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금사역

덤프버전 :

금사역
파일:Busan4.svg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Geumsa
한자錦絲
간체자锦丝
가나錦糸(クムサ
주소
부산광역시 금정구 반송로 지하465 (금사동)
관리역 및 운영사업소
반여농산물시장관리역 소속 / 경전철운영사업소
운영 기관
4호선파일:부산교통공사 CI.svg
개업일
4호선2011년 3월 30일
역사 구조
지하 3층(심도: 19.73m)
승강장 구조
복선 섬식 승강장

1. 개요
2. 역 정보
3. 역 주변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승강장
6. 요금
7. 연계 교통
8. 기타
9.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금사역 4호선.jpg
대합실
부산 도시철도 4호선 408번, 부산광역시 금정구 반송로 지하465 (금사동) 소재.

금사역에 비치된 휴메트로 스탬프회동동에 있는 회동수원지가 배경이다. 사실 바로 근처는 아니고 약 3km 떨어져 있지만 회동수원지에서 그나마 가까운 지하철역이 금사역이라 여기에 새겨넣은 듯 하다.

2. 역 정보[편집]


출입구가 4개 있으며 역 내부 디자인의 분위기는 옅은 파란색이다.


3. 역 주변 정보[편집]


주변에는 부산지방고용노동청 부산동부지청, 공업시설, 병원, 주거시설, 주유소 등이 있다. 한 때 부산의 산업을 이끌었던 금사공단이 바로 이 근처이다. 물론 예전만큼은 아니라도 아직 잘 돌아간다. 역에서 가까운 거리에 번영로수영강이 있다. 도시철도반송로로 지나가기 때문에 금사동 일대의 주택가와 학교까지의 거리가 제법 떨어져 있는 편이다. 멀지 않은 곳에 506번의 기점인 대우아파트가 있다.

이 역은 주로 교통오지인 해운대구 반여4동 주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편이다. 왜냐하면 이 곳을 지나가는 시내버스가 앞서 말한 506번 단 하나 뿐이기 때문이다. 현재로서는 낙후된 공업지구로서의 역할에 그치고 있지만 석대동과 연계된 개발 떡밥이 나오고 있어 향후 미래가 기대되는 역들 중 하나이다.


4. 일평균 이용객[편집]


금사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하차객의 총합이다.

연도파일:Busan4.svg비고
2011년2,697명[1]
2012년2,881명
2013년3,045명
2014년3,208명
2015년3,441명
2016년3,582명
2017년3,765명
2018년3,665명
2019년3,741명
2020년3,017명
2021년3,061명
2022년3,134명
출처
부산교통공사 자료실

하루 평균 이용객은 3,741명으로 4호선 전체에서 네 번째로 이용객이 적은 역이다. 역이 위치한 금사동 자체의 인구도 적고, 그마저도 주택가가 아닌 공단 지역에 역이 있기 때문에 승객을 제대로 끌어오지 못하고 있다.[2] 거기에다 공단 지역의 특성 상 도시철도보다는 자가용, 시내버스를 이용하여 출퇴근하는 사람들이 많은 탓에 수요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또한 거주민들은 옥봉산 자락의 아주 좁은 구역에 한정되어 있어 공기수송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5. 승강장[편집]


파일:attachment/금사역/Example.jpg파일:408.gif
부산 도시철도 4호선 승강장역 안내도

서동
반여농산물시장



6. 요금[편집]




7. 연계 교통[편집]


  • 서금지구대(금사역)(정류장 번호: 11-145)
    • 부산 버스 105 - 정관행
    • 부산 버스 106[심야] - 정관행
    • 부산 버스 129-1 - 반송행
    • 부산 버스 183[심야] - 청강리공영차고지
    • 부산 버스 189 - 반송행
    • 부산 버스 오전73 - 정관행
  • 서금지구대(금사역)(정류장 번호: 11-146)
    • 부산 버스 105 - 사직동행
    • 부산 버스 106[심야] - 서면행
    • 부산 버스 129-1 - 신라대학교행
    • 부산 버스 183[심야] - 부산대학교행
    • 부산 버스 189 - 연산초등학교행
    • 부산 버스 오전73 - 롯데백화점동래점행



8. 기타[편집]


2014년 동남권 폭우 사태로 인하여 이 역의 역사가 완전히 물에 잠겨 한동안 열차가 통과한 적이 있다.
[1] 개통일인 3월 30일부터 12월 31일까지 22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2] 주택가로 향하면 노선이 너무 굴곡져지는데다 근처에 역 출구를 낼 만한 넓은 도로가 없다.(그 부근 도로들은 거의 다 왕복 2차선이다).[3] 일회용 승차권 사용 불가 (간접환승 구간)[심야] A B C D 심야포함


9. 둘러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