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중배(언론인)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기업인에 대한 내용은 김중배(기업인) 문서
김중배(기업인)번 문단을
김중배(기업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62a59 '''[[파일:MBC 로고.svg [[파일:MBC 국문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3대제4대제5대제6-8대
김지태고원증황용주조증출
제9-12대제13대제14-15대제16대
이환의이진희이웅희황선필
제17대제18-19대제20-21대제22대
김영수최창봉강성구이득렬
제23대제24-25대제26대제27대
노성대김중배이긍희최문순
제28대제29-30대제31대제32대
엄기영김재철김종국안광한
제33대제34대제35대제36대
김장겸최승호박성제안형준



제24-25대 문화방송 대표이사 사장
김중배
金重培 | Kim Joong Bae
출생1934년 3월 26일 (90세)
전라남도 광주군(현: 광주광역시)
재임기간제24-25대 파일:MBC 로고(1986-2005).svg 대표이사 사장
2001년 3월 9일 ~ 2003년 3월
학력광주고등학교 (졸업)
전남대학교 (법학 / 학사)
경력한국일보 기자
민국일보 기자
동아일보 기자 및 사회부장, 편집국장
한겨레 편집위원장
한겨레 대표이사 사장
언론개혁시민연대 상임대표
참여연대 공동대표
문화방송 대표이사 사장
1. 개요
2. 경력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언론인이자 언론 민주화 투쟁의 상징적인 인물.


2. 경력[편집]


1934년 전라남도 광주군(현 광주광역시)에서 태어났다. 광주서중학교, 광주고등학교, 전남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였다.

대학 졸업 후인 1957년 한국일보 사회부 기자로 입사하였다. 이후 민국일보 기자를 거쳐 동아일보 기자 및 사회부장, 편집국장을 지냈다. 1987년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당시 박종철의 죽음을 애도하며 전두환 정권의 은폐 조작을 고발한 '하늘이여 땅이여 사람들이여'라는 칼럼을 동아일보에 게재하여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자신이 동아일보 편집국장으로 재직하던 1990년에는 김충식 기자가 동아일보 지면에 매주 연재하던 남산의 부장들 때문에 노태우 정부를 비롯한 여러 곳으로부터 외압이 들어왔지만 모두 물리치고 김충식이 연재를 끝마칠 수 있게 해줬다고 한다.

1991년에 동아일보를 퇴사하며 "언론은 이제 권력과의 싸움에서보다, 자본과의 힘겨운 싸움을 벌이지 않으면 안 되는 시기에 접어들었다"라는 내용의 '김중배 선언'을 발표했다. 이후 한겨레 편집위원장과 대표이사 사장, 언론개혁시민연대 상임대표, 참여연대 공동대표를 거쳐 2001년부터 2003년까지 문화방송 대표이사 사장을 역임했다.

현재는 뉴스타파 함께재단 이사장으로 재직 중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22:45:27에 나무위키 김중배(언론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