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덤프버전 :





파일: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로고.svg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Grasshopper Club Zürich
정식 명칭Grasshopper Club Zürich
별칭GC, GCZ, Grasshoppers
창단1886년 9월 1일 (137주년)[1]
소속 리그스위스 슈퍼 리그 (Swiss Super League)
연고지취리히 주 취리히(Zürich)
홈구장레치그룬트 (Letzigrund)
(26,104명 수용)
회장제니 왕 (Jenny Wang)
감독브루노 베르너 (Bruno Berner)
주장아미르 아브라시 (Amir Abrashi)
역대 한국인 선수정상빈 (2022~2023)[임대]
공식 웹사이트파일: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로고.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틱톡 아이콘.svg 파일:LinkedIn 아이콘.svg
우승 기록
스위스 슈퍼 리그 (1부)
(27회 / 최다 우승)
1897-98, 1899-1900, 1900-01, 1904-05, 1920-21, 1926-27, 1927-28, 1930-31, 1936-37, 1938-39
1941-42, 1942-43, 1944-45, 1951-52, 1955-56, 1970-71, 1977-78, 1981-82, 1982-83, 1983-84
1989-90, 1990-91, 1994-95, 1995-96, 1997-98, 2000-01, 2002-03
스위스 챌린지 리그 (2부)
(1회)
2020-21
스위스컵
(19회 / 최다 우승)
1925-26, 1926-27, 1931-32, 1933-34, 1936-37, 1937-38, 1939-40, 1940-41, 1941-42, 1942-43
1945-46, 1951-52, 1955-56, 1982-83, 1987-88, 1988-89, 1989-90, 1993-94, 2012-13
스위스 리그컵
(2회)
1973-74, 1974-75
스위스 슈퍼컵
(1회)
1989

1. 개요
2. 역사
3. 최근 시즌
3.1. 2013-14 시즌
3.2. 2014-15 시즌
3.3. 2018-19 시즌
3.4. 2019-20 시즌
3.5. 2020-21 시즌
3.6. 2021-22 시즌
4. 유명 선수
5. 선수단
6. 여담



1. 개요[편집]


스위스취리히를 연고지로 하고 있는 종합 스포츠 클럽이며, 1886년에 설립되었다. 여러 스포츠 종목 중에서 축구가 가장 유명하며, 이외에도 핸드볼이나 아이스하키 등도 운영되고 있다. 클럽명의 기원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았으나, 초창기 선수들이 메뚜기처럼 민첩한 경기 스타일과 역동적인 골 세레머니를 보여준 것에 유래했다는 것이 유력하다.

축구 분야에서는 스위스 축구 클럽 가운데 리그 최다 우승횟수를 자랑한다. 이렇듯 한때는 명실상부한 스위스 최고의 클럽이었지만, 2002-03 시즌 이후로 우승이 없다. 이렇게 2000년대 이후에는 FC 바젤, FC 취리히, BSC 영 보이즈에게 리그 최강 자리를 넘겨 주었지만, UEFA 챔피언스 리그UEFA 컵에도 종종 모습을 드러내며 존재감을 입증했다. 하지만 2010년대 중반부터 리그 하위권으로 추락했고 결국 2018–19 시즌에는 강등까지 당했다.

마찬가지로 취리히를 연고로 하는 FC 취리히와는 더비 매치 관계이다.


2. 역사[편집]


2005-06 시즌과 2006-07 시즌 UEFA 컵 본선에 진출했으나 조별 라운드에서 최하위에 머물며 탈락했다.

2010-11 시즌에는 UEFA 유로파 리그 플레이오프에서 FC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와 1승 1패를 거둔 뒤 승부차기에서 패해 탈락했으며, 2012-13 시즌에는 스위스 컵 결승에서 승부차기 끝에 FC 바젤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1부리그에서 강등당하고 자금난을 겪던 중 2020년 중국 푸싱 유한회사 설립자겸 회장의 아내 제니 왕이 클럽을 인수하였다# 울버햄튼 원더러스 FC의 구단주 그룹인 그 푸싱 그룹이 맞다. 이 인수를 주도한 것은 다름아닌 조르제 멘데스인데, 울버햄튼 원더러스 FC와 커넥션 관계를 맺고 울버햄튼의 유망주 선수의 임대 구단 겸 위성 구단으로도 활용해 볼 목적으로 이 인수를 주도한 것이다.

이후 울버햄튼 원더러스 FC로 이적할 만한 비영국인 선수들의 워크퍼밋 충족을 위한 임대 구단 겸 위성 구단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한중일 3국의 유망주 선수들을 2022년에 전부 데리고 있는 특이한 클럽이 되었다.[2]


3. 최근 시즌[편집]



3.1. 2013-14 시즌[편집]


2013-14 시즌에는 UEFA 챔피언스 리그 3차 예선에서 올랭피크 리옹에 홈, 원정에서 모두 패해 뒤 유로파 리그 플레이오프에서 ACF 피오렌티나에게 밀려 탈락했다.


3.2. 2014-15 시즌[편집]


2014-15 시즌에는 챔피언스 리그 LOSC 릴에 밀려 탈락한 뒤 유로파 리그 플레이오프에서 클뤼프 브뤼허에게 밀려 탈락했다.

