 기원전 108년
국성불명 (단군조선)
(위만조선)
창건자단군왕검 (기원전 2333년? ~ ?)
위만 (기원전 194년 ~ ?)
마지막 군주우거왕 (? ~ 기원전 108년)
국호조선 (? ~ 기원전 108년)
군주 직함단군왕검 (? ~ ?)
(? ~ ?)[1]
(기원전 4세기경 ~ 기원전 108년)

1. 개요
2. 연표
2.2. 위만조선
2.3. 논란 존재
3. 현재 인정받지 못하는 기록
3.1.1. 문헌 기록
3.1.2. 국내 족보 기록
3.2.1. 전설
3.2.2. 위서: 규원사화(揆園史話)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고조선의 역대 군주들에 대한 정보를 담은 문서이다. 현대 한국 사학계에서는 기자조선은 존재하지 않았다는 것이 주류설이다.


2. 연표[편집]



2.1. 단군조선[편집]


대수초상왕명재위기간
국군국왕
1-파일:attachment/UploadedFiles/Dangun.jpg단군왕검
(檀君王儉)
불명기원전 2333년 ~ 기원전 425년[2][3]
계보 미상
?--조선후
(朝鮮侯)
불명기원전 7세기경
계보 미상
?1-조선왕 1세
(朝鮮王 一世)
불명? ~ 기원전 323년 (후작)
기원전 323년 ~ ? (국왕)
?2-조선왕 2세
(朝鮮王 二世)
불명? ~ ?
?3-조선왕 3세
(朝鮮王 三世)
불명? ~ ?
계보 미상
??-부왕
(否王)
부(否)? ~ ?
??-준왕
(準王)
준(準)? ~ 기원전 194년


2.2. 위만조선[편집]


대수왕명초상화재위 기간
초대위만왕
(衛滿王)
파일:위만왕.jpg위만
(衛滿)
기원전 194년 ~ ?
제2대위만조선왕 2세
(衛滿朝鮮王 二世)
불명? ~ ?년
말대우거왕
(右渠王)
우거
(右渠)
? ~ 기원전 108년


2.3. 논란 존재[편집]


다음은 문헌상 확인되나 고조선의 군주가 맞는지 논란이 있는 군주들이다.

대수작호재위기간주군
?한후(韓侯)불명기원전 11세기경주성왕
?한후(韓侯)불명기원전 9세기경주여왕
주선왕


3. 현재 인정받지 못하는 기록[편집]



3.1. 기자조선[편집]



3.1.1. 문헌 기록[편집]


순서왕명(혹은 호칭)재위 기간생몰년도비고
초대기자서여
수유
기원전 1,046년 ~ ?[4]? ~ ?파일:기자 자서여.jpg
불명
불명조선후불명기원전 7세기 사이? ~ ?기자의 후손
불명
3-40여대조선왕 1세불명기원전 4세기 사이? ~ ?기자의 후손
3-40여대조선왕 2세불명기원전 4세기 ~ 기원전 3세기 사이? ~ ?조선왕 1세의 아들
3-40여대조선왕 3세불명기원전 3세기 전반? ~ ?조선왕 2세의 아들
불명
40여대부왕기원전 230년 경 ~
기원전 220년경
? ~ ?기자의 40여 세손.[5]
말대준왕기원전 220년경 ~
기원전 194년
? ~ ?부왕의 아들.[6]


3.1.2. 국내 족보 기록[편집]



기자조선 군주
箕子朝鮮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2대제3대제4대
문성왕장혜왕경효왕공정왕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문무왕태원왕경창왕흥평왕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철위왕선혜왕의양왕문혜왕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성덕왕도혜왕문열왕창국왕
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무성왕정경왕약성왕효종왕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
천로왕수도왕휘양왕봉일왕
제25대제26대제27대제28대
덕창왕수성왕영걸왕일민왕
제29대제30대제31대제32대
제세왕청국왕도국왕혁성왕
제33대제34대제35대제36대
화라왕설문왕경순왕가덕왕
제37대제38대제39대제40대
삼로왕현문왕장평왕종통왕
제41대
애왕




아래 표는 청주 한씨, 태원 선우씨, 행주 기씨 등 기자를 시조로 하는 성씨의 족보, 그리고 기자지 등에 나오는 기자조선의 군주 명단이다. 이덕무(李德懋, 1741~1793)의 저서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앙엽기(盎葉記)」나 이만운(李萬運, 1723~1797)의 1777년작 저서 『기년아람(紀年兒覽)』에도 등장하지만 그 내용이 조금씩 다르다.

