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귀옥(군인)

덤프버전 :

김귀옥
Kim Gwi Ok
파일:김귀옥(군인) .jpg
복무대한민국 육군
기간1985년 ~ 2016년
임관여군사관 (31기)
최종 계급준장
최종 보직제2작전사령부 관리처장
주요 보직육군교육사령부 교리기획처장
국방부 국방여성정책과장
육군훈련소 제23신병교육연대
제1보병사단 신병교육대대장
배우자예) 육군 소장 이형석

1. 개요
2. 생애
3.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 육군의 예비역 준장. 전투병과 출신 여군으로는 송명순 준장에 이어 2번째이며 전체 여군 장성 중에는 10번째이다.[1]


2. 생애[편집]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태어났다. 대구여자고등학교서울시립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했다. 1983년 여군사관 31기로 임관한 후 제1보병사단 신병교육대대장, 육군훈련소 제23신병교육연대장, 대한민국 국방부 국방여성정책과장 등을 거쳤다. 2014년 10월 준장으로 진급해 제2작전사령부 관리처장으로 근무했다. 2016년 전역했다.


3. 여담[편집]


파일:external/www.sportsseoulusa.com/20141008190642.jpg
▲ 왼쪽은 배우자인 이형석 소장
남편이 육군사관학교 41기[2] 출신인 합동참모본부 신연합방위추진단장 이형석 소장이다.[3] 남편도 아내의 진급 당시 계급이 소장으로 대한민국 국군 창군 이래 첫 장군 부부가 되었다. 사모장군이라니 남편과는 임관 동기로 대위일 때 대위 지휘참모과정[4]에서 만나 8개월 만에 결혼했다. 슬하에 1남 1녀를 두고 있다. 연금 부자 부부[5]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5 23:05:08에 나무위키 김귀옥(군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15년까지 배출된 여군 장성 10명은 전원이 육군이다.[2] 1985년 임관. 서욱, 최병혁(이상 대장), 최영철, 이정기, 이정근(이상 중장) 장군이 동기생들이다.[3] 제53보병사단 사단장을 지냈다.[4] 구 고등군사반[5] 사실 공무원 부부는 연금이 줄어든다. 그래서 위장이혼후 연금을 100% 받는 꼼수도 종종있다고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