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시앙

덤프버전 :

||



김시앙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bb2848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colbgcolor=#01164d><colcolor=#FFF><width=20%> '''투수''' || '''4 [[이승관|{{{#000000,#FFFFFF 이승관}}}]]^^#^^ · 7 [[김진욱(2002)|{{{#000000,#FFFFFF 김진욱}}}]] · 11 [[정윤환|{{{#000000,#FFFFFF 정윤환}}}]]^^#^^ · 15 [[김태현(야구선수)|{{{#000000,#FFFFFF 김태현}}}]] [br] 17 [[이수민(야구선수)|{{{#000000,#FFFFFF 이수민}}}]]^^#^^ · 18 [[오윤성(야구선수)|{{{#000000,#FFFFFF 오윤성}}}]] · 19 [[김재영(야구선수)|{{{#000000,#FFFFFF 김재영}}}]]^^#^^ · 20 {{{#000000,#FFFFFF 이가미}}} [br] 21 [[박윤철|{{{#000000,#FFFFFF 박윤철}}}]] · 24 [[이태규(야구선수)|{{{#000000,#FFFFFF 이태규}}}]] · 29 [[유지성|{{{#000000,#FFFFFF 유지성}}}]] · 31 {{{#000000,#FFFFFF 최정욱}}} [br] 39 [[최지민|{{{#000000,#FFFFFF 최지민}}}]] · 40 [[한선태|{{{#000000,#FFFFFF 한선태}}}]]^^#^^ · 41 [[이근혁|{{{#000000,#FFFFFF 이근혁}}}]] · 43 [[서준원|{{{#000000,#FFFFFF 서준원}}}]] [br] 44 [[양경모(야구선수)|{{{#000000,#FFFFFF 양경모}}}]] · 45 {{{#000000,#FFFFFF 백동운}}} · 54 [[오세훈(야구선수)|{{{#000000,#FFFFFF 오세훈}}}]] · 55 {{{#000000,#FFFFFF 김효준}}} [br] 62 [[하준수(야구선수)|{{{#000000,#FFFFFF 하준수}}}]]^^#^^ · 67 [[정이황|{{{#000000,#FFFFFF 정이황}}}]]^^#^^ · 99 [[김승현(1992)|{{{#000000,#FFFFFF 김승현}}}]]^^#^^ · # [[구대성|{{{#000000,#FFFFFF 구대성}}}]]''' || || '''포수''' || '''10 [[허관회|{{{#000000,#FFFFFF 허관회}}}]] · 22 [[김기연(야구선수)|{{{#000000,#FFFFFF 김기연}}}]] · 25 {{{#000000,#FFFFFF 곽지민}}} · 26 [[김시앙|{{{#000000,#FFFFFF 김시앙}}}]]^^#^^ [br] 32 [[조형우|{{{#000000,#FFFFFF 조형우}}}]] · 42 [[박상언|{{{#000000,#FFFFFF 박상언}}}]]^^#^^''' || || '''내야수''' || '''1 [[송찬의|{{{#000000,#FFFFFF 송찬의}}}]] · 2 [[신준우|{{{#000000,#FFFFFF 신준우}}}]] · 3 [[김민석(타자)|{{{#000000,#FFFFFF 김민석}}}]] [br] 5 [[김주성(야구선수)|{{{#000000,#FFFFFF 김주성}}}]] · 14 [[김규성|{{{#000000,#FFFFFF 김규성}}}]] · 23 [[서호철|{{{#000000,#FFFFFF 서호철}}}]] [br] 36 [[김서진(야구선수)|{{{#000000,#FFFFFF 김서진}}}]] · 52 [[김태연(야구)|{{{#000000,#FFFFFF 김태연}}}]] · 56 [[박정현(2001)|{{{#000000,#FFFFFF 박정현}}}]]^^#^^''' || || '''외야수''' || '''13 [[하재훈|{{{#000000,#FFFFFF 하재훈}}}]]^^#^^ [[틀:질롱 코리아 주장|
{{{#white '''C'''}}}
]] · 27 [[박찬혁|{{{#000000,#FFFFFF 박찬혁}}}]] · 28 [[이진영(1997)|{{{#000000,#FFFFFF 이진영}}}]] [br] 35 [[김석환|{{{#000000,#FFFFFF 김석환}}}]]^^#^^ · 38 [[유상빈|{{{#000000,#FFFFFF 유상빈}}}]]^^#^^ · 47 [[오장한|{{{#000000,#FFFFFF 오장한}}}]] · 50 [[이원석(1999)|{{{#000000,#FFFFFF 이원석}}}]]^^#^^ [br] 51 [[장진혁|{{{#000000,#FFFFFF 장진혁}}}]]^^#^^ [[틀:질롱 코리아 주장|
{{{#white '''C'''}}}
]] · 57 [[박주홍|{{{#000000,#FFFFFF 박주홍}}}]] · 97 [[권광민|{{{#000000,#FFFFFF 권광민}}}]]''' || || '''투타겸업''' || '''16 [[장재영(야구선수)|{{{#000000,#FFFFFF 장재영}}}]]^^#^^''' || ||<-2> '''
[[코치(스포츠)#s-2.1|{{{#FFFFFF {{{-2 감독}}}}}}]]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이병규(1974)|{{{#FFF {{{-2 이병규}}}}}}]] ·
[[코치(스포츠)|{{{#FFFFFF {{{-2 투수 코치}}}}}}]]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7]]]] [[손정욱|{{{#FFF {{{-2 손정욱}}}}}}]][br]
[[코치(스포츠)|{{{#FFFFFF {{{-2 야수 코치}}}}}}]]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7]]]] [[윤진호(야구)|{{{#FFF {{{-2 윤진호}}}}}}]] ·
[[코치(스포츠)|{{{#FFFFFF {{{-2 배터리 코치}}}}}}]]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7]]]] [[윤수강|{{{#FFF {{{-2 윤수강}}}}}}]]''' || ||<-2> {{{-2 ^^#^^ 중도 귀국 선수}}} ||