시즌 종료 후 프리시즌에 스위스 2부리그에 속한 팀인 FC 빈터투어와의 경기에서 3 대 4로 극적으로 역전승을 거두었다.


3.3. 2018-19 시즌[편집]


2018-19 시즌 슈퍼 리그에서 충격의 강등을 당하며 70년만에 2부 리그로 떨어지게 되었다. 팬들은 순간적인 상황 변화를 받아들이지 못 하고 경기장으로 난입해 선수들에게 거세게 항의했다. 기사


3.4. 2019-20 시즌[편집]


2부리그에서 시즌을 3위로 마무리하면서 결국 다음 시즌을 기대해야 했다.


3.5. 2020-21 시즌[편집]


조르제 멘데스 커넥션 덕분인지 2부리그에서 순항을 했고, 결국 2부리그에서 1위를 차지하면서 2시즌만에 스위스 슈퍼리그로 재승격하는 데에 성공했다.


3.6. 2021-22 시즌[편집]


리그 1라운드 FC 바젤전은 0:2로 패했다.

2라운드 리그 디펜딩 챔피언 BSC 영 보이즈 원정 경기에서 0:0으로 비기는 데 성공했다.

3라운드 FC 로잔 스포르에서는 레오나르도 캄파나의 멀티골에 힘입어 3-1로 승리하면서 승격 후 첫 승리를 챙겨갔다.

1월 27일 울버햄튼 원더러스에서 정상빈을 임대 영입했다.[3] 임대기간은 1년 6개월.

리그에서는 9위인 FC 루체른과 승점이 똑같지만 득실차에서 앞선 8위를 기록했다.


4. 유명 선수[편집]



  • UEFA
    • 페터 젤레: 2000-2006
    • 브루누 조르당: 2022~[4]

  • AFC
    • 트렌트 세인즈버리: 2018[5]
    • 카와베 하야오: 2021~[6]
    • 리레이: 2022~2023
    • 정상빈: 2022~2023 [7]
    • 세코 아유무: 2022~




5. 선수단[편집]


파일: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로고.svg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스쿼드
[ 펼치기 · 접기 ]

2022-2023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1군 스쿼드 [주의]
번호포지션국적한글 성명로마자 성명비고
1GK파일:포르투갈 국기.svg안드레 모레이라André Moreira
6MF파일:알바니아 국기.svg아미르 아브라시Amir Abrashi주장
7MF파일:독일 국기.svg치 은뎅게Tsiy Ndenge
8MF파일:스위스 국기.svg조토 모란디Giotto Morandi
9FW파일:코소보 국기.svg슈켈킴 뎀하사이Shkelqim Demhasaj
10MF파일:스위스 국기.svg페타르 푸시치Petar Pusic
14DF파일:포르투갈 국기.svg토마스 히베이루Tomás Ribeiro
15DF파일:일본 국기.svg세코 아유무Ayumu Seko
23MF파일:독일 국기.svg메리탄 샤바니Meritan Shabani
25DF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나드작Nadjack
27FW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레나트 다다쇼프Renat Dadashov
28MF파일:세르비아 국기.svg크리스티안 헤르치Christian Herc
31DF파일:스위스 국기.svg도미닉 슈미트Dominik Schmid
33DF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게오르크 마르그레이터Georg Margreitter
51DF파일:코소보 국기.svg플로리안 호자Florian Hoxha
58MF파일:스위스 국기.svg디온 카추리Dion Kacuri
59FW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프랜시스 모모Francis Momoh
71GK파일:스위스 국기.svg저스틴 하멜Justin Hammel
93GK파일:프랑스 국기.svg레비 은툼바Lévi Ntumba
#CF파일:캐나다 국기.svg테오 코르베아누Theo Corbeanu[a]
#DF파일:네덜란드 국기.svg나이젤 론바이크Nigel Lonwijh[a]
구단 정보
회장: 제니 왕 / 감독: 조르조 콘티니 / 홈 구장: 레치그룬트
출처: 트랜스퍼마크트 /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3월 2일
[주의] 이 틀은 기기 환경에 따라 볼 때 상당히 길 수 있습니다.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수정할 때는 여기도 같이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a] A B 울버햄튼 원더러스 FC에서 임대





6. 여담[편집]


  • 부산 아이파크의 감독이었던 앤디 에글리가 이 팀을 이끌고 스위스 리그 우승을 차지한 적이 있었다.


[1] #, #[임대] [2] 여담으로 2010년 스코틀랜드 프리미어십셀틱 FC기성용, 정즈, 미즈노 코키, 이렇게 한중일 선수가 속한 적이 있다.[3] 메디컬 테스트 등 절차를 통과하면 바로 울버햄튼으로 이적이 확정되는데, 프리미어리그 취업비자 자격을 충족하지 못했기 때문에 일단 유럽 위성구단에 임대를 보낸 것. 따라서 소속은 울버햄튼이다.[4] 울버햄튼 원더러스 FC에서 임대.[5] 장쑤 쑤닝에서 임대.[6] 울버햄튼 원더러스 FC에서 임대.[7] 울버햄튼 원더러스 FC에서 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