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광태

덤프버전 :

파일:대한민국 법원 휘장.svg
{{{#ffd84b '''[[서울고등법원
[ 펼치기 · 접기 ]


||<-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
||<width=20%> 초대
- ||<width=20%> 제2대
김우열 ||<width=20%> 제3대
백한성 ||<width=20%> 제4대
허진 ||<width=20%> 제5대
변옥주 ||
|| 제6대
오필선 || 제7대
임한경 || 제8대
김종규 || 제9대
한성수 || 제10대
김홍섭 ||
|| 제11대
홍남표 || 제12대
민문기 || 제13대
기세훈 || 제14대
강안희 || 제15대
유태흥 ||
|| 제16대
임기호 || 제17대
윤운영 || 제18대
방례원 || 제19대
전병덕 || 제20대
김홍근 ||
|| 제21대
박정근 || 제22대
윤승영 || 제23대
김윤경 || 제24대
임규운 || 제25대
이영모 ||
|| 제26대
김영진 || 제27대
김성일 || 제28대
한대현 || 제29대
정지형 || 제30대
윤재식 ||
|| 제31대
송재헌 || 제32대
조용완 || 제33대
김대환 || 제34대
이융웅 || 제35대
신정치 ||
|| 제36대
김동건 || 제37대
강완구 || 제38대
정호영 || 제39대
박송하 || 제40대
오세빈 ||
|| 제41대
이태운 || 제42대
구욱서 || 제43대
김진권 || 제44대
조용호 || 제45대
조병현 ||
|| 제46대
심상철 || 제47대
최완주 || 제48대
김창보 || 제49대
김광태 || 제50대
윤준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한민국 법원 휘장.svg
{{{#ffd84b '''[[대전고등법원
[ 펼치기 · 접기 ]


||<-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
||<width=20%> 초대
천경송 ||<width=20%> 제2대
김성일 ||<width=20%> 제3대
한대현 ||<width=20%> 제4대
최공웅 ||<width=20%> 제5대
이철환 ||
|| 제6대
정용인 || 제7대
김대환 || 제8대
박영무 || 제9대
신정치 || 제10대
이근웅 ||
|| 제11대
정호영 || 제12대
이흥복 || 제13대
오세빈 || 제14대
이태운 || 제15대
구욱서 ||
|| 제16대
김진권 || 제17대
최은수 || 제18대
최병덕 || 제19대
김종백 || 제20대
조병현 ||
|| 제21대
박삼봉 || 제22대
박홍우 || 제23대
지대운 || 제24대
조해현 || 제25대
김광태 ||
|| 제26대
이균용 || 제27대
정형식 ||
||
||
||




대한민국 법관
김광태
金光泰 | Kim Gwangtae
파일:김광태.jpg
출생1961년 11월 8일 (62세)
광주광역시
재임기간제25대 대전고등법원장
2020년 2월 13일 ~ 2021년 2월 8일
제49대 서울고등법원장
2021년 2월 9일 ~ 2023년 2월 19일
현직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 광주시법원 원로법관
가족아내 양미경, 슬하 1남 1녀
학력전주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 / 학사)
하버드 대학교 로스쿨 (석사)
약력제25회 사법시험 합격
제15기 사법연수원 수료
서울민사지방법원 판사
대전고등법원 판사
법원행정처 법무담당관
서울고등법원 판사
제주지방법원 부장판사
대법원 재판연구관(부장판사)
서울중앙지방법원 부장판사
부산고등법원 부장판사
양형위원회 상임위원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
광주지방법원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
대전고등법원장
서울고등법원장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대한민국법관.


2. 생애[편집]


광주광역시에서 태어났다. 전주고등학교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했다. 1983년 제25회 사법시험에 수석으로 합격하여, 1986년에 사법연수원을 수료하였다. 사법연수원 기수는 15기. 이후 1989년 서울민사지방법원[1] 판사로 임관한 이래 각급법원에서 민사, 형사, 행정 등 다양한 재판업무를 담당했다.

법원행정처 파견 근무, 미국 하버드 대학교, 영국 캠브리지대학교에 교육파견, 부장 시절 재판연구관 역임 등 엘리트코스를 밟아 왔다.

고등법원 부장판사로 승진한 이후, 대법원 양형위원회 출범 시기에, 1기ㆍ2기 상임위원을 맡아 양형기준제도의 정착에 기여했다.

평생 법관제 시행에 따라, 광주지방법원장 2년 임기 이후, 2018년 고등법원 재판부로 복귀하여 재판 업무를 보다가, 2020년 대전고등법원장으로 전보되었다.

1년 만에 서울고등법원장으로 전보되었다.

2023년 인사에서 원로법관으로 지명돼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 광주시법원에서 소액사건을 담당할 예정이다.

서울고등법원은 45대 법원장 조병현부터 46대 심상철, 47대 최완주, 48대 김창보, 그리고 49대 김광태에 이르기까지 법원장이 전부 원로법관에 지원하는 전통이 이어지고 있다.



[1] 현 서울중앙지방법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