김시앙의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키움 히어로즈 등번호 03번
김호연
(2015~2017)
김시앙
(2021)
김민수
(2022)
키움 히어로즈 등번호 26번
김정후
(2020~2021)
김시앙
(2022~)
현역
질롱 코리아 등번호 26번
신승원
(2018-19)
김시앙
(2022-23)
팀 해체

파일:키움 김시앙 프로필.png
키움 히어로즈 No.26
김시앙
金示仰 | Kim Si-ang
출생2001년 10월 31일 (22세)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광주대성초[1] - 광주동성중 - 광주동성고
신체177cm, 79kg
포지션포수
투타우투우타
프로입단2021년 2차 5라운드 (전체 49번, 키움)
소속팀키움 히어로즈 (2021~)

질롱 코리아 (2022/23)
연봉3,100만원 (3.3%↑, 2023년)

1. 개요
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2.2.1. 2022 시즌
2.2.2. 2023 시즌
3. 플레이 스타일
4. 여담
5. 연도별 성적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키움 히어로즈 소속 포수.


2. 선수 경력[편집]



2.1. 아마추어 시절[편집]


광주동성고 1학년 시절 당시에 팀 에이스였던 김기훈[2]과 배터리를 이뤄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주전포수로 소속교의 청룡기 우승을 이끌기도 하였다. 2학년, 3학년 때도 팀의 주전포수로 좋은 모습을 보여주면서 팀의 좋은 성적을 이끌었다. 이는 서울고 선후배 배터리였던 최원태-주효상과도 비슷한 모습이다.

공격 능력에 있어서는 높은 평가는 받지 못 했지만, 수비 부분에서 특히 블로킹이 워낙 좋았다.


