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IATA

덤프버전 :

1. 개요
2. ICAO와의 차이
4. 대도시 코드 (Metropolitan Area Code)
5. IATA 항공사 코드
6. 그 외



1. 개요[편집]


파일:IATA로고.svg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 IATA[1]

https://www.iata.org/

국제항공운송협회. 캐나다 몬트리올스위스 제네바에 본부[2]를 둔 전 세계 항공사들의 동업 조합체이다. 과거 IATA는 각 국 정부의 독점금지법에서 제외되어 전세계 항공료를 담합하는 이른바 항공 카르텔로 악명을 펼쳤으나, 2006년 미국을 시작으로, 2019년 유럽에서까지 IATA의 독점금지법 예외 혜택을 없애는 논의가 진행 중이며, 지금은 항공자유화 추세에 맞춰 점점 항공료 결정에 IATA의 영향력이 약해지고 있는 현실이다.[3] 그러나 항공료 담합만 하지 않을 뿐, Clearning House로 불리는 항공운임정산 시스템 및 다자 항공권 발권인 Interline 등 현대 항공사 예약 및 발권 시스템의 근간이 되는 체계를 만들었던 역사, 그리고 항공사를 대표하여 각 국가 정부에 하는 로비 등 항공업계에 갖는 영향력은 여전하다.

2018년 11월 현재 290개 항공사가 IATA 회원으로 되어 있어, 세계 항공 교통량의 83%가 IATA 회원사들에 의하여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상당수의 저가 항공사는 IATA에 가입하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에서는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티웨이항공, 이스타항공, 제주항공, 진에어가 IATA 회원사이다.


2. ICAO와의 차이[편집]


ICAO는 국제민간항공협약에 의하여 설립된 정부 간 국제기구로서 UN 전문기구의 지위를 가지고 있다. 반면 IATA는 항공사들로 구성된 동업 조합(trade association)이다. 100% 들어맞지는 않지만 이해의 편의상 버스운송에 비유하자면, ICAO는 국토교통부 대중교통과, IATA는 버스운송사업조합과 비슷한 지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3. IATA 공항 코드[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IATA/공항 코드#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대도시 코드 (Metropolitan Area Code)[편집]


한 도시에 두 개 이상의 공항이 존재하거나 같은 도시는 아니라도 인접 거리에 있는 공항이 존재하는 경우, 편의를 위해 도시에 코드를 부여하는 경우가 있다. 도시 자체에 단독으로 부여되거나, 도시 내 대표 공항의 코드를 도시 내 다른 공항들이 공유할 때도 있다. 도시 코드를 카약, 스카이스캐너 등의 항공권 예매 사이트에 입력할 때 해당 코드에 묶인 공항들이 모두 표시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외국에서 서울로 가고 싶을 때 인천이든 김포든 신경 안 쓰고 둘 다 검색하고 싶으면 서울(SEL)로 가는 항공권을 검색하면 된다.

한 도시에 한 개의 공항만 있는 경우 공항 코드를 도시 코드처럼 쓰는 경향이 있는데, 멕시코 몬테레이를 예로 들면 MTY라는 세 글자를 자신들의 상징처럼 사용한다.

파일:Cap 2019-09-16 22-26-41-292.jpg



5. IATA 항공사 코드[편집]


IATA에서 지정해 각국 항공사들이 공유하는 항공사 고유 두 자리 코드. 예약, 일정, 항공권, 결산, 정산 등은 물론, 각 여행사에서 판매하는 패키지 여행상품의 코드에도 사용된다. IATA 회원사가 아니라도 IATA 코드가 부여된다.

