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공주역

덤프버전 :

공주역

다른 문자 표기
[ 펼치기 · 접기 ]

로마자Gongju
한자公州
간체자
가나コンジュ

주소
[ 펼치기 · 접기 ]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새빛로 100 (신영리)

관리역 등급
보통역
(오송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대전충청본부)
운영 기관
호남고속선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1]
개업일
[ 펼치기 · 접기 ]

호남고속선2015년 4월 2일
파일:KTX BI_White, Red.svg
파일:Untitled-1.png2016년 12월 9일

역사 구조
지상 2층 구조, 지상 2층 승강장
승강장 구조
2면 4선 상대식 승강장
열차거리표
호남고속선
공 주

1. 개요
2. 역 정보
2.1. 역 건립
2.3. 공주역 열차 정차 비율
2.4. 시간표
2.4.1. 상행
2.4.2. 하행
3. 승강장
4. 역 주변 정보
5. 일평균 이용객
6. 주변 교통
6.1. 시내버스
6.2. 시외버스
6.3. 고속도로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공주역2.jpg
공주역 전경


파일:공주역 스탬프.jpg
공주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백제 왕관과 공주밤을 형상화했으며, 공주역 개통후 약 3달 뒤에 제작되었다.

백제문화유산을 찾아가는 길

호남고속철도와 함께 개통

공주역은 2015년 호남고속철도와 함께 개통된 역으로 공주시 이인면에 위치하고 있다. 그 위치가 시내와는 멀리 떨어져 있어 아직 이용객이 적지만 최근 공주역과 공주시가 함께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면서 백제문화유산을 관람하기 위해 찾아오는 방문객이 늘어가고 있다. 역사 정면에 공주역 개통을 기념하는 백제금관장식과 백제왕실의 기념물이 있어 그 모습이 인상 깊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호남고속선 상의 유일한 고속철도 전용 신설역.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새빛로 100 (신영리 167-1) 소재. 지도

역사는 2013년 6월에 착공, 2015년 4월 2일부터 영업을 시작했다.


2. 역 정보[편집]


오송 분기가 확정될 당시의 임시 역명은 남공주역이었으나 2014년 8월 11일 국토교통부에서 '공주역'으로 확정했다.


2.1. 역 건립[편집]


호남고속선 분기역 선정 당시에 분기역 후보로는 천안아산역, 대전역, 오송역이 거론되었다. 이 중 천안아산역에서 분기할 경우 공주시 중심가 근처에 역이 만들어질 수 있었다. 그러나 2005년에 정부에서는 정치적인 판단으로 오송역을 선정했다. 이로 인해 공주 시내 중심가에 역을 설치하기는 어려워졌다.

2005년 9월 22일 건교부 건교위 열린우리당 박상돈 의원은 건교부 국정감사에서 공주시내 남쪽에 남공주역 신설을 강력히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이에 정부도 긍정적인 입장인 것으로 알려져 공주역 신설의 가능성이 제기됐다. 그날 국정감사에서 “오송역을 강행할 방침이라면 오송-익산 중간 지역인 공주시 이인면 일대(오송역으로부터 41㎞ 지점)에 남공주역 신설을 검토하는 것이 타당하지 않느냐”라고 질의했다. 국감 이후 남공주역의 위치는 이인면 외에 계룡면 정도는 거론되고 있었으나, 이미 이인면[2]이라고 하는 바람에 사실상 빼도박도 못하는 상황으로 흘러가고 있었다. 결국 2006년 8월 28일 호남고속철도 건설기본계획이 수정되면서 남공주역이 공주시 이인면 일원에 건설되는 것으로 확정됐다.

