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영직

덤프버전 :

김영직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김영직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파일:lgv1.png파일:Twins_champion_v2.pn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19901994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1552f8><rowcolor=#fff> 1대 ||<-2><#1552f8> 2대 ||<#c30452> 3대 ||<#c30452> 4대 ||
||<width=20%><bgcolor=#ffffff> 최정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3~1984) ||<width=20%><bgcolor=#ffffff> 류영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8) ||<width=20%><bgcolor=#eeeeee,#191919> 감독대행
김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8) ||<width=20%><bgcolor=#ffffff> 박현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0~1991) ||<width=20%><bgcolor=#ffffff> 박용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4~1996) ||
||<#c30452><rowcolor=#fff> 5대 ||<#c30452> 6대 ||<#c30452> 7대 ||<-2><#c30452> 8대 ||
||<bgcolor=#ffffff> 김영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7~1998) ||<bgcolor=#ffffff> 이광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 ||<bgcolor=#ffffff> 김인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0) ||<bgcolor=#ffffff> 김성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 ||<bgcolor=#eeeeee,#191919> 감독대행
김대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 ||
||<#c30452><rowcolor=#fff> 9대 ||<#c30452> 10대 ||<#c30452> 11대 ||<#c30452> 12대 ||<#c30452> 13대 ||
||<bgcolor=#ffffff> 권두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 ||<bgcolor=#ffffff> 김용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 ||<bgcolor=#ffffff> 이광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2005) ||<bgcolor=#ffffff> 김인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 ||<bgcolor=#ffffff> 김영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2009) ||
||<#c30452><rowcolor=#fff> 14대 ||<#c30452> 15대 ||<#c30452> 16대 ||<#c30452> 17대 ||<#c30452> 18대 ||
||<bgcolor=#ffffff> 김기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2011) ||<bgcolor=#ffffff> 김영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 ||<bgcolor=#ffffff> 노찬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2013) ||<bgcolor=#ffffff> 김무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 ||<bgcolor=#ffffff> 조계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 ||
||<#c30452><rowcolor=#fff> 19대 ||<#c30452> 20대 ||<#c30452> 21대 ||<#c30452> 22대 ||<#c30452> 23대 ||
||<bgcolor=#ffffff> 김동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2017) ||<bgcolor=#ffffff> 송구홍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 ||<bgcolor=#ffffff> 황병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2021) ||<bgcolor=#ffffff> 김동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bgcolor=#ffffff> 이종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
||<#c30452><rowcolor=#fff> 23대 ||<#c30452> 24대 ||<-3><|2><bgcolor=#ffffff> 파일:LG 트윈스 워드마크.svg ||
||<bgcolor=#ffffff> 황병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bgcolor=#e0ffdb,#073300> 서용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




MBC 청룡 / LG 트윈스 등번호 40번
결번김영직
(1987~1995)
전승남
(1997~2004)
LG 트윈스 등번호 93번
김용달
(1990~1996)
김영직
(1997~2012)
계형철
(2013~2014)

파일:김영직더그아웃.jpg
김영직
金永稷 | Young-jik Kim
출생1960년 9월 26일 (63세)
서울특별시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오류초 - 유한중 - 휘문고[1] - 영남대
포지션외야수
투타좌투좌타
프로입단1987년 1차 지명 (MBC)
소속팀MBC 청룡-LG 트윈스 (1987~1995)
지도자LG 트윈스 2군 주루·외야코치 (1997~1998)
LG 트윈스 1군 주루·외야코치 (1999~2000)
LG 트윈스 2군 주루·외야코치 (2001)
LG 트윈스 1군 타격코치 (2002)
LG 트윈스 1군 외야코치 (2003)
LG 트윈스 1군 타격코치 (2004)
LG 트윈스 2군 타격코치 (2004~2006)[2]
LG 트윈스 1군 타격·수석코치 (2006)[3]
LG 트윈스 1군 수석코치 (2006)[4]
LG 트윈스 2군 감독 (2007~2009)
LG 트윈스 1군 수석코치 (2010~2011)[5]
LG 트윈스 2군 감독 (2011)[6]
LG 트윈스 잔류군 코치 (2012)
포항제철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15~2018)
휘문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18~2021)

1. 개요
2. 선수 경력
3. 지도자 경력
3.1. LG 트윈스 코치 시절
3.2. 포항제철고 감독 시절
3.3. 휘문고 감독 시절
4. 연도별 성적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前 야구 선수. 상업은행을 거쳐 MBC 청룡LG 트윈스에서 활약했다. 그 후 지도자로서 LG 트윈스 코치 및 고등학교 감독을 역임했었다.


2. 선수 경력[편집]


영남대학교를 졸업하고 실업야구 팀이었던 상업은행에서 뛰다가, MBC 청룡에 입단해 외야수로 뛰었다. 데뷔 첫 경기는 1987년 3월 12일 대전에서 벌어진 빙그레 이글스전이었고 이 경기에서 4타수 3안타 2득점을 올렸다.