대한민국
국적 항공사
FSC대한항공KE
아시아나항공OZ
HSC에어프레미아YP
LCC진에어LJ
에어부산BX
제주항공7C
이스타항공ZE
티웨이항공TW
에어서울RS
플라이강원4V
에어로케이RF
소형항공운송사업자하이에어4H
화물 전용에어인천KJ
외항사네덜란드KLM 네덜란드 항공KL
독일루프트한자LH
에어 베를린AB
콘도르 항공DE
필리핀필리핀 항공PR
에어아시아 필리핀Z2
세부 퍼시픽5J
PAL 익스프레스2P
세브고DG
러시아아에로플로트SU
S7 항공S7
로시야 항공FV
오로라항공HZ
멕시코아에로멕시코AM
볼라리스 항공VB
비바 아에로부스 항공Y4
아에로멕시코 커넥트5D
인테르제트 항공4O
몽골미아트 몽골항공OM
에어로 몽골리아M0
미국아메리칸 항공AA
델타 항공DL
유나이티드 항공UA
내셔널 항공N8
하와이안 항공HA
인테르제트 항공4O
알래스카 항공AS
사우스웨스트 항공WN
선 컨트리 항공SY
스피릿 항공NK
얼리전트 항공G4
에어 트랜스포트 항공8C
제트 블루B6
프론티어 항공F9
폴라에어 카고PO
영국영국항공BA
버진 애틀랜틱항공VS
이지젯U2
일본일본항공JL
전일본공수NH
일본화물항공KZ
J-에어XM
일본 에어 커뮤터3X
일본 트랜스오션항공NU
ANA 윙스EH
바닐라 에어JW
솔라시드 항공6J
스타플라이어7G
스카이마크 항공BC
아이벡스 항공FW
에어 두HD
에어재팬NQ
일본 에어 커뮤터3X
제트스타 재팬GK
춘추항공일본IJ
피치 항공MM
후지드림 항공JH
일본화물항공KZ
ZIPAIRZG
태국타이항공TG
중국중국국제항공CA
중국동방항공MU
중국남방항공CZ
하이난항공HU
상하이항공FM
샤먼항공MF
춘추항공9C
중국(홍콩 특별행정구)캐세이패시픽항공CX
캐세이드래곤항공KA
홍콩항공HX
홍콩 익스프레스UO
중국(마카오 특별행정구)에어마카오NX
베트남베트남항공VN
뱀부항공QH
비엣젯항공VJ
퍼시픽항공BL
비엣트래블항공VU
바스코항공0V
대만중화항공CI
에바항공BR
스타럭스항공JX
타이거항공 타이완IT
인도네시아가루다 인도네시아GA
라이온 에어JT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고려항공JS
캐나다에어 캐나다AC
포터 항공PD
웨스트젯WS
SwoopWO
선윙WG
에어노스4N
캐내디안 노스5T
에어 트란셋TS
퍼스트 에어7F
센트럴 마운틴 에어9M
에어 이누이트3H
프랑스에어 프랑스AF
이탈리아알리탈리아AZ
노르웨이스칸디나비아 항공SK
스웨덴
덴마크
핀란드핀에어AY
키프로스키프로스 항공CY
아일랜드에어 링구스EI
라이언에어FR
아랍 에미리트에미레이트 항공EK
에티하드 항공EY
플라이두바이FZ
에어 아라비아G9
사우디아라비아사우디아 항공SV
리야드 에어RX
플라이나스XY
카타르카타르 항공QR
에티오피아에티오피아 항공ET
요르단로얄 요르단 항공RJ
이스라엘엘알LY
바레인걸프에어GF
시리아시리아 항공RB
스페인이베리아 항공IB
에어 에우로파UX
호주콴타스QF
버진 오스트레일리아 항공VA
젯스타JQ
뉴질랜드에어 뉴질랜드NZ


6. 그 외[편집]


  • IATA에는 자국민에게는 티켓을 외항사보다 싸게 팔 수 없다는 규정이 있다. 국적사가 외항사보다 티켓을 싸게 팔면 국적사가 어지간히 막장이 아닌 이상 외항사의 이점이 사라지고 경쟁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이다. 한국 국적자가 대한항공이나 아시아나항공을 살 때 비싼 이유가 이것 때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7 15:40:25에 나무위키 IATA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IATA는 영어로 보통 아이아터 /aɪˈɑːtə/ 라고 읽는다.[2] 몬트리올 본부는 Head Office, 제네바 본부는 Executive Office로 구별한다.[3] 사실 항공료 담합은 스타얼라이언스, 스카이팀, 원월드항공동맹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