족보는 후대에 조작됐을 가능성이 높고, 다른 사서들에 있는 명단도 빨라야 16세기에 이르러 처음 등장한 것이라 학계에서는 후대의 창작물로 간주한다. 애초에 고조선이 칭왕한 것은 기원전 4세기이다. 게다가 고조선이 중국식 시법을 제대로 받아들이기나 했는지가 의문이라서 아래의 시호들이 과연 신빙성이 있는지도 의문이다.

아래 표에서 실제 기록에 짜맞춘 내용의 배경은 짙은 회색()으로 표기

대수시호재위 기간비고
1문성왕(文聖王)
(기자)
서여(胥餘)기원전 1126년 ~ 기원전 1082년고조선의 군주였다는 증거가 불충분함
2장혜왕(莊惠王)송(松)기원전 1082년 ~ 기원전 1057년
3경효왕(敬孝王)순(詢)기원전 1057년 ~ 기원전 1030년
4공정왕(恭貞王)백(伯)기원전 1030년 ~ 기원전 1000년
5문무왕(文武王)춘(椿)기원전 1000년 ~ 기원전 972년
6태원왕(太原王)예(禮)기원전 972년 ~ 기원전 968년
7경창왕(景昌王)장(莊)기원전 968년 ~ 기원전 957년
8흥평왕(興平王)착(捉)기원전 957년 ~ 기원전 943년
9철위왕(哲威王)조(調)기원전 943년 ~ 기원전 925년
10선혜왕(宣惠王)삭(索)기원전 925년 ~ 기원전 896년
11의양왕(誼襄王)사(師)기원전 896년 ~ 기원전 843년
12문혜왕(文惠王)염(炎)기원전 843년 ~ 기원전 793년
13성덕왕(盛德王)월(越)기원전 793년 ~ 기원전 778년
14도혜왕(悼懷王)직(職)기원전 778년 ~ 기원전 776년
15문열왕(文烈王)우(優)기원전 776년 ~ 기원전 761년
16창국왕(昌國王)목(睦)기원전 761년 ~ 기원전 748년
17무성왕(武成王)평(平)기원전 748년 ~ 기원전 722년
18정경왕(貞敬王)궐(闕)기원전 722년 ~ 기원전 703년
19약성왕(樂成王)회(懷)기원전 703년 ~ 기원전 675년
20효종왕(孝宗王)
(조선후)
존(存)기원전 675년 ~ 기원전 658년기원전 7세기 초 제에 입조함
21천로왕(天老王)효(孝)기원전 658년 ~ 기원전 634년
22수도왕(修道王)립(立)기원전 634년 ~ 기원전 615년
23휘양왕(徽襄王)통(通)기원전 615년 ~ 기원전 594년
24봉일왕(奉日王)삼(參)기원전 594년 ~ 기원전 578년
25덕창왕(德昌王)근(僅)기원전 578년 ~ 기원전 560년
26수성왕(壽聖王)상(翔)기원전 560년 ~ 기원전 519년
27영걸왕(英傑王)려(藜)기원전 519년 ~ 기원전 503년
28일민왕(逸民王)강(岡)기원전 503년 ~ 기원전 486년
29제세왕(濟世王)혼(混)기원전 486년 ~ 기원전 465년
30청국왕(清國王)벽(璧)기원전 465년 ~ 기원전 432년
31도국왕(導國王)징(澄)기원전 432년 ~ 기원전 413년
32혁성왕(赫聖王)준(儁)기원전 413년 ~ 기원전 385년
33화라왕(和羅王)위(謂)기원전 385년 ~ 기원전 369년
34설문왕(說文王)하(賀)기원전 369년 ~ 기원전 361년
35경순왕(慶順王)화(華)기원전 361년 ~ 기원전 342년
36가덕왕(嘉德王)
(조선왕 1세)
후(詡)기원전 342년 ~ 기원전 315년기원전 323년 이후에 칭왕함
37삼로왕(三老王)
(조선왕 2세)
욱(煜)기원전 315년 ~ 기원전 290년정사 삼국지에 따르면 가덕왕(조선후)의 아들
38현문왕(顯文王)
(조선왕 3세)
석(釋)기원전 290년 ~ 기원전 251년기원전 281년에 진개의 침입으로 영토를 크게 잃음
39장평왕(章平王)윤(潤)기원전 251년 ~ 기원전 232년
40종통왕(宗統王)
(부왕)
비(丕)[7]기원전 232년 ~ 기원전 220년문헌을 참조하여 만들어진 표에 들어감
41애왕(哀王)
(준왕)
준(準)기원전 220년 ~ 기원전 195년문헌을 참조하여 만들어진 표에 들어감