MBC/LG에서만 9년동안 선수 생활을 했지만, 크게 주목을 받는 선수는 아니었다. 스윙이 날카롭고 정교하지도 않았고, 그렇다고 한 방을 날릴 수 있는 뛰어난 장타력을 지닌 선수도 아니었다. 선수 시절 별명이 영감이었던 것처럼 작전 수행이 안되고 수비가 안되는 선수였다.

그렇지만 운 좋게 당시 흔하지 않았던 좌타자라는 점에 기인해서, 플래툰 시스템에 의해서 전문 대타로 주로 출장했던 선수이다. LG가 우승한 1990년에는 54안타로 40타점, 1994년에 53안타로 40타점을 내는 기대이상 활약을 펼치기도 했다.

특히 필요한 순간에 한 방을 쳐 주는 능력이 있었다. 일례로 1990년 LG가 창단 이후 바로 한국시리즈까지 올라간뒤 1차전을 승리했는데, 이후 2차전에서 9회 2사 이후 투수 김상엽을 무너뜨리는 적시타를 쳐냈고 이후 연장전에서 끝내기 볼넷을 골라내 승리에 기여했다. 1994년 한국시리즈에서도 3차전에 좋은 활약을 펼쳤다.[7]

1995년 시즌 후 은퇴했다. 9시즌 동안 715경기를 뛰며 프로 통산 1,594타수 404안타 25홈런 타율 0.253을 기록했다. 스탯티즈 기준으로 통산 wRC+를 정확히 100.0을 찍었다. 즉 통산 득점생산력이 거의 리그 평균적인 타자였다는 얘기.


3. 지도자 경력[편집]



3.1. LG 트윈스 코치 시절[편집]


1997년부터 LG에서 오랫동안 코치 생활을 했다. LG 트윈스 수비코치로 6년, 타격코치로 4년, 이후 2군 감독으로 2007년부터 2009년까지 보냈으며, 이후 LG에서 수석코치와 LG 트윈스 2군 감독, 잔류책임 코치등을 하며 공무원 코칭스태프로 있는듯 없는듯 지내다가, 시즌이 끝난 후 사임했다.

수석코치 시절이던 2011년 가을 마무리캠프 때 신인이자 휘문고 32년 후배인 임찬규로부터 엉뚱한 질문을 받은 바 있다. 자세한 내용은 임찬규/여담 문서의 내용 참조.


3.2. 포항제철고 감독 시절[편집]


2015년 11월에 포항제철고 야구부 감독으로 부임했다. 2017년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팀을 준우승을했다


3.3. 휘문고 감독 시절[편집]


2018년 11월에 이명수 감독이 갑자기 그만두면서 모교인 휘문고등학교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부임 첫해인 2019년에 1차 지명자인 이민호를 배출해냈다. 그리고 같은 해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8강, 바로 그 다음 대회였던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연장 10회까지 가는 접전 끝에 강릉고등학교 야구부를 7대6으로 힘겹게 따돌리고 대회 우승을 했다.

사실 첫해 성적은 전임 이명수 감독의 유산으로 일궈낸 성과였다. 선수들 관리와 지도에는 재능이 없었고 납득할 수 없는 선수기용으로 팀내 잡음이 끊이지 않았다. 이후로는 이렇다할 성적을 내지 못했다.

2020년에는 청룡기 32강(vs 광주동성고 - 콜드게임패), 협회장기 16강(vs 경북고 - 콜드게임패), 봉황대기 16강(vs 북일고)에 머물렀다.

2021년에는 황금사자기 16강(vs 인천고), 협회장기 32강(vs 경남고), 봉황대기 32강(vs 광주진흥고)의 저조한 성적을 기록했다. 뿐만 아니라 학부모로부터 금품을 받아 검찰 조사를 받던 중 휘문고 감독직에서 불명예스럽게 물러났다.

결국 2023년 1월 부정청탁 및 금품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징역 6개월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법정에서 범행을 대부분 부인하였으나 모두 받아들여지지 않았다.https://naver.me/x6UNHBNp

4. 연도별 성적[편집]


역대 기록
연도소속팀경기수타율안타2루타3루타홈런타점득점도루볼넷사구삼진출루율장타율OPS
1987MBC36.19412110360509.250.242.492
198872.218344301316315020.278.282.561
198976.235393411813319118.317.319.637
연도소속팀경기수타율안타2루타3루타홈런타점득점도루볼넷사구삼진출루율장타율OPS
1990LG96.267545264030534234.372.401.773
1991105.245517443323024123.326.375.701
1992111.2568921364439447242.342.385.728
199399.261598142025124122.335.358.693
199489.2935310244016214213.349.436.785
199531.28913400940704.377.378.755
KBO 통산
(9시즌)
715.253404632025220172181899185.333.365.698

5. 관련 문서[편집]


[1] 71기 졸업생이다.[2] ~6월 6일[3] 6월 7일~7월 17일[4] 7월 18일~[5] ~7월 30일[6] 7월 31일~[7] 대타로 나와 역전에 시발점이 되는 2루타를 쳤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11:06:35에 나무위키 김영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