2.2. 키움 히어로즈[편집]


2군에서 박준형과 함께 기회를 받는 중.[3] 육성선수 번호인 03번을 받았음에도 시즌 전 제 4의 포수로 거론되기도 했지만, 첫 시즌은 박동원, 이지영, 김재현 3명의 포수에 밀려 현재까지는 1군에 콜업되지 못했다.

포수라는 포지션 특성상 성장까지 시간이 더 필요하지만 김재현 1~2년차 및 주효상 1~2년차 시절과 비교해보면 김시앙이 우위라고 판단하고 있다.

2.2.1. 2022 시즌[편집]


배번을 26번으로 바꿨고[4], 데뷔 첫 1군 스프링캠프 명단에 포함됐다.

박동원이 트레이드되면서 주성원[5], 군 복무 중인 주효상과 함께 제3포수 경쟁에 나서게 되었다. 김재현이 부상으로 말소되면서 이지영의 백업으로 나와야 하는 상황에 있었고, 4월 26일 드디어 처음으로 1군에 콜업되었지만, 김재현 복귀 이후 엔트리에서 말소되어 다시 2군으로 내려갔다.[6]

이지영이 전날의 사구로 인해 선발출장하지 못하면서 7월 7일 잠실 두산 베어스전에 선수 생활 처음으로 선발출장하게 되었다.

7월 9일 고척 NC전에서 7회말 선발 포수 이지영의 대타로 나와 류진욱의 커터를 받아쳐 깔끔한 중전 안타를 만들어내며 1군 데뷔 첫 안타를 신고했다. 이후 김휘집의 2루타와 김혜성의 땅볼로 득점에도 성공했으며, 8회초부터 마스크를 썼다.

8월 6일 코뼈 골절 부상을 당했고, 다음날 엔트리에서 빠졌다.

이지영이 빠지고 김재현이 못할 때 나올 수 있는 3옵션 백업 포수다.

질롱 코리아에 합류하게 되었다. 주전 포수 이지영의 체력 안배로 준PO와 PO 엔트리에는 제외되었지만 KS 엔트리에는 포함되었다.

한국시리즈 2차전에서 이지영의 대주자로 출전하였다.


2.2.2. 2023 시즌[편집]


2군에서 시즌을 시작했다.

4월 19일에 1군에 등록되었으나, 4일 후 말소되었다.

8월 10일 주승우가 말소되면서 양지율과 함께 1군에 콜업되었다. 이지영의 공백이 있었음에도 후배 김동헌에게 주전 포수 자리를 내주며, 경기 후반부 대수비로 가끔 출전 중이다.

8월 25일 데뷔 첫 멀티히트를 치며 타격에서 갑자기 눈을 뜬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삼성과의 시리즈에서 모두 선발 출전하며 10타수 6안타 3타점을 기록하면서 갑자기 타격에 눈을 뜬 모습을 보였다. 포수로서도 무난한 모습을 보이며 아시안게임 기간 동안 김동헌을 대신해 주전으로 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히어로즈의 백업들이 다수 그렇듯이 아름다운 2주를 보낼 것인지, 이후 백업~준주전까지 자리잡을지는 김시앙에 타격에 달렸다고 볼 수 있다.

30일 ssg전에서는 도대체 타격에 무슨 일이 있었길래 4타수 3안타를 치는 활약을 하며[7] 타율을 5할 언저리까지 끌어올렸다. 부상에서 돌아온 이지영과 아시안게임 기간 동안 주전을 맡을 전망.

9월 1일, 8회에 교체출전해 팀의 승리에 기여했다. 하루 쉬고 3일에 선발출장해 공수 양면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9월 3일 KT전에서는 선발출장하여 4타수 2안타 2타점으로 팀의 영봉승에 기여하였다.

아름다운 2주가 지난 후 다른 선수가 된 것 만큼 타격에서 극심한 침체를 겪으며 4할에 육박했던 타율이 2할 초반대까지 떨어졌다.