한편 논산이 지역구인 이인제 국회의원은 남공주역이 공주시 이인면이 아니라 논산시 노성면에 지어지길 바랐다. 그 이유는 그 곳이 백제문화권에 속할 뿐만 아니라 공주시, 부여군, 논산시 주민들이 함께 이용하는 곳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게다가 남공주역에서 백제역으로 역명을 변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009년 충남인뉴스2009년 일요시사 인터뷰2009년 중부매일 부여군과 논산시가 이에 동조했지만 이것이 인근지역 중에서 논산이나 계룡 쪽의 접근성과도 연계할 수 있는 방안으로의 주장이었다면 핌피의 오명을 벗고 지역상생으로 설득력 있는 백제역이 됐을 것이다. 하지만 호남고속철도 사업 기공식 이후 아무런 후속조치가 없어서 논산시는 논산시대로 행정력을 육군훈련소역 설치와 관련된 곳에 행정력을 쏟아부었고 그 결과 호남고속철도 개통 몇개월 전 연구용역비를 확보하여 논란이 일었다가 사그라들었다. 공주시는 공주시대로 남공주역에서 공주역으로의 역명 변경에 심의의결하여 한국철도시설공단에 제시한 결과 현재의 역명이 확정됐다.

2.2. 이용 부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공주역/문제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3. 공주역 열차 정차 비율[편집]


다음은 2023년 9월 1일 기준 KTX, SRT 시간표에 따른 내용이다(평일 기준 [3]).
  • 호남선 KTX: 하행 - 10/20(50.0%), 상행 - 8/20(40.0%)
  • 호남선 SRT: 하행 - 9/20(45.0%), 상행 - 11/20(55.0%)
  • 전라선 KTX: 하행 - 11/14(78.5%), 상행 - 8/14(57.1%)
  • 전라선 SRT: 하행 - 2/2(100%), 상행 - 2/2(100%)
  • 합계: 하행 - 33/56(58.9%), 상행 - 29/56(51.7%)[4]


2.4. 시간표[편집]



2.4.1. 상행[편집]


파일:KTX BI.svg(상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07:04KTX-산천404+502행신
08:38KTX406용산
09:06KTX504행신
12:18KTX-산천414+508서울
13:55KTX510용산
15:19KTX420용산
16:01KTX-산천422+514서울
16:53KTX516서울
17:31KTX-산천424[월~목]
424+4052[금~일]
행신
19:33KTX430용산
20:04KTX520행신
21:26KTX-산천434[5]
434+544[6]
행신

파일:SRT BI.svg (상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07:13SRT604수서
08:49SRT606+682수서
12:03SRT610수서
15:35SRT660수서
16:34SRT614+684수서
17:18SRT616수서
19:23SRT618수서
20:37SRT664수서
21:12SRT620수서
21:56SRT666수서
22:50SRT622수서

2.4.2. 하행[편집]


파일:KTX BI.svg(하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06:11KTX_산천401목포
KTX-산천501여수엑스포
07:32KTX405목포
08:19KTX503여수엑스포
08:46KTX_산천407목포
4051[금~일]여수엑스포
09:44KTX505여수엑스포
11:03KTX-산천507[월~목]
507+9507[금~일]
여수엑스포
12:02KTX509여수엑스포
13:22KTX_산천415목포
511여수엑스포
13:43KTX-산천417목포
KTX_산천543[7]여수엑스포
15:14KTX513여수엑스포
16:38KTX423목포
17:47KTX-산천427목포
KTX_산천515여수엑스포
18:42KTX-산천429목포
517여수엑스포
19:52KTX-산천519여수엑스포
20:45KTX433목포
22:18KTX437목포

파일:SRT BI.svg (하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06:38SRT601광주송정
09:36SRT605광주송정
11:28SRT607광주송정
681여수엑스포
13:13SRT609광주송정
16:23SRT613광주송정
17:06SRT661목포
19:04SRT615광주송정
20:13SRT665목포
683여수엑스포
22:08SRT667목포

3. 승강장[편집]


오송
2||||1
익산


승강장 구조가 김천(구미)역처럼 심플하게 양쪽 끝으로 승강장이 있고 가운데로 통과선 두 가닥이 나란히 있는 2면 4선 상대식 승강장으로 되어 있다.