3.2. 단군조선[편집]



3.2.1. 전설[편집]





제왕운기에는 단군의 아들 부루가 언급되고, 현재는 실전된 단군고기에는 '단군 - 부루 - 금와'의 3대가 기록되어 있는데... 현대 주류학계에서는 부여의 전설과 혼합되어 생긴 기록으로 보아 이들의 연표를 인정하지 않는다.
대수재위 기간비고
1단군(檀君)기원전 2333년 ~ ?삼국유사, 제왕운기, 단군고기
2?부루(夫婁)[8]? ~ ?제왕운기, 단군고기
3?금와(金蛙)[9]? - ?단군고기


3.2.2. 위서: 규원사화(揆園史話)[편집]


[ 펼치기 · 접기 ]

임검(壬儉)
단군 | 부루 | 가륵 | 오사 | 구을 | 달문 | 한율 | 우서한 | 아술 | 노을 | 도해 | 아한 | 흘달 | 고불 | 벌음 | 위나 | 여을 | 동엄 | 구모소 | 고홀 | 소태 | 색불루 | 아물 | 연나 | 솔나 | 추로 | 두밀 | 해모 | 마휴 | 나휴 | 등올 | 추밀 | 감물 | 오루문 | 사벌 | 매륵 | 마물 | 다물 | 두홀 | 달음 | 음차 | 을우지 | 물리 | 구홀 | 여루 | 보을 | 고열가