김시앙에게 다행인 점은 올해 김동헌이 빠진 기간 동안 주전포수 역할을 수행하며 공백을 어느 정도 메꿨던 점이 있다. 이 경험을 토대로 구단이 이지영을 fa로 잡을 시 김동헌-이지영을 잇는 3옵션 포수까지, 이지영을 잡지 않을 시 2옵션까지 올라올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 기존 3옵션이던 김재현은 나이가 많고 타격 성적 또한 좋지 못해 김시앙이 밀어낼 전망.

시즌이 끝난 뒤인 10월 18일, 우측 팔 수술을 한 것이 인스타그램을 통해 알려졌다.#

3. 플레이 스타일[편집]


공격에서는 강하게 휘두르는 스타일이 아닌 컨택형 타자이다. 낮은 타율을 보면 컨택형이라고 상상하기 힘들지만 의외로 경기에서 모습을 보면 베트에 공을 잘 맞추는 모습을 보인다. 다만 파워가 부족해 타구가 뻗지 못하는 것이 단점. 또한 선구안은 단점인데, 볼넷이 매우 적어 볼삼비가 좋지 않다.

23년 후반기 즈음에 2군에서 선수들을 보면 김태완 코치의 영향인지 타격자세에서 베트를 투수 쪽으로 기울여 준비하는 선수가 많다[8] 이게 효과를 본 선수 중 한 명인 것을 보면 원래 타격 메커니즘 상 약간 다운 + 레벨스윙을 하는 스타일인 것으로 보인다.

수비는 고교시절에 서술된 블로킹이 강점이라는 수식어가 무색하게 블로킹이 아쉽다. 그래도 프레이밍은 현 키움 포수진에서는 가장 나은 모습을 보여준다.

아직 1군에서의 경험이 매우 적기 때문에 조금 더 샘플이 쌓일 때까지 지켜봐야 하는 선수이다.


4. 여담[편집]


  • 이름에 '앙'자가 들어가는 특이한 케이스다. 야구인 중에서는 심판 김동앙이 있었다. 때문에 안타를 치면 히어로즈 팬들은 안타 대신 앙타라고 부른다. 잘할 때는 두산 베어스 포수 양의지에서 유래한 별명인 앙의지라고도 불린다.

  • 롤모델은 박경완이라고 하며, 2022년부터 육성선수 번호인 03번을 떼고 박경완의 번호인 26번으로 교체했으며 정식 선수로 등록되었다. 관련 기사

  • 원래 등장곡은 도라에몽의 주제가였는데[9], 점수차가 큰 상황에서 등장곡이 나오는 순간 '"뭔가 잘못됐다"고 느껴서 그냥 힙합곡으로 바꿨다고 한다. 하지만 팬들은 김시앙이 도라에몽 등장곡을 다시 써주길 간절하게 기다리고 있다고 한다.


5. 연도별 성적[편집]


역대 기록
연도소속경기타수타율안타2루타3루타홈런타점득점도루4사구삼진출루율장타율wRC+
2021키움1군 기록 없음
20221312.083100001018.154.083-41.0
20233376.22417100760618.281.23750.5
KBO 통산
(2시즌)
4688.20518100770726.263.21637.2


6.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15:42:05에 나무위키 김시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화순초에서 전학, 전학 과정에서 유급을 한 것으로 보인다.[2]KIA 타이거즈[3] 2군 포수들 중에서 박준형과 김시앙이 선발로 많이 나온다.[4] 하술했듯 김시앙의 롤모델은 박경완이어서 배번도 26번으로 정했다.[5] 외야수 전향[6] 포수 마스크만 잠시 썼고, 타석에는 들어서지 못했다.[7] 타구질도 모두 잘 맞은 정타였고 타구속도가 160까지 나왔다.[8] 우승원,김수환,김시앙 등[9] 가사에 앙 앙 앙이 들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