4. 역 주변 정보[편집]


주변에 정말 아무것도 없다. 역안의 스토리웨이 외에는 변변한 식당도 편의점도 없다. 2017년 즈음에 스토리웨이와 카페 하나가 들어왔다. 이 곳에서 끼니를 때우고자 한다면 스토리웨이 말고는 답이 없다. 역 주변에는 산과 밭, 송전탑, 그리고 시골 주택만 존재하기 때문에 동네 가게나 식당을 전혀 기대할 수 없다. 적절한 가게나 식당이 좀 있는 동네인 이인면사무소 근처까지라도 가려면 시골길을 차타고 10분정도 가야 한다.

주차장은 당연히 있지만 그 흔한 주차요금 징수시설조차 없으며 주차요금이 무료다. 전국에서 고속철 전용 정차역 중 주차요금이 무료인 역은 공주역밖에 없다. 그럼에도 매우 한산하며 주차장에 차가 꽉찰 때가 손에 꼽을 정도라고 하며 오죽하면 여기서 운전연습 하는 사람도 있다고 한다.기사 주차요금으로 얻는 수익보다 주차장 관리 인원을 고용하고 차단기를 설치, 운영해는 비용이 훨씬 더 들어가서, 그럴 바에는 차라리 무료주차장으로 놔두는게 그나마 손해가 덜 갈 정도로 차량 이용률이 극히 저조한 것이다.

핑클이 출연한 캠핑클럽에서 멤버들의 첫 번째 집결지이기도 했다.

이용객이 얼마나 없으면 승강장 끝부분에 갔을 뿐인데 나가라는 안내방송이 나오고, 텅 빈 승강장에 혼자 있는 경우 역무원이 직접 안내방송을 할 정도이다. # 상황이 이런데도 공주역에는 KTX와 SRT를 합쳐서 무려 왕복 44~46회나 정차하고 있다.

4.1. 공주역세권개발사업[편집]


워낙 사정이 안 좋아 역세권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어느 기업도 안 나서는 상황이라 전망이 어둡다.

5.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파일:KTX BI.svg파일:SRT BI.svg총합비고
2015년390명미운행390명[8]
2016년399명97명496명[9]
2017년388명128명516명
2018년462명147명609명
2019년520명163명683명
2020년316명125명441명
2021년392명157명549명
2022년596명199명795명
출처
철도통계연보



6. 주변 교통[편집]



6.1. 시내버스[편집]


  • 공주 시내 방면: 200(종합터미널행), 201, 202(시내버스터미널행 직통), 207, 250, 251, 280
  • 논산 방면: 517
  • 기타
    • 205: 공주역-화헌-경천-신원사-하대-중장-갑사(-동학사)
  • 현재 '공주역-공주시내-세종시' 간 BRT 노선이 계획 중에 있으며 1차적으로 '공주시내-세종시' 구간 구축을 위해 도로가 공사 중이다.


6.2. 시외버스[편집]


시외버스가 1일 13회 경유한다. 이 중 충남고속의 공주역-부여-청양-홍성-내포신도시-서산-태안 노선은 공주역에서 출발한다.


6.3. 고속도로[편집]




7. 둘러보기[편집]






[1] 코레일에서 SRT 매표업무를 위탁계약에 따라 함께 처리한다.[2] 이인면 중심지인 이인리와도 차량으로는 가까운 편이지만 도보로는 가까운 편은 아니다.[3] 월화수목 운행 편성과, 금토일 추가 편성 제외[4] 복합열차를 중복 카운트하지 않고 하나의 편성으로 계산[월~목] A B 월~목에만 운행한다.[금~일] A B C 금~일에만 운행한다.[5] 금 운행[6] 금 제외[7] 금 미운행[8] KTX의 자료는 개통일인 4월 2일부터 12월 31일까지 274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9] SRT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12월 9일부터 12월 31일까지 23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