아래 표는 북애자(北崖子)가 숙종 원년에 편찬했다 하는 규원사화[10] 단군기(檀君紀)에 나오는 왕사다. 주류사학계는 규원사화를 위서로 여기기 때문에 이하 목록의 신빙성은 없다. 그래도 군주의 이름들을 보면 책의 편집자가 나름대로 고대 한국의 작명법을 고증해보려 노력한 것이 보인다.
대수왕호재위 기간비고
1단군(檀君)임검(壬儉)기원전 2333년 ~ 기원전 2240년삼국유사에 동일이 기록 존재.
2부루(夫婁)임검(壬儉)기원전 2240년 ~ 기원전 2206년제왕운기에 동일이 기록 존재하지만, 제왕운기의 것도 혼동으로 추정.
3가륵(嘉勒)임검(壬儉)기원전 2206년 ~ 기원전 2155년
4오사(烏斯)임검(壬儉)기원전 2155년 ~ 기원전 2106년
5구을(丘乙)임검(壬儉)기원전 2106년 ~ 기원전 2071년
6달문(達文)임검(壬儉)기원전 2071년 ~ 기원전 2039년
7한율(翰栗)임검(壬儉)기원전 2039년 ~ 기원전 2014년
8우서한(于西翰)임검(壬儉)기원전 2014년 ~ 기원전 1957년
9아술(阿述)임검(壬儉)기원전 1957년 ~ 기원전 1929년
10노을(魯乙)임검(壬儉)기원전 1929년 ~ 기원전 1906년
11도해(道奚)임검(壬儉)기원전 1906년 ~ 기원전 1870년
12아한(阿漢)임검(壬儉)기원전 1870년 ~ 기원전 1843년
13흘달(屹達)임검(壬儉)기원전 1843년 ~ 기원전 1800년
14고불(古弗)임검(壬儉)기원전 1800년 ~ 기원전 1771년
15벌음(伐音)임검(壬儉)기원전 1771년 ~ 기원전 1738년
16위나(尉那)임검(壬儉)기원전 1738년 ~ 기원전 1720년
17여을(余乙)임검(壬儉)기원전 1720년 ~ 기원전 1657년
18동엄(冬奄)임검(壬儉)기원전 1657년 ~ 기원전 1637년
19구모소(緱牟蘇)임검(壬儉)기원전 1637년 ~ 기원전 1612년
20고홀(固忽)임검(壬儉)기원전 1612년 ~ 기원전 1601년
21소태(蘇台)임검(壬儉)기원전 1601년 ~ 기원전 1568년
22색불루(索弗婁)임검(壬儉)기원전 1568년 ~ 기원전 1551년
23아물(阿勿)임검(壬儉)기원전 1551년 ~ 기원전 1532년
24연나(延那)임검(壬儉)기원전 1532년 ~ 기원전 1519년
25솔나(率那)임검(壬儉)기원전 1519년 ~ 기원전 1503년
26추로(鄒盧)임검(壬儉)기원전 1503년 ~ 기원전 1494년
27두밀(豆密)임검(壬儉)기원전 1494년 ~ 기원전 1449년
28해모(奚牟)임검(壬儉)기원전 1449년 ~ 기원전 1427년
29마휴(摩休)임검(壬儉)기원전 1427년 ~ 기원전 1418년
30나휴(奈休)임검(壬儉)기원전 1418년 ~ 기원전 1365년
31등올(登兀)임검(壬儉)기원전 1365년 ~ 기원전 1359년
32추밀(鄒密)임검(壬儉)기원전 1359년 ~ 기원전 1351년
33감물(甘勿)임검(壬儉)기원전 1351년 ~ 기원전 1342년
34오루문(奧婁門)임검(壬儉)기원전 1342년 ~ 기원전 1322년
35사벌(沙伐)임검(壬儉)기원전 1322년 ~ 기원전 1311년
36매륵(買勒)임검(壬儉)기원전 1311년 ~ 기원전 1293년
37마물(麻勿)임검(壬儉)기원전 1293년 ~ 기원전 1285년
38다물(多勿)임검(壬儉)기원전 1285년 ~ 기원전 1266년
39두홀(豆忽)임검(壬儉)기원전 1266년 ~ 기원전 1238년
40달음(達音)임검(壬儉)기원전 1238년 ~ 기원전 1224년
41음차(音次)임검(壬儉)기원전 1224년 ~ 기원전 1205년
42을우지(乙于支)임검(壬儉)기원전 1205년 ~ 기원전 1196년
43물리(勿理)임검(壬儉)기원전 1196년 ~ 기원전 1181년
44구홀(丘忽)임검(壬儉)기원전 1181년 ~ 기원전 1174년
45여루(余婁)임검(壬儉)기원전 1174년 ~ 기원전 1691년
46보을(普乙)임검(壬儉)기원전 1169년 ~ 기원전 1158년
47고열가(古列加)임검(壬儉)기원전 1158년 ~ 기원전 1128년


4.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11:14:25에 나무위키 고조선/왕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고조선이 스스로 '후'라고 칭했는지 중국측에서 일방적으로 부른 것인지는 알 수 없음.[2] 삼국유사 등의 사서에 기원전 2333년에 건국하였다는 전설이 기록되어 있다.[3] 삼국유사에 따르면 1908년을 살았다고 전설로 전해지지만 당연히 실제적인 연대는 아니다.[4] 고고학적으로 기자는 한반도 내지 요동으로 온 적이 없다는 혹은 왔어도 큰 영향력을 끼치진 못했다는 설이 한국 사학계에선 주류라 기자의 즉위설은 부정되고 있다.[5] 출처 문헌은 정사 삼국지. 현대의 통념대로 기자조선을 부정하면 문헌상으로 이름(否)이 전해지는 한국사 최초의 군주.[6] 현대의 통념대로 기자조선을 부정한다면 고조선 토착 세력 최후의 군주.[7] 실제 문헌에는 아닐 부(否)로 적혀 있는데, 이 글자의 뜻이 영 마음에 들지 않았는지 기자조선 계보에는 꼭 클 비(丕)로만 나온다.[8] 해부루와의 혼동[9] 금와왕과의 혼